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 고속 푸리에 변환 (Fast Fourier Transform)

Park Yeongseo·2024년 8월 12일
3

Algorithm

목록 보기
11/17
post-thumbnail

Introduction to Algorithm 4th edition을 번역 및 정리한 글입니다.

1. 다항식과 FFT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 차수가 nn인 두 다항식을 더하는 데에는 O(n)O(n), 곱하는 데에는 O(n2)O(n^2)의 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두 다항식을 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O(nlogn)O(n\log n)으로 줄이는 방법이 있으니, 바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이다.

(1) 다항식

대수적 수체 FF의 변수 xx에 대한 다항식은 함수 A(x)A(x)를 다음과 같이 합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A(x)=j=0n=1ajxjA(x) = \sum_{j=0}^{n=1}a_jx^j

여기서 값 a0, a1, ..., an1a_0,\ a_1,\ ...,\ a_{n-1}은 다항식의 계수들이다. 계수와 xx는 체 FF에서 가져온다. 다항식 A(x)A(x) 는 차수 kk를 가지고 있다. 다항식은 가장 높은, 0이 아닌 계수가 aka_k일 때 kk 차수라고 말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egree(A)=kdegree(A) = k
어떤 다항식의 degree-bound가 nn이라는 말은, 이 다항식의 차수가 nn 미만이라는 것이다. 즉 00 ~ n1n-1의 차수를 가지는 모든 다항식은 degree-bound가 nn이라고 할 수 있다..

degree-bound가 nn인 두 다항식 A(x),B(x)A(x), B(x)를 생각해보자. 두 다항식의 합 C(x)C(x) 또한 degree-bound nn이다.

한편, A(x),B(x)A(x), B(x)이 degree-bound nn이라 할 때, 두 다항식의 곱 C(x)C'(x)는 degree-bound 2n12n-1의 다항식이 된다.

C(x)=j=02n2cjxj,wherecj=k=0jakbjk\begin{aligned} &C(x) = \sum_{j=0}^{2n-2}c_jx^j, \\&where \\&c_j = \sum_{k=0}^ja_kb_{j-k} \end{aligned}

만약 A의 차수가 nan_a이고 B의 차수가 nbn_b이면 CC'의 차수는 na+nbn_a + n_b이다. 다만 degree-bound가 2n12n-1인 다항식은 degree-bound 2n2n이기도 하기에, 간단하게 다항식 곱의 degree-bound는 2n2n이라고 한다.

(2) 다항식의 표현

다항식은 여러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1) 계수 표현 (Coefficient representation)

다항식 A(x)=i=0n1aixiA(x) = \sum_{i=0}^{n-1}a_ix^i 는 다음과 같이 그 계수들을 모은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a=(a0,a1,...,an1)a = (a_0, a_1, ..., a_{n-1})

x0x_0에서의 A(x0)A(x_0) 값을 계산하는 등의 연산은 계수 표현을 이용하면 간편하다. A(x0)A(x_0)은 다음과 같이 O(n)O(n)의 시간에 계산할 수 있다(Horner's rule) .

A(x0)=a0+x0(a1+x0(a2+...+(an2+x0(an1))))A(x0) = a0 + x0(a1 + x0 (a2 + ... + (a_{n-2} + x0(a_{n-1}))))

두 다항식을 더하는 것도 O(n)O(n) 시간에 가능하다.

하지만 단순히 두 다항식을 곱하는 건 O(n2)O(n^2) 시간이 걸린다. 벡터 aa의 각 계수들(즉 다항식 A(x)A(x)의 계수들)을 벡터 bb(다항식 B(x)B(x)의 계수들)에 있는 계수들에 각각 곱해줘야하기 때문이다.

(2-2) 점-값 표현 (Point-value representation)

degree-bound nn인 다항식 A(x)A(x)nn개의 point-value 쌍의 집합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x0,y0),(x1,y1),...,(xn1,yn1)}\{(x0, y0), (x1, y1), ..., (x_{n-1}, y_{n-1})\}

여기서 각 xkx_k들은 서로 다르며, yk=A(xk)y_k = A(x_k)를 만족한다.

