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밤의 선형대수학 - 1.3 부분공간

Park Yeongseo·2024년 4월 12일
1
post-thumbnail

한빛 아카데미의 프리드버그 선형대수학 7판을 정리하고 풀이한 글입니다.

야밤의 선형대수학 - 1.2 벡터공간 이후로 너무 오랜만에 포스팅하게 됐다. 연습문제를 싹 다 풀고 정리해서 올리려고 했는데, 풀고 정리하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도중에 멈췄다가 다시 시작했다. 다음 장부터는 몇 가지 문제만 추려서 포스팅해야 할 것 같다.

1. 부분공간

def.def. 부분공간

FF-벡터공간 VV의 부분집합 WW를 생각하자. 이 부분집합 WWVV에서 정의한 합과 스칼라 곱을 가진 FF-벡터공간일 때, VV의 부분공간이라 한다.

모든 벡터공간 VV에 대해 VV{0}\{0\}은 부분공간이다. 벡터공간의 조건 (VS1, 2, 5, 6, 7, 8)은 연산에 대한 성질이며, WW는 이를 만족하는 VV의 연산을 그대로 물려받고 있으므로 이 조건들에 대해서 따로 확인할 필요는 없다. 부분집합 WWVV의 부분공간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의 4가지 성질을 만족하는 것이다.

성질 1 x,yW,x+yW\forall x,y \in W, x+y \in W
성질 2 cF,xW,cxW\forall c \in F, \forall x \in W, cx \in W
성질 3 0W0 \in W
성질 4 xW,yW,s.t., x+y=0\forall x \in W, \exists y \in W, s.t.,\ x+y = 0

Thm1.3Thm1.3 부분공간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벡터공간 VV와 부분집합 WW를 생각하자. WWVV의 부분공간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의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이때, 연산은 VV에서 정의된 것과 같다

(1) 0W0 \in W
(2) x,yW,x+yW\forall x, y \in W, x+y \in W
(3) cF,xW,cxW\forall c \in F, \forall x \in W, cx \in W

pf.pf. \Rightarrow
WWVV의 부분공간이라 하자. WWVV에서 정의된 합과 스칼라 곱을 가지고 있으므로 (2), (3)을 만족한다.
WW의 영벡터를 00'이라 하면, xWx \in W에 대해 x+0=xx + 0' = x이다. xVx \in V이기도 하므로 x+0=xx + 0 = x이다. Thm1.1Thm1.1에 의해 0=00' = 0이므로 (1)이 성립한다.

pf.pf. \Leftarrow
조건 (1), (2), (3)이 성립한다고 하자. 성질 4가 만족된다면 WWVV의 부분공간이다. 조건 (3)으로부터 xWx \in W 이면 (1)x=xW(-1)x = -x \in W이다. x+(x)=0x + (-x) = 0이므로 성질 4가 만족된다. 따라서 WWVV의 부분공간이다.

Thm1.4Thm1.4

벡터공간 VV의 부분공간들을 생각하자. 이 부분공간들의 임의의 교집합은 VV의 부분공간이다.

pf.pf. VV의 부분공간을 원소로 하는 집합족을 CC라 하고, CC에 속한 모든 부분공간의 교집합을 WW라 하자. 영벡터가 모든 부분공간에 속하므로 0W0 \in W이다. 스칼라 aa와 벡터 x,yWx, y \in W에 대해, x,yx, yCC에서 꺼낸 임의의 부분공간에 속한다. 벡터공간은 합과 스칼라 곱에 닫혀있으므로 x+yx+yaxax 또한 부분공간에 속한다. 따라서 x+yW,axWx + y \in W, ax \in W이다. Thm1.3Thm1.3에 의해 WWVV의 부분공간이다.

def.def. 집합의 합

벡터공간 VV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S1,S2S_1, S_2에 대해, 두 집합의 합 S1+S2S_1 + S_2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x+y:xS1,yS2}\{x + y : x \in S_1, y \in S_2\}

def.def. 직합

벡터공간 VV의 두 부분공간 W1,W2W_1, W_2에 대해 W1W2={0}W_1 \cap W_2 = \{0\}이고 W1+W2=VW_1 + W_2 = V이면 VVW1,W2W_1, W_2의 직합이라 하고, V=W1W2V = W_1 \bigoplus W_2로 표기한다.

def.def. 잉여류(coset)

FF-벡터공간 VV와 부분공간 WW에서, 임의의 vVv \in V에 대해 다음의 집합을 vv를 포함하는 WW의 잉여류라 한다.
{v}+W={v+w:wW}\{v\} + W = \{v + w : w \in W \}
{v}+W\{v\} + W는 간단히 v+Wv + W로 표기하기도 한다.

def.def. 몫공간(quotient space)

WW의 모든 잉여류를 원소로 하는 집합족 S={v+W:vV}S = \{v + W : v \in V\}FF에서 꺼낸 스칼라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합과 스칼라 곱을 정의하자. 이때 SS는 벡터공간이다. 이를 법 WW 에 대한 VV의 몫공간이라 하고, V/WV/W로 표기한다.

