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뤼카 정리
뤼카 정리는 어떤 조합 (KN)를 소수 p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 정리는 다음과 같다.
자연수 N, 음이 아닌 정수 K, 소수 p가 주어졌을 때,
(KN)≡i=0∏K(nimi)(modp)
여기서 mi와 ni는 각각 N과 K를 p진법으로 전개해 나타냈을 때의 각 자리의 수들이다.
즉 다음과 같다.
N=mkpk+mk−1pk−1+...+m2p2+m1p1+m0p0K=nkpk+nk−1pk−1+...+n2p2+n1p1+n0p0
뤼카의 정리를 증명하기 전에 우선 다음의 항등식을 떠올려보자.
(x+1)n=(nn)xn+(n−1n)xn−1+...+(2n)x2+(1n)x+(0n)
이 항등식의 n에 pr(p는 소수, r은 음이 아닌 정수)을 대입한다면 다음처럼 될 것이다.
(x+1)pr=(prpr)xpr+(pr−1pr)xpr−1+...+(2pr)x2+(1pr)x+(0pr)
그런데 위 항등식에서 볼 수 있는 것은
(pr−1pr),(pr−2pr),...,(2pr),(1pr)
가 모두 p의 배수라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p∣(pr−1pr)xpr−1+...+(2pr)x2+(1pr)x⟺p∣(x+1)pr−((prpr)xpr+(0pr))
당연히 (prpr)=(0pr)=1이므로 위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x+1)pr≡xpr+1(modp)
다시 말해 (x+1)pr을 p로 나눈 나머지는 xpr+1을 p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음의 정리
a≡b(modp)⇒an≡bn(modp)
를 사용하면, 우리는 여기에서 (x+1)pr≡xpr+1(modp)임을 알고 있으므로,
(x+1)pi≡xpi+1(modp)⇒((x+1)pi)mi≡(xpi+1)mi(modp)
임을 알 수 있고, 곱에 대한 나머지 정리
a≡b(modp),c≡d(modp)⇒ac≡bd(modp)
를 이용하면
i=0∏k((x+1)pi)mi≡i=0∏k(xpi+1)mi(modp)
임도 알 수 있다.
(xpi+1)mi에 다시 이항정리를 사용하면
(xpi+1)mi=(mimi)xpimi+(mi−1mi)xpi(mi−1)+...+(1mi)xpi+(0mi)
를 얻을 수 있다.
즉
i=0∏k(xpi+1)mi=i=0∏kni=0∑mi(nimi)xnipi
이다.
합의 곱은 곱의 합과 같으므로
i∈A∑i×j∈B∑j=i∈Aj∈B∑i×j
앞의 곱 또한 다음과 같이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i=0∏kni=0∑mi(nimi)xnipi=n=0∑Ni=0∏k(nimi)xnipi
따라서 다음처럼 정리 된다.
(1+x)N≡(1+x)mkpk+mk−1pk−1+...+m2p2+m1p1+m0p0≡i=0∏k((x+1)pi)mi≡i=0∏k(xpi+1)mi≡n=0∑Ni=0∏k(nimi)xnipi(modp)
(1+x)N=n=0∑N(nN)xn≡n=0∑Ni=0∏k(nimi)xn(modp)
각 xn의 계수 또한 p에 대해 합동이므로 임의의 K에 대해서도 다음이 성립한다.
(KN)≡i=0∏K(nimi)(modp)
여기서 각 mi,ni가 N,K를 p진법으로 나타냈을 때의 자리의 수임을 활용하면 증명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