하나의 다항식은 여러 p-v 표현을 가질 수 있는데, nn개의 서로 다른 점 x0,...,xn1x_0, ..., x_{n-1}을 뽑아 A(x0),...,A(xn1)A(x_0), ..., A(x_{n-1})을 계산하면 되기 때문이다..

앞서의 Horner's rule을 사용하는 경우 점 xkx_k에서의 값 A(xk)A(x_k)O(n)O(n)에 계산할 수 있기에, nn개의 점에 대한 값을 구해 p-v 표현을 만드는 경우의 시간복잡도는 O(n2)O(n^2)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xkx_k들을 어떻게 잘 정하면 O(nlogn)O(n \log{n})의 시간에 이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p-v 표현으로부터 역으로 다항식을 결정하는 것을 보간법(interpolation)이라 한다. 앞서 말했듯 한 다항식은 여러 p-v표현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nn개의 점-값 쌍으로 이루어진 집합이 주어진 경우, degree-bound nn인 다항식은 유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2-2.1)Th. Interpolating polynomial의 유일성

서로 다른 xkx_k에 대해, 집합 {(x0,y0),...,(xn1,yn1)}\{(x_0, y_0), ..., (x_{n-1}, y_{n-1})\}이 주어졌을 때, 각 k=0,1,...,n1k = 0, 1, ..., n-1에 대해 yk=A(xk)y_k = A(x_k)를 만족하는 degree-bound nn의 다항식 A(x)A(x)는 유일하다.

(1x0x02...x0n11x1x12...x1n1...1xn1xn12...xn1n1)(a0a1...an1)=(y0y1...yn1)\begin{pmatrix} 1 & x_0 & x_0^2 &... &x_0^{n-1}\\ 1 & x_1 & x_1^2 &... &x_1^{n-1}\\ ...\\ 1 & x_{n-1} & x_{n-1}^2 &... &x_{n-1}^{n-1}\\ \end{pmatrix} \begin{pmatrix} a_0 \\ a_1 \\ ...\\ a_{n-1} \end{pmatrix} = \begin{pmatrix} y_0 \\ y_1 \\ ...\\ y_{n-1} \end{pmatrix}

yk=A(xk)y_k = A(x_k)는 위의 항등식과 동치다. 여기서 가장 왼쪽의 행렬을 방데르몽드 행렬(Vander-monde Matrix)이라 하며 V(x0,x1,...,xn1)V(x_0, x_1, ..., x_{n-1})로 표기한다.

방데르몽드 행렬의 행렬식은 j<k(xkxj)\prod_{j <k} (x_k - x_j)이며, 따라서 각 xkx_k가 서로 다른 경우 00이 아닌 값이 된다. 즉 가역(invertible)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수 행렬 aa를 구할 수 있다.

a=V(x0,x1,...,xn1)1ya = V(x_0, x_1, ..., x_{n-1})^{-1}y

p-v 표현을 이용하면 간편한 다항식 연산들이 있다.

degree-bound nn의 다항식 A(x),B(x)A(x), B(x)가 있다고 하자.점 x0,...,xn1x_0, ..., x_{n-1}이 주어지고, 각 점에 대해 A(xk),B(xk)A(x_k), B(x_k)가 계산되어 있을 때, 그 nn개의 같은 점에서의 다항식 합C(x)=A(x)+B(x)C(x) = A(x) + B(x)을 알고 싶다고 하자. C(xk)=A(xk)+B(xk)C(x_k) = A(x_k) + B(x_k)이므로 nn개 점의 값을 O(n)O(n)의 시간에 구할 수 있다.

p-v 표현을 이용하는 경우, 계수 표현과 달리, 다항식 곱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C(x)=A(x)B(x)C'(x) = A(x) B(x)일 때, C(xk)=A(xk)B(xk)C'(x_k) = A(x_k) B(x_k)이므로 nn개의 점에서의 다항식 곱의 값도 O(n)O(n)의 시간에 구할 수 있다.