모든 v1,v2Vv_1, v_2 \in V에 대해, (v1+W)+(v2+W)=(v1+v2)+W(v_1 + W) + (v_2 + W) = (v_1 + v_2) + W
모든 vV,aFv \in V, a \in F에 대해, a(v+W)=av+Wa(v + W) = av + W


2. 연습문제

2, 8, 11, 15, 20번은 한빛아카데미의 프리드버그 선형대수학 공개용 답안에 답안이 있다.
1.

(a) WWVV에서 정의된 합과 스칼라 곱 연산을 가진 벡터공간이어야 한다. 거짓
(b) 공집합은 벡터공간이 아니다. 거짓
(c) 벡터공간 VV는 점공간을 부분공간으로 포함한다. 이 점공간을 WW라 하면, 점공간이 아닌 벡터공간 VVWVW \neq V인 부분공간을 WW를 반드시 포함한다. 참
(d) 두 부분공간의 교집합이 VV의 부분공간이다. 거짓
(e) 참
(f) 합임. 거짓
(g) 거짓

3.
(aA+bB)ijt=(aA+bB)ji=(aAji+bBji)=aAji+bBji=aAijt+bBijt(aA+bB)t=aAt+bBt\begin{aligned} (aA + bB)^t_{ij} &= (aA + bB)_{ji} \\&= (aA_{ji} + bB_{ji}) \\&= aA_{ji} + bB{ji} \\&= aA^t_{ij} + bB^t_{ij} \\ \\ \therefore (aA + bB)^t &= aA^t + bB^t \end{aligned}
4.

Aijt=AjiA^t_{ij} = A_{ji}이므로, (Aijt)t=(Aji)t=Aij(A^t_{ij})^t = (A_{ji})^t = A_{ij}이다.

5.

A+AtA+A^tiijj열 성분 (A+At)ij=Aij+Aijt=Aij+Aji(A+A^t)_{ij} = A_{ij} + A^t_{ij} = A_{ij} + A_{ji}이다.
A+AtA+A^tjjii열 성분 (A+At)ji=Aji+Ajit=Aji+Aij(A+A^t)_{ji} = A_{ji} + A^t_{ji} = A_{ji} + A_{ij}이다.

(A+At)ij=(A+At)ji(A+ A^t)_{ij} = (A + A^t)_{ji}이므로 A+AtA + A^t는 대칭행렬이다.

6.
tr(A)=i=1nAii,tr(B)=i=1nBiitr(A) = \sum_{i=1}^nA_{ii},\quad tr(B) = \sum_{i=1}^nB_{ii}
tr(aA+bB)=i=1n(aAii+bBii)=i=1naAii+i=1nbBii=ai=1nAii+bi=1nBii=a tr(A)+b tr(B)\begin{aligned} tr(aA + bB) &= \sum_{i=1}^n(aA_{ii}+bB_{ii})\\ &= \sum_{i=1}^naA_{ii} + \sum_{i=1}^nbB_{ii}\\ &= a\sum_{i=1}^nA_{ii} + b\sum_{i=1}^nB_{ii}\\ &= a\ tr(A) + b\ tr(B) \end{aligned}
7.

AA가 대각행렬이면 Aij=0(ij)A_{ij} = 0\quad (i \neq j) 이므로, Aji=0A_{ji} = 0이다. Aij=AjiA_{ij} = A_{ji}이므로 AA는 대칭행렬이다.

8.

(a) O
(b) X
(c) O
(d) O
(e) X
(f) X

9. 패스
10.

W1W_1Thm1.3Thm1.3을 만족하므로 FnF^n의 부분공간이다.
1. 0W10 \in W_1
2. a,bW1a, b \in W_1이라 하자.
a=(a1,...,an),b=(b1,...,bn)a = (a_1, ..., a_n), b= (b_1, ..., b_n) 이라 하면, i=1nai=0,i=1nbi=0\sum_{i=1}^n a_i = 0, \sum_{i=1}^n b_i = 0이다.
(a+b)=(a1+b1,...,an+bn)이고i=1n(ai+bi)=i=1nai+i=1nbi=0(a + b) = (a_1+b_1, ..., a_n + b_n)이고 \sum_{i=1}^n (a_i+b_i) = \sum_{i=1}^na_i + \sum_{i=1}^n b_i = 0이므로 (a+b)W1(a+b) \in W_1이다. 따라서 W1W_1은 덧셈에 닫혀있다.
3. aW,cFa \in W, c \in F라 하자. ca=c(a1,...,an)=(ca1,...,can)ca = c(a_1, ..., a_n) = (ca_1, ..., ca_n)이고 i=1n(cai)=ci=1n(ai)=c0=0\sum_{i=1}^n(ca_i) = c\sum_{i=1}^n(a_i) = c0 = 0이므로 caW1ca \in W_1이다. W1W_1은 스칼라 곱에도 닫혀있다.

W2W_2의 경우 0∉W20 \not\in W_2이다. 따라서 W2W_2는 부분공간이 아니다.

12.

m×nm \times n 상삼각행렬의 집합을 UU라 하자. 즉 U={AAMm ×n(F), Aij=0(i>j)}U = \{A | A \in M_{m \ \times n }(F),\ A_{ij} = 0 (i > j)\}이다.
1. 0U0 \in U이다.
2. A,BUA, B \in U일 때, (A+B)ij=Aij+Bij=0+0 (i>j)(A + B)_{ij} = A_{ij} + B_{ij} = 0 + 0\ (i>j)이므로 (A+B)U(A+B) \in U이다.
3. AU,cFA \in U, c \in F일 때, (cA)ij=cAij=c0 (i>j)(cA)_{ij} = cA_{ij} = c0\ (i>j)이므로 cAUcA \in U이다.

