api로 가져오는 법웹스크래핑으로 가져오는법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라는 거창한 명칭이다. 어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래밍 규약인데, 사실 api가 아키텍쳐 설계도는 아니다. 요즘 날에 쓰이는 용어로는, 그니까 이걸 어떻게 사용하면 되고 무
왜 사람마다 정의가 다르냐? 서로 교집합이 존재하며 교집합을 어디에 포함시키냐가 다르기 때문일반적으로는 데이터 과학이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을 포함하는 관계가 일반적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수집, 전처리, 마이닝 등 데이터를 가공하는것에 중점을 둔다고 본다. 인공지능은 모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표현 하는 방법에 여러가지가 있음 대표적인건 그래프나 표형태2진 디지털 시스템에서 입출력 관계를 표현 하는 방법이 그래프와 진리표진리 표의 예시논리 함수입력에 따라 출력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나타내는 함수로서도 표현할 수 있음$f = \\overli
관념 (idea) → 우리가 마음속에서 떠올리는 생각이나 개념단순 관념 (simple idea) →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예시: ‘빨강’(색깔 개념), ‘둥글다’(형태 개념), ‘차갑다’(온도 개념)복합 관념 (compound idea) → 여러 개
시스템: 어떤 목적을 위해 서로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컴퓨터 시스템, math 시스템, 사회 시스템 등등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관심 정도에 따라서 얼마나 상세하고 디테일하게 분석할지가 달라진다시스템의 분류1\. 블랙 박스형 시스템: 가장 단순한 형태. 입력
실행 중이지 않은 프로세스를 보조기억장치로 옮겨 놓았다가 필요할때 다시 불러오는 동작을 스와핑이라고 함.swap-out: 현재 필요없는 프로세스가 보조기억장치로 가는거swap-in: 다시 메모리로 돌아오는거최초 적합 first fit: 할당 가능한 빈공간을 최초로 발견
하고 싶은 말 끝이 없다 시간은 부족하고, 머리는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며, 마음은 조급하고, 몸은 지쳐간다. 대단한 사람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나아가고 있다. 더 나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 이제는 재미를 느끼지 못할 때도 있다. 하지만 재미를 넘
정의: 시스템을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 사건들을 조화시키는 것여러 도메인에 걸쳐 상당히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다.현재 도메인은 프로세스.프로세스의 동기화 정의: 여러 다른 프로세스들 간 사이의 동작을 올바르게 맞추기 위한 여러 방법스레드의 동기화: 한 프로세스 내에 여러
컴퓨터 세상의 정부(=government) 역할을 한다. 인적, 물적 자원들을 행정처리하는것 처럼컴퓨터 자원을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물론 기계적으로 보면 명령어를 해석하여 메모리에 올리고, 어떻게 연산하고 하는거는 전부 CPU의 몫이다.그런데 말이다. 그 CPU를
CH06 메모리와 캐시메모리 06-1 RAM의 특징과 종류 RAM의 특징 휘발성 저장장치: 전류가 차단되면 안에 있는 정보는 전부 사라짐. RAM의 용량과 성능 램의 용량이 많을 수록 많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릴 수 있음. 하지만 필요 이상은 더 이상 성능 향상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