우리의 목표는 두 다항식의 곱을 빠르게 구하는 것이었기에 p-v 표현을 쓰는 게 더 적절해보인다. 다만 degree(C)=degree(A)+degree(B)degree(C') = degree(A) + degree(B)이므로 A(x),B(x)A(x), B(x)가 degree-bound nn일 때, C(x)C(x)는 degree-bound 2n2n이다. 우리가 계산을 통해 얻은 C(xk)C(x_k)의 값들은 nn개인데, 보간법을 이용해 C(x)C(x)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적어도 2n2n개의 점이 필요하다. 어떻게 해야할까?

그냥 2n2n개의 점들로 시작하면 된다. 2n2n개의 점 x0,...,x2n1x_0, ..., x_{2n-1}에 대해 A(xk),B(xk)A(x_k), B(x_k)의 값을 찾아놓으면 된다.

{(x0,A(x0)),...,(x2n1,A(x2n1))}{(x0,B(x0)),...,(x2n1,B(x2n1))}\begin{aligned} \{(x_0, A(x_0)), ..., (x_{2n-1}, A(x_{2n-1}))\}\\ \{(x_0, B(x_0)), ..., (x_{2n-1}, B(x_{2n-1}))\}\\ \end{aligned}

nn개의 각 xkx_k에 대해 C(xk)=A(xk)B(xk)C(x_k) = A(x_k)B(x_k)를 구하는 데에는 O(2n)=O(n)O(2n) = O(n)의 시간이 걸린다. O(n2)O(n^2)보다 훨씬 빠르다.

(2-3) Fast multiplication of polynomials in coefficient form

그렇다면 두 다항식의 계수들이 주어졌을 때, 어떻게 해야 둘의 곱을 빠르게 구할 수 있을까? 이는 계수 표현과 p-v 표현을 서로 얼마나 빠르게 변환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 계수 표현과 p-v 표현을 빠르게 변환할 수 있다면, 전체 시간복잡도는 O(nlogn)O(n\log{n})이 될 수 있다.

앞서 말했듯, 보통 점 xkx_k에서의 값 A(xk)A(x_k)O(n)O(n)에 계산될 수 있으므로, nn개의 점에 대한 p-v 표현을 만드는 데에는 O(n2)O(n^2)이 걸린다. 하지만 이 xkx_k들을 어떻게 잘 정하면 O(nlogn)O(n\log{n})의 시간에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전체 플로우는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A(x),B(x)A(x), B(x)에 대한 degree-bound 2n2n의 계수 표현을 만든다. 각 다항식의 차수보다 높은 차수에 계수가 00인 항들을 추가하면 된다.
2. 2n2n개의 점에서의 A(x),B(x)A(x), B(x) 값들을 계산한다.
3. 2n2n개의 각 점에서 A(xk)A(x_k)B(xk)B(x_k)를 곱해 C(xk)C(x_k)를 찾는다.
4. 보간법을 이용해 C(x)C(x)에 대한 계수 표현을 찾아낸다.

1번, 3번 단계는 O(n)O(n), 2, 4번은 O(nlogn)O(n log{n})의 시간이 걸려, 총 시간복잡도는 O(nlogn)O(nlog{n})이 된다.

2. DFT와 FFT

(1) Complex roots of unity

1의 nn제곱근(complex nnth root of unity) ω\omegaωn=1\omega^n = 1이 되는 복소수로, 정확히 nn개가 있다(e2πik/n.k=0,1,...,n1)e^{2\pi i k/n}. k = 0, 1, ..., n-1).

eiu=cos(u)+isin(u)e^{iu} = \cos(u) + i \sin(u)임을 생각해보자. nn개의 1의 nn제곱근들은 복소평면의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단위 원을 정확히 nn등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ωn=e2πi/n\omega_n = e^{2 \pi i/n}principal nnth root of unity라 하며, 나머지는 ωn\omega_n의 제곱꼴로 나타낼 수 있다. 즉 nn개의 1의 nn제곱근은 다음과 같다.

ωn0,ωn1,...,ωnn1\omega_n^0, \omega_n^1, ..., \omega_n^{n-1}

여기서 ωnn=ωn0=1\omega_n^n = \omega_n^0 = 1이므로, ωnjωnk=ωnj+k=ωn(j+k)modn\omega_n^j \omega_n^k = \omega_n^{j+k} = \omega_n^{(j+k) \mod{n}}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ωn1=ωnn1\omega_n^{-1} = \omega_n^{n-1}이 된다. 아래의 보조 정리들은 1의 nn제곱근이 갖는 몇 가지 기본적인 성질들이다.