따라서 m×nm \times n 상삼각행렬의 집합은 Mm×n(F)M_{m \times n}(F)의 부분공간이다.

13.

F(S,F)\mathcal{F}(S,F)에서의 연산들은 1.2 벡터공간의 예제 3을 참고. F(S,F)\mathcal{F}(S, F)는 벡터 공간이다.
1. 0F(S,F),0(s0)=00 \in \mathcal{F}(S, F), 0(s_0) = 00S0 \in S이다.
2. f,gSf, g \in S라 하자. f,gF(S,F)f, g \in \mathcal{F}(S,F)이므로 f+gF(S,F)f + g \in \mathcal{F}(S,F)이고, f(s0)=g(s0)=0f(s_0) = g(s_0) = 0이므로 (f+g)(s0)=f(s0)+g(s0)=0(f+g)(s_0) = f(s_0) + g(s_0) = 0이다. 따라서 SS는 덧셈에 닫혀있다.
3. cF,fSc \in F, f \in S라 하자. cfF(S,F)cf \in \mathcal{F}(S,F)이고, (cf)(s0)=c[f(s0)]=c(0)=0(cf)(s_0) = c[f(s_0)] = c(0) = 0이다. SS는 스칼라 곱에도 닫혀있다.

14.
  1. 영함수 0C(S,F)0 \in \mathcal{C}(S,F)이다.
  2. f,gC(S,F)f, g \in \mathcal{C}(S,F)이고, ff에서는 nn개의 점을 제외한 모든 점에서 함숫값이 00이고, gg에서는 mm개의 점을 제외한 모든 점에서 함숫값이 00이라고 하자. f+gf+g에 대해 함숫값이 00이 아닌 점의 개수가 최대가 될 때는 각 a1,...,an,b1,...,bma_1, ..., a_n, b_1, ..., b_m이 서로 다를 때로, 최대 m+nm + n개이고, 따라서 유한하다. 따라서 C(S,F)\mathcal{C}(S, F)는 덧셈에 닫혀 있다.
  3. 임의의 스칼라 aSa \in SfC(S,F)f \in \mathcal{C}(S,F)에 대해, afaf의 함숫값이 00이 아닌 점의 개수는 a0a \neq 0일 때로, 최대 nn개다. 따라서 afC(S,F)af \in \mathcal{C}(S,F)다. 즉 C(S,F)\mathcal{C}(S,F)는 스칼라 곱에도 닫혀 있다.
16. 15번과 유사하게 풀 수 있으므로 패스
17.

(pf.)(pf. \Rightarrow) WWVV의 부분공간이면 Thm1.3Thm1.3에 따라 0W0 \in W이고 aF,x,yW\forall a \in F, \forall x, y \in W에 대해 x+yW,axWx + y \in W, ax \in W이다. 0W0 \in W이므로 WW는 공집합이 아니고, 나머지도 성립한다.

(pf.)(pf. \Leftarrow) WW \neq \emptyset이므로 임의의 xWx \in W를 생각할 수 있다. 이 xx에 대해 axWax \in W이다. a=0a = 0이라 하면 ax=0x=0Wax = 0x = 0 \in W이므로 0W0 \in W이다. Thm1.3.Thm1.3.에 의해 WWVV의 부분공간이다.

18.

(pf.)(pf. \Rightarrow) WWVV의 부분공간이므로 axWax \in W이고 ax+yWax + y \in W이다.
(pf.)(pf. \Leftarrow) 0W0 \in W이고 aF,x,yW\forall a \in F, \forall x, y \in W에 대해 ax+yWax + y \in W이다. y=0y = 0이라 하면 ax+y=axWax + y = ax \in W이다. a=1a = 1이라 하면 ax+y=x+yWax + y = x + y \in W이다. Thm1.3Thm 1.3에 의해 WWVV의 부분공간이다.

19.

(pf.)(pf. \Leftarrow)
W1W2W_1 \subseteq W_2이면 W1W2=W2W_1 \cup W_2 = W_2이고, W2W1W_2 \subseteq W_1이면 W1W2=W1W_1 \cup W_2 = W_1. W1,W2W_1, W_2VV의 부분공간이므로 어떤 경우에도 W1W2W_1 \cup W_2VV의 부분공간이 된다.

(pf.)(pf. \Rightarrow)
xW1W2,yW2W1\exists x \in W_1 - W_2, \exists y \in W_2 - W_1이라 가정하자.
W1W2W_1 \cup W_2VV의 부분공간이고 x,yW1W2x, y \in W_1 \cup W_2이므로 x+yW1W2x+y \in W_1 \cup W_2여야 한다. x+yW1W2x + y \in W_1 \cup W_2이므로 x+yW1x + y \in W_1 이거나 x+yW2x+y \in W_2이다. 만약 x+yW1x+y \in W_1이면, W1W_1가 부분공간이므로 yW1y \in W_1이어야 한다. 반대로 만약 x+yW2x +y \in W_2이면, W2W_2가 부분공간이므로 xW2x \in W_2여야 한다. 이는 위에서 가정한 것과 모순이다. 따라서 ∄xW1W2,∄yW2W2\not\exists x \in W_1 - W-2, \not\exists y \in W_2 - W_2이다. 즉 W1W2W_1 \subseteq W_2이거나 W2W1W_2 \subseteq W_1이다.

