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컴퓨터 네트워크의 품질을 측정하는 기준들을 이해하고, 각 기준들이 중요하게 이해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과거 학습한거 정리
광섬유
광섬유는 무지하게 빠르다
-
빛을 쓰기 때문임.
- FM,AM 라디오, TV
- 눈에 안보임. 파장이 길기 때문에
- 파장이 짧아져서 나노미터까지 내려가면은 적외선이 되면서 가시광선이 올라와
- 가시광선을 이용하면 파장이 굉장히 짧음
- 파장이 짧을수록 주파수가 높을수록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유리함.
=> FTTH은 가시광선을 쓰기 때문에 굉장히 많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
광섬유의 1/100 정도 쓰는 것일 거임.
- 무선통신 LTE, 혹은 유선통신의 전송 미디어 자체 한계 때문에 전송량이 제한됨.
- 구리선이나 전파 매개체 때문에 보통 한계가 생김
- 가시광선은 우리가 processing 하는 능력이 부족해서 데이터 전송량을 막 높이지 못한것임.
통신할 때 전자회로 쓴다.
-
트랜지스터
- 가시광선을 쓸 때는 프리즘 같은걸 써서 processing 해야돼.
- 프리즘으로 빛을 분광해서 높은 주파수 낮은 주파수를 분리한 다음에 주파수에 해당하는 다시 전기신호로 바꿔서 그 다음 processing 한다. 이 때 빛을 전기 신호로 바꿀 때 많은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
DSL
- 각각의 송신선로를 사용자가 독점 사용.
- 1M 제공받았을 때: 1명이 다 1M 사용함.
케이블 모뎀
- 공유채널 (shared channel)
- 100M를 100명이 제공받았을 때: 100명이 계속적으로 네트워크를 쓰고 있지 않음. 실제로 네트워크 접속하는 동안 네트워크를 쓸 확률이 0.05(이것도 굉장히 높은거임) 100M를 케이블 모뎀이 몇명이 쓰면은 나한테 1M 준 것의 효과가 날까?: 2000명 (현재 네트워크 쓰고 있는 인원은 5%, 약 100명임)
=> DSL보다 케이블 모뎀이 투자 비용 대비 효율이 좋다.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에 저장을 하는데, 어디에 저장되어있는지는 모름.
- Network core: 가운데 클라우드
- Network edge: 내 컴퓨터 or 구글 서버
사용자 입장에서 Network core는 신경 안씀
우리는 Network core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퓨터 네트워크의 변혁
전화 vs 컴퓨터 네트워크
음성(연속적, 아날로그적) || 데이터(이산적)
실시간 || 실시간 x
1:1 || n:n
맺고 끊음이 분명 || 시작과 끝이 불분명
전송하는 패턴이나 양이 예측 가능 || 전송량이 들쑥날쑥
회선 스위칭(Circuit Switching) || 패킷 스위칭(Packet Switching)
Circuit Switching
: 통신의 시작에서 끝까지 통신을 위한 경로와 자원을 사전 할당/독점
네트워크, 통신망 개념을 쓰는 건 원래 전화시스템이였음.
Packet Switching
- 요즘은 전화도 데이터화함...
- Packet: 네트워크의 전송단위
: packet마다 목적지 주소를 적어서 보내는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