(1-2) Cancellation Lemma

정수 n>0,k0,d>0n >0, k \geq 0, d >0에 대해, ωdndk=ωnk\omega_{dn}^{dk} = \omega_n^k다.

ωdndk=(e2πi/dn)dk=(e2πi/n)k=ωnk\begin{aligned} \omega_{dn}^{dk} &= (e^{2 \pi i / dn})^{dk}\\ &= (e^{2\pi i /n})^ k \\ &= \omega_n^k \end{aligned}

(1-2.1) 따름정리

짝수 n>0n > 0에 대해, ωnn/2=ω2=1\omega_n^{n/2} = \omega_2 = -1이다.

1=ω2=ω21=ω2(n/2)1(n/2)=ωnn/2-1 = \omega_2 = \omega_2^1 = \omega_{2 (n / 2)}^{1(n / 2)} = \omega_n^{n/2}

(1-3) Halving Lemma

n>0n > 0이 짝수일 때, nn개의 1의 nn 거듭제곱근들을 제곱하면 n/2n/2개의 1의 n/2n/2 거듭제곱근들을 얻을 수 있다.

Cancellation lemma에 의해 00이 아닌 정수 kk에 대해 (ωnk)2=ωn/2k(\omega_n^k)^2 = \omega_{n/2}^k이다.

(ωnk+n/2)2=ωn2k+n=ωn2kωnn=ωn2k=(ωnk)2\begin{aligned} (\omega_n^{k+n/2})^2 &= \omega_n^{2k +n}\\ &= \omega_n^{2k} \omega_n^n \\ &= \omega_n^{2k} \\ &= (\omega_n^k)^2 \end{aligned}

이므로 (ωnk)2=(ωnk+n/2)2(\omega_n^k)^2 = (\omega_n^{k + n/2})^2이다.

이 렘마는 다항식의 계수 표현과 점-값 표현 변환을 O(nlogn)O(n \log{n})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 정복을 위해 쓰인다.

(1-4) Summation Lemma

모든 정수 n1n \geq 1nn으로 나누어지지 않는 00이 아닌 모든 정수 kk에 대해,
$$ \sum_{j=0}^{n-1}(\omega _n^k)^j = 0$$> 이다.

등비수열의 합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j=0n1(ωnk)j=(ωnk)n1ωnk1=(ωnn)k1ωnk1=(1)k1ωnk1=0\begin{aligned} \sum_{j=0}^{n-1}(\omega_n^k)^j &= \frac{(\omega_n^k)^n - 1}{\omega_n^k-1}\\ &= \frac{(\omega_n^n)^k - 1}{\omega_n^k-1}\\ &= \frac{(1)^k - 1}{\omega_n^k - 1} \\ &= 0 \end{aligned}

n∤kn \not{|} k이므로 ωnk1\omega_n^k \neq 1이기에 가능하다.

(2) The DFT

degree-bound nn인 다항식 A(x)=j=0n1ajxjA(x) = \sum_{j = 0}^{n-1} a_j x_jωn0,...,ωnn1\omega_n^0, ... , \omega_n^{n-1}에서의 값을 계산한다.
AA의 계수 표현은 a=(a0,a1,...,an1)a = (a_0, a_1, ..., a_{n-1})이다. k=0,1,...,n1k = 0, 1, ..., n - 1일 때, yk=A(ωnk)y_k = A(\omega_n^k)라 하자.

yk=A(ωnk)=j=0n1ajωnkj\begin{aligned} y_k &= A(\omega_n^k)\\ &= \sum_{j=0}^{n-1}a_j\omega_n^{kj} \end{aligned}

벡터 y=(y0,y1,...,yn1)y = (y_0, y_1, ..., y_{n-1})을 계수 벡터 aa의 DFT라고 하며, y=DFTn(a)y = DFT_n(a)로 표기한다.

(3) The FFT

FFT는 직관적인 방법과 달리, 1의 거듭제곱근의 특별한 성질을 이용해 O(nlogn)O(n \log n)의 시간에 DFTn(a)DFT_n(a)를 계산한다. 다만 여기서는 nn22의 제곱수라고 가정한다.