21.

수렴하는 수열 (an)(a_n)의 집합을 WW라 하자.
1. 수열 (0,0,0,0,...)W(0, 0, 0,0, ...) \in W이다.
2. WW의 원소가 되는 임의의 수렴하는 수열 (an),(bn)(a_n), (b_n)에 대해, limnan,limnbn\lim_{n\to\infty} a_n , \lim_{n\to\infty} b_n이 존재하므로 limn(an+bn)R\lim_{n\to\infty}(a_n+b_n) \in R도 존재한다. 따라서 (an+bn)W(a_n + b_n) \in W이다.
3. WW의 원소 (an)(a_n)에 대해, 그 수렴값을 α\alpha라 하자. 이때 (can)(ca_n)의 수렴값은 cαRc \alpha \in R가 되므로 (can)W(ca_n) \in W이다.

22.

우함수의 집합을 SS, 기함수의 집합을 TT라 하자.
1. SF(F1,F2)S \in \mathcal{F}(F_1, F_2)임을 증명

  • 영함수 00에 대해, 0(t)=0,0(t)=00(-t) = 0, 0(t) = 0이므로 0(t)=0(t)0(-t) = 0(t)이다 따라서 0S0 \in S다.
  • f,gSf, g \in S라 하자. (f+g)(t)=f(t)+g(t)=f(t)+g(t)=(f+g)(t)(f+g)(t) = f(t) + g(t) = f(-t) + g(-t) = (f + g)(-t)이다. 따라서 f+gSf+g \in S다.
  • aF1,fSa \in F_1, f \in S라 하자. (af)(t)=af(t)=af(t)=(af)(t)(af)(t) = a \cdot f(t) = a \cdot f(-t) = (af)(-t)이다. 따라서 (af)S(af) \in S다.
  1. TF(F1,F2)T \in \mathcal{F}(F_1, F_2)임을 증명
  • 영함수 0T0 \in T다.
  • f,gTf, g \in T라 하자.
    (f+g)(t)=f(t)+g(t)=f(t)+(g(t))=((f)+(g))(t)=(f+g)(t)\begin{aligned} (f+g)(-t) &= f(-t) + g(-t)\\ & = -f(t) + (-g(t)) \\ & = ((-f) + (-g))(t) \\ & = -(f+g)(t) \end{aligned}다.
    따라서 (f+g)T(f+g) \in T다.
  • aF1,fTa \in F_1, f \in T라 하자. (af)(t)=a(f(t))=a(f(t))=a(1f(t))=(a)f(t)=af(t)(af)(-t) = a(f(-t)) = a(-f(t)) = a(-1f(t)) = (-a)f(t) = -af(t)다.

직합을 이용한 문제들

23.

(a)
1. W1,W2W_1, W_2가 모두 VV의 부분공간이므로 0W1,0W20 \in W_1, 0 \in W_2다. 따라서 0+0=0W1+W20 + 0 = 0 \in W_1 + W_2이다.
2. x1,x2W1x_1, x_2 \in W_1이고 y1,y2W2y_1, y_2 \in W_2라 하자. (x1+y1)W1+W2(x_1 + y_1) \in W_1 + W_2이고 (x2+y2)W1+W2(x_2 + y_2) \in W_1 + W_2이다.
W1,W2W_1, W_2가 부분공간이므로 x1+x2W1x_1 + x_2 \in W_1이고 y1+y2W2y_1 + y_2 \in W_2이고, 따라서 (x1+x2)+(y1+y2)=(x1+y1)+(x2+y2)W1+W2(x_1 + x_2) + (y_1 + y_2) = (x_1 + y_1) + (x_2 + y_2) \in W_1 + W_2다. 그러므로 W1+W2W_1 + W_2는 덧셈에 닫혀있다.
3. xW1x \in W_1, yW2y \in W_2라 하자. (x+y)W1+W2(x + y) \in W_1 + W_2다. aFa \in F일 때, W1,W2W_1, W_2가 부분공간이므로 axW1,ayW2ax \in W_1, ay \in W_2이다. (ax+ay)=a(x+y)W1+W2(ax + ay) = a(x + y) \in W_1 + W_2이므로 W1+W2W_1 + W_2는 스칼라 곱에도 닫혀있다.

(b)
W1,W2W_1, W_2를 포함하는 VV의 부분공간을 WW라 하자. 임의의 xW1,yW2x \in W_1, y \in W_2에 대해 (x+y)W1+W2(x + y) \in W_1 + W_2이다. 그런데 x,yWx, y \in W이므로 x+yWx + y \in W이다. 임의의 (x+y)W1+W2(x+y) \in W_1 + W_2에 대해 (x+y)W(x + y) \in W이므로 W1+W2WW_1 + W_2 \subseteq W이다.