FFT는 분할 정복을 사용한다. 주어진 degree-bound nn의 다항식 A(x)A(x)을 다음과 같이 두 개의 degree-bound n/2n/2 다항식으로 분할해보자.

Aeven(x)=a0+a2x+a4x2+...+an2xn/21Aodd(x)=a1+a3x+a5x2+...+an1xn/21\begin{aligned} A^{even}(x) = a_0 + a_2x + a_4x^2 + ... + a_{n-2}x^{n/2-1}\\ A^{odd}(x) = a_1 + a_3x + a_5x^2 + ... + a_{n-1}x^{n/2-1}\\ \end{aligned}

A(x)=Aeven(x2)+xAodd(x2)A(x) = A^{even}(x^2) + xA^{odd}(x^2)가 된다.

이제 ωn0,ωn1,...,ωnn1\omega_n^0, \omega_n^1, ..., \omega_n^{n-1}에서의 A(x)A(x) 값을 구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줄어든다.

  1. nn개 점 (ωn0)2,(ωn1)2,...,(ωnn1)2(\omega_n^0)^2, (\omega_n^1)^2, ..., (\omega_n^{n-1})^2에서의 Aeven(x),Aodd(x)A^{even}(x), A^{odd}(x) 값을 계산하고
    • Halving Lemma에서 봤듯 n>0n > 0이 짝수일 때, nn개의 1의 nn 거듭제곱근들을 제곱하면 n/2n/2개의 1의 n/2n/2 거듭제곱근들을 얻을 수 있고, 각 n/2n/2 거듭제곱근들은 (부호만 바꿔서) 정확히 두 번 나타나게 되므로 nn개의 점이 아니라 n/2n/2개의 점에 대한 계산을 하게 된다.
  2. 그 결과를 가지고 A(x)=Aeven(x2)+xAodd(x2)A(x) = A^{even}(x^2) + xA^{odd}(x^2)로 합치기

Aeven(x)A^{even}(x)Aodd(x)A^{odd}(x)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분할정복을 해나가면 된다. 재귀의 base case는 DFT를 실행할 원소가 하나 밖에 없을 때다. y0=a0ω10=a0y_0 = a_0 \omega_1^0 = a_0이 되기 때문이다

FFT의 pseudo-code는 위와 같다. 길이를 계속해서 반으로 줄여가면서 가고 있기에 O(nlogn)O(n \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짐을 바로 볼 수있다.

(3-1) Interpolation at the complex roots of unity

위와 같이 O(nlogn)O(n\log{n})의 시간에 계수 표현에서 점-값 표현으로 변환했으니, 이번에는 보간법을 통해 점-값 표현에서 계수 표현으로 변환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111...11ωnωn2...ωnn1...1ωnn1ωn2(n1)...ωn(n1)(n1))(a0a1...an1)=(y0y1...yn1)\begin{pmatrix} 1 & 1 & 1 &... &1\\ 1 & \omega_n & \omega_n^2 &... &\omega_n^{n-1}\\ ...\\ 1 & \omega_n^{n-1} & \omega_n^{2(n-1)} &... &\omega_n^{(n-1)(n-1)}\\ \end{pmatrix} \begin{pmatrix} a_0 \\ a_1 \\ ...\\ a_{n-1} \end{pmatrix} = \begin{pmatrix} y_0 \\ y_1 \\ ...\\ y_{n-1} \end{pmatrix}

DFT는 위와 같은 행렬 항등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의 방데르몽드 행렬 VnV_n의 역함수를 yy에 곱해주면 계수 행렬 aa를 얻을 수 있게 된다.

(3-2) Theorem

j,k=0,1,...,n1j, k = 0, 1, ..., n-1에 대해 , Vn1V_n^{-1}(j,k)(j,k) 성분은 ωnjk/n\omega_n^{-jk}/n이다.