24.
  1. W1W2={0}W_1 \cap W_2 = \{0\}임을 증명
    (a1,a2,...,an)W1W2(a_1, a_2, ..., a_n) \in W_1 \cap W_2에 대해, (a1,...,an)W1(a_1, ..., a_n) \in W_1이므로 (a1,...,an1,an)=(a1,...,an1,0)(a_1, ..., a_{n-1}, a_n) = (a_1, ..., a_{n-1}, 0)이다. (a1,...,an1,0)W2(a_1, ..., a_{n-1}, 0) \in W_2이므로 (0,...,0,0)(0, ..., 0, 0)이다. 따라서 aW1W2\forall a \in W_1 \cap W_2에 대해 a=0a = 0이고, W1W2={0}W_1 \cap W_2 = \{0\}이다.

  2. W1+W2=FnW_1 + W_2 = F^n임을 증명
    a1,a2,...,an1,ana_1, a_2, ..., a_{n-1}, a_n이 모두 FF에서 뽑은 임의의 원소라고 하자. (a1,a2,...,an)Fn(a_1, a_2, ..., a_n) \in F^n이다.
    (a1,a2,...,an1,0)W1,(0,0,...,0,an)W2(a_1, a_2, ..., a_{n-1}, 0) \in W_1, (0, 0, ..., 0, a_n) \in W_2이므로 (a1,a2,...,an1,an)W1+W2(a_1, a_2, ..., a_{n-1}, a_n) \in W_1 + W_2이다.
    임의의 FnF^n의 원소가 W1+W2W_1 + W_2의 원소이므로 FnW1+W2F^n \subseteq W_1 + W_2이다. 반대로 임의의 W1+W2W_1 + W_2의 원소는 또한 FnF^n의 원소이므로 W1+W2FnW_1 + W_2 \subseteq F^n이다. 따라서 W1+W2=FnW_1 + W_2 = F^n이다.

25.
  1. W1W2={0}W_1 \cap W_2 = \{0\}임을 증명
    임의의 nn차 다항식 hW1W2h \in W_1 \cap W_2를 생각해보자. hW1h \in W_1이므로 hh의 짝수 차수 항의 계수는 모두 0이다. hW2h \in W_2이므로 hh의 홀수 차수 항의 계수도 모두 0이다. h=0xn+0xn1+...+0x+0h = 0x^n + 0x^{n-1} + ... + 0x + 0이다. 즉 영함수다. 임의의 다항식 hW1W2h \in W_1 \cap W_2가 영함수이므로 W1W2={0}W_1 \cap W_2 = \{0\}이다.

  2. P(F)=W1+W2P(F) = W_1 + W_2임을 증명
    임의의 두 nn차 다항식 fW1,gW2f \in W_1, g \in W_2를 생각해보자. W1,W2W_1, W_2의 조건에 따라 다음과 같다.

    f(x)=anxn+an1xn1+...+a2x2+a1x+a0g(x)=bnxn+bn1xn1+...+b2x2+b1x+b0f(x)+g(x)=(an+bn)xn+(an1+bn1)xn1+...+(a2+b2)x2+(a1+b1)x+(a0+b0)\begin{aligned} f(x) &= a_nx^n + a_{n-1}x^{n-1} + ...+ a_2x^2 + a_1x + a_0\\ g(x) &= b_nx^n + b_{n-1}x^{n-1} + ...+ b_2x^2 + b_1x + b_0\\ \\ f(x)+g(x) &= (a_n + b_n)x^n + (a_{n-1} + b_{n-1})x^{n-1} + ...+ (a_2+b_2)x^2 + (a_1+b_1)x + (a_0+b_0) \end{aligned}

    f(x)+g(x)f(x) + g(x)ii차수 항의 계수에 ai,bia_i, b_i에 대해, ai,biFa_i, b_i \in F이므로 ai+biFa_i + b_i \in F이다. 따라서 f+gP(F)f+g \in P(F)이다. 즉 W1+W2P(F)W_1 + W_2 \subseteq P(F)다.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임의의 한 mm차 다항식 hP(F)h \in P(F)를 생각해보자. mm이 짝수라고 가정하자.

h(x)=cmxm+cm1xm1+...+c2x2+c1x+c0h(x) = c_mx^m + c_{m-1}x^{m-1} + ...+ c_2x^2 +c_1x + c_0

h(x)h(x)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h(x)=(0+cm)xm+(cm1+0)xm1+...+(0+c2)x2+(c1+0)x+(0+c0)h(x) = (0 + c_m)x ^m + (c_{m-1} + 0)x^{m-1} + ... + (0 + c_2)x^2 + (c_1 + 0)x + (0 + c_0)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0+cm)xm+(cm1+0)xm1+...+(0+c2)x2+(c1+0)x+(0+c0)=(0xm+cm1xm1+...+0x2+c1x+0)+(cmxm+0xm1+...+c2x2+0x+c0)\begin{aligned} &(0 + c_m)x ^m + (c_{m-1} + 0)x^{m-1} + ... + (0 + c_2)x^2 + (c_1 + 0)x + (0 + c_0)\\ &= (0x^m + c_{m-1}x^{m-1} + ... + 0x^2 + c_1x + 0) + (c_mx^m + 0x^{m-1} + ...+ c_2x^2 + 0x + c_0) \end{aligned}

이때,

(0xm+cm1xm1+...+0x2+c1x+0)W1(cmxm+0xm1+...+c2x2+0x+c0)W2\begin{aligned} (0x^m + c_{m-1}x^{m-1} + ... + 0x^2 + c_1x + 0)\in W_1\\ (c_mx^m + 0x^{m-1} + ...+ c_2x^2 + 0x + c_0) \in W_2 \end{aligned}

이다. 즉 임의의 짝수 nn차 다항식 hP(F)h \in P(F)에 대해, hW1+W2h \in W_1 + W_2다. 이는 임의의 홀수 차수 다항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임의의 P(F)P(F)의 원소가 W1+W2W_1 + W_2의 원소이기도 하므로 P(F)W1+W2P(F) \subseteq W_1 + W_2다.