Vn1Vn=InV_n^{-1}V_n = I_n임을 이용한다. Vn1VnV_n^{-1}V_n(k,k)(k, k') 성분은

[Vn1Vn]kk=j=0n1(ωnjk/n)(ωnjk)=j=0n1ωnj(kk)/n\begin{aligned} {[}V_n^{-1} V_n{]}_{kk'} &= \sum_{j=0}^{n-1}(\omega_n^{-jk}/n)(\omega_n^{jk'})\\ &= \sum_{j=0}^{n-1}\omega_n^{j(k'-k)}/n \end{aligned}

$ kkk'\neq k이면 위 값은 0이고, k=kk = k'이면 1이다. 사실 Summation Lemma에 따르면 n∤kkn \not{|} k' -k
여야 하지만 n+1kkn1-n + 1 \leq k' -k \leq n - 1이므로 kkk \neq k'만을 생각해도 좋다.

Vn1V_n^{-1}을 정의했으니 DFTn1(y)DFT_n^{-1}(y)는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aj=k=0n1ykωjkn=1nk=0n1ykωnkj\begin {aligned} a_j &= \sum_{k=0}^{n-1}y_k\frac{\omega^{-jk}}{n}\\ &= \frac{1}{n}\sum_{k = 0}^{n - 1}y_k\omega_n^{-kj} \end {aligned}

앞서 DFT에서 보았던 식과 아주 비슷하다. 때문에 비슷하게 FFT를 적절하게 변형하면 보간도 O(nlogn)O(n \log{n})의 시간에 할 수 있게 된다.

Convolution Theorem

길이 nn의 두 벡터 a,ba, b에 대해, nn22의 제곱수일 때,
ab=DFT2n1(DFT2n(a)DFT2n(b)a \otimes b = DFT_{2n}^{-1}(DFT_{2n}(a) \cdot DFT_{2n}(b)
다. 단 a,ba, b는 길이가 2n2n이 되도록 0으로 패딩하고, \cdot은 벡터의 내적(dot product)이다.

3. Code

typedef complex<double> cpx;
const double PI = acos(-1);

vector<cpx> a, b;

/*
	계수 표현을 p-v 표현으로 변경하는 FFT
*/
void FFT(vector<cpx> &a, cpx omega_n) {
	int N = a.size();
	// base case.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
	if (a.size() == 1) return; 

	// 홀수 차항, 짝수 차항을 나눈다
	vector<cpx> even(N / 2), odd(N / 2);

	for (int i = 0; i < N; i++) {
		if (i & 1) odd[i / 2] = a[i];
		else even[i / 2] = a[i];
	}

	// 각각에 대해 FFT. 분할 정복.
	// A(x) = A^{even}(x^2) + x * A^{odd}(x^2)
	FFT(even, omega_n * omega_n);
	FFT(odd, omega_n * omega_n);

	cpx omega(1, 0);

	// Halving Lemma.
	// 따름정리에 따라 w_n^{n/2 + k} = -w_n^k이므로
	for (int i = 0; i < N / 2; i++) {
		a[i] = even[i] + omega * odd[i];
		a[i + N / 2] = even[i] - omega * odd[i];
		omega *= omega_n;
	}
}

/*
	a와 b는 계수 표현이다.
	a[i] = A(x)의 i차 항의 계수, b[i] = B(x)의 i차 항의 계수
*/
vector<cpx> mult(vector<cpx> &a, vector<cpx> &b) {
	int N = 1;
	
	//두 다항식의 곱의 degree는 degree(a) + degree(b)다.
 	//2의 제곱수가 되도록 크기를 맞춰준다
	while (N < a.size() + b.size()) N <<= 1;
	
	a.resize(N); 
	b.resize(N);

	// principal nth root of unity
	double angle = 2 * PI / N;
	cpx omega_n = cpx(cos(angle), sin(angle));

	//두 계수 표현을 p-v 표현으로 변환한다
	FFT(a, omega_n);
	FFT(b, omega_n);

	//각 점에 대해 두 다항식의 곱의 값을 구한다.
	vector<cpx> res(N);
	for (int i = 0; i < N; i++) res[i] = a[i] * b[i];

	//역변환. 
	omega_n = cpx(cos(-angle), sin(-angle));
	FFT(res, omega_n);
	for (int i = 0; i < N; i++) res[i] /= N;

	return res;
}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8월 19일

푸리에는 빠른 연생일까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