P(F)W1+W2P(F) \subseteq W_1 + W_2이고 W1+W2P(F)W_1 + W_2 \subseteq P(F)이므로 P(F)=W1+W2P(F) = W_1 + W_2이다.

26.

W1,W2W_1, W_2는 모두 Mm×n(F)M_{m \times n}(F)의 부분공간이다. (증명 생략)

  1. W1W2={0}W_1 \cap W_2 = \{0\}임을 증명
    임의의 행렬 AW1W2A \in W_1 \cap W_2를 생각하자. AAiijj열 성분 AijA_{ij}의 값은 다음과 같다.

    Aij={0,ifi>j0,ifij=0A_{ij} = \begin{cases} 0,\quad if\quad i >j\\ 0,\quad if\quad i \leq j \end{cases} =0

    따라서 A=0A = 0이다. W1W2W_1 \cap W_2의 임의의 원소가 00이므로 W1W2={0}W_1 \cap W_2 = \{0\}이다.

  2. Mm×n(F)=W1+W2M_{m \times n}(F) = W_1 + W_2임을 증명
    임의의 행렬 AMm×nA \in M_{m \times n}을 생각해보자. SW1,TW2S \in W_1, T \in W_2에 대해, S,TS, T의 성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Sij={0,if(i>j)Aij,if(ij)Tij={Aij,if(i>j)0,if(ij)\begin{aligned} S_{ij} = \begin{cases} 0, &if\quad (i > j)\\ A_{ij}, &if\quad (i \leq j) \end{cases}\\ T_{ij} = \begin{cases} A_{ij}, &if\quad (i > j)\\ 0, &if\quad (i \leq j) \end{cases}\\ \end{aligned}

AA의 성분 AijA_{ij}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ij={0+Aij,if(i>j)Aij+0,if(ij)={Sij+Tij,if(i>j)Sij+Tij,if(ij)=Sij+Tij\begin{aligned} A_{ij} &= \begin{cases} 0 + A_{ij}, &if\quad (i > j)\\ A_{ij} + 0, &if\quad (i \leq j)\\ \end{cases} \\ &= \begin{cases} S_{ij} + T_{ij}, &if\quad (i > j)\\ S_{ij} + T_{ij}, &if\quad (i \leq j)\\ \end{cases} \\ &= S_{ij} + T_{ij} \end{aligned}

따라서 AAS+TS + T로 쓸 수 있다. Mm×nW1+W2M_{m \times n} \subseteq W_1 + W_2다.
임의의 UW1,VW2U \in W_1, V \in W_2를 생각해보자. U,VU, V의 임의의 성분은 모두 FF의 원소다. 따라서 U+VU+V의 임의의 성분 (U+V)ijF(U+V)_{ij} \in F이다. 따라서 (U+V)Mm×n(F)(U + V) \in M_{m \times n}(F)이고, W1+W2Mm×n(F)W_1 + W_2 \subseteq M_{m \times n} (F)다.

따라서 Mm×n(F)=W1+W2M_{m \times n}(F) = W_1 + W_2이다.

27.
  1. W1W2={0}W_1 \cap W_2 = \{0\}임을 증명
    임의의 행렬 AW1W2A \in W_1 \cap W_2를 생각하자. AAiijj열 성분 AijA_{ij}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Aij={0,ifij0,ifi=j0,ifi>jA_{ij} = \begin{cases} 0, &if\quad i \neq j\\ 0, &if\quad i = j\\ 0, &if\quad i > j \end{cases}

    따라서 AijA_{ij}의 모든 성분은 00일 수 밖에 없고, A=0A = 0이다. 임의의 W1W2W_1 \cap W_2의 원소가 00이므로 W1W2={0}W_1 \cap W_2 = \{0\}이다.

  2. V=W1+W2V = W_1 + W_2임을 증명
    임의의 행렬 SW1,TW2S \in W1, T \in W2를 생각하자. S+TS+T의 성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S+T)ij={0,ifi>jSij,ifi=jTij,ifi<j(S+T)_{ij} = \begin{cases} 0, &if\quad i > j\\ S_{ij}, &if\quad i = j\\ T_{ij}, &if\quad i < j \end{cases}

    S+TS+T가 상삼각행렬이므로, 따라서 W1+W2VW1 + W2 \subseteq V다.

이번에는 반대로 임의의 상삼각행렬 UU를 생각해보자. UU의 성분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Uij={0+0,ifi>jUij+0,ifi=j0+Uij,ifi<jU_{ij} = \begin{cases} 0 + 0, &if\quad i > j\\ U_{ij} + 0, &if\quad i = j\\ 0 + U_{ij}, &if\quad i < j \end{cases}

이제 U1W1,U2W2U_1 \in W_1, U_2 \in W_2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U1ij={0,ifi>jUij,ifi=j0,ifi<j,U2ij={0,ifi>j0,ifi=jUij,ifi<j{U_1}_{ij} = \begin{cases} 0, &if\quad i > j\\ U_{ij}, &if\quad i = j\\ 0, &if\quad i < j \end{cases} ,\quad {U_2}_{ij} = \begin{cases} 0, &if\quad i > j\\ 0, &if\quad i = j\\ U_{ij}, &if\quad i < j \end{cases}

이제 U=U1+U2U = U_1 + U_2로 쓸 수 있고, UW1+W2U \in W_1 + W_2이다. 따라서 VW1+W2V \subseteq W_1 + W_2이고, V=W1+W2V = W_1 + W_2다.

28.
  1. W1W_1Mn×n(F)M_{n \times n} (F)의 부분공간임을 증명
  • 영행렬 00에 대해, 0ij=0ji=00_{ij} = -0_{ji} = 0이 성립하므로 0W10 \in W_1이다.
  • 임의의 두 행렬 A,BW1A, B \in W_1을 생각. 두 행렬의 iijj열 성분 Aij,BijA_{ij}, B_{ij}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A+B)ijt=Aijt+Bijt=Aji+(Bji)=(Aji+Bji)=(A+B)ji=((A+B))ji(A + B)^t_{ij} = A^t_{ij} + B^t_{ij} = -A_{ji} + (-B_{ji}) = -(A_{ji} + B_{ji}) = -(A + B)_{ji} = (-(A+B))_{ji}
    따라서 W1W_1는 덧셈에 닫혀있다.
  • 임의의 행렬 AW1A \in W_1과 스칼라 aFa \in F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aA)ijt=a(Aijt)=a(Aji)=(aA)ji(aA)^t_{ij} = a(A^t_{ij}) = a(-A_{ji}) = (-aA)_{ji}
    따라서 W1W_1은 스칼라 곱에도 닫혀있다.

따라서 W1W_1Mn×n(F)M_{n \times n}(F)의 부분공간이다.

  1. Mn×n(F)=W1W2M_{n \times n}(F) = W_1 \bigoplus W_2임을 증명
  • W1W2={0}W_1 \cap W_2 = \{0\}임을 증명

AW1A \in W_1이라 하자. Aji=AijA_{ji} = -A_{ij}이다. 만약 AW2A \in W_2라 하면, Aji=AijA_{ji} = A_{ij}이다. 따라서 Aij=Aij-A_{ij} = A_{ij}이고, Aij+Aij=0A_{ij} + A_{ij} = 0이다. 체 FF의 곱셈에 대한 항등원을 11이라 한다면, Aij+Aij=1Aij+1Aij=(1+1)AijA_{ij} + A_{ij} = 1 \cdot A_{ij} + 1 \cdot A{ij} = (1 + 1) A_{ij}이다. 그런데 FF의 지표가 2가 아니므로 (1+1)0(1+ 1) \neq 0이다. 따라서 AijA_{ij}00이다(소거법칙). 즉 W1W2W_1 \cap W_2의 임의의 원소가 갖는 모든 성분은 00이며, 따라서 W1W2={0}W_1 \cap W_2 = \{0\}이다.

  • Mn×n(F)=W1+W2M_{n \times n} (F) = W_1 + W_2임을 증명
    W1+W2Mn×n(F)W_1 + W_2 \subseteq M_{n \times n} (F)는 따로 증명할 필요가 없어보인다. 반대의 경우가 성립하는지 보자. MMn×n(F)M \in M_{n \times n} (F)라 하자. MM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M=12(MMt)+12(M+Mt)M = \frac{1}{2}(M - M^t) + \frac{1}{2}(M + M^t)
    이때 지표가 2가 아닌 체 FF에 대해, 12(MMt)jiW1\frac{1}{2}(M-M^t)_{ji} \in W_1이고, 12(M+Mt)W2\frac{1}{2}(M + M^t) \in W_2다. 임의의 원소인 MMW1,W2W_1, W_2의 원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MW1+W2M \in W_1 + W_2이고, Mn×n(F)W1+W2M_{n \times n}(F) \subseteq W_1+W_2다. 즉 Mn×n(F)=W1+W2M_{n \times n} (F) = W_1 + W_2다.
29.

W1W2={0}W_1 \cap W_2 = \{0\}의 증명은 생략한다. MMn×n(F)M \in M_{n \times n}(F)라 하자. 다음과 같이 성분이 정의되는 행렬 A,BA, B를 생각하자.

Aij={MijMji, (i>j)0, (ij), Bij={Mji, (i>j)Mij, (ij)A_{ij} = \begin{cases} M_{ij} - M{ji},\ (i >j)\\ 0,\ (i \leq j) \end{cases},\ B_{ij} = \begin{cases} M_{ji},\ (i > j)\\ M_{ij},\ (i \leq j) \end{cases}

AW1,BW2A \in W_1, B \in W_2이다. 임의의 원소 MMW1,W2W_1, W_2의 원소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MW1+W2M \in W_1 + W_2이고, Mn×n(F)W1+W2M_{n \times n}(F) \subseteq W_1 + W_2다. 즉 Mn×n(F)=W1+W2M_{n \times n}(F) = W_1 + W_2다.

30.

pf.()pf. (\Rightarrow)
VVW1,W2W_1, W_2의 직합이라 하자. x1+x2=v,x3+x4=vx_1 + x_2 = v, x_3 + x_4 = v라 하자. 단 x1,x3W1,x1x3x_1, x_3 \in W_1, x_1 \neq x_3이고 x2,x4W2,x2x+4x_2, x_4 \in W_2, x_2 \neq x+4라 하자. x1+x2=x3+x4x_1 + x_2 = x_3 + x_4이므로 x1x3=x4x2x_1 - x_3 = x_4 - x_2다. W1,W2W_1, W_2가 부분공간이므로 x1x3W1,x4x2W2x_1 - x_3 \in W_1, x_4 - x_2 \in W_2이고, x1x3,x4x2W1W2x_1-x_3, x_4-x_2 \in W_1 \cap W_2다. 그런데 VVW1,W2W_1, W_2의 직합이므로 W1W2={0}W_1 \cap W_2 = \{0\}다. x1x3=x4x20x_1-x_3 = x_4 - x_2 \neq 0이므로 이는 가정과 모순이 된다. 따라서 vv에 대한 서로 다른 표현은 있을 수 없고 유일하다.

pf.()pf.(\Leftarrow)
임의의 벡터 vVv \in V에 대해 표현 v=x1+x2 (x1Wq,x2W2)v = x_1 + x_2\ (x_1 \in W_q, x_2 \in W_2)이 존재하므로 V=W1+W2V = W_1 + W_2다.

W1,W2W_1, W_2가 모두 부분공간이므로 0W1W20\in W_1 \cap W_2다. W1W2{0}W_1 \cap W_2 \neq \{0\}이라 가정하자. 즉 u0u \neq 0uW1W2u \in W_1 \cap W_2라 하자. uW1,uW2u \in W_1, u \in W_2이므로 v=x1+u+x2uv = x_1 + u + x_2 - u라 쓸 수 있고, x1+uW1,x2uW2x_1 + u \in W_1, x_2 - u \in W_2다. 이때 u0u \neq 0이므로 x1+ux1,x2ux2x_1 + u \neq x_1, x_2 - u \neq x_2다. 만약 x1+u=x3,x2u=x4x_1 + u = x_3, x_2 - u = x_4라 한다면 v=x3+x4v = x_3 + x_4로 쓸 수 있다. 이는 vv에 대한 표현 v=x1+x2v = x_1 +x_2이 유일하다는 가정과 모순이므로 u∉W1W2u \not\in W_1 \cap W_2여야 한다. 즉 W1W2={0}W_1 \cap W_2 = \{0\}이다.

V=W1+W2,W1W2={0}V = W_1 + W_2, W_1 \cap W_2 = \{0\}이므로, V=W1W2V = W_1 \bigoplus W_2다.

31.

(a)
(\Rightarrow) v+Wv +WVV의 부분공간이라고 하자. 0v+W0 \in v + W이고, 0=v+(v)0 = v + (-v)로 쓸 수 있다. v+Wv+ W의 임의의 원소는 v+w(wW)v + w (w \in W)로 쓸 수 있으므로 vW-v \in W다. WWVV의 부분공간이므로 (v)=vW-(-v) = v \in W다.
(\Leftarrow) vWv \in W라 하자. WWVV의 부분공간이므로 vW-v \in W이고, 따라서 v+(v)=0v+Wv + (-v) = 0 \in v + W다.

v+Wv + W의 임의의 원소 u1,u2u_1, u_2를 생각해보자. u1=v+w1, u2=v+w2u_1 = v + w_1,\ u_2 = v + w_2가 되는 w1,w2w_1, w_2WW에 있다. WWVV의 부분공간이고, v,w1,w2Wv, w_1, w_2 \in W이므로 w1+v+w2Ww_1 + v + w_2 \in W다. w1+v+w2w_1 + v + w_2w3w_3라 해보자. v+Wv+W의 임의의 두 원소 u1,u2u_1, u_2의 합 u1+u2u_1 + u_2v+w3v + w3라 쓸 수 있고, w3Ww_3 \in W이므로 u1+u2v+Wu_1 + u_2 \in v + W이다. 즉 v+Wv+W는 합에 닫혀있다.

v+Wv+W의 임의의 원소 uu를 생각해보자. aFa \in F에 대해, au=a(v+w)=av+awau = a(v+ w) = av + aw라 쓸 수 있다(wWw \in W). vWv \in W이고 WW가 부분공간이므로 auWau \in W이고, v+auW-v + au \in W다. 따라서 v+(v+au)=auv+Wv + (-v + au) = au \in v + W이다. 즉 v+Wv+W는 스칼라곱에도 닫혀있다. 따라서 vWv \in W이면 v+Wv + WVV의 부분공간이다.

(b)
(\Rightarrow) v1+W=v2+Wv_1 + W = v_2 + W라 해보자. 이때 v1+Wv_1 + W의 임의의 원소 v1+w1v_1 + w_1v2+w2v_2 + w_2로도 쓸 수 있다(w1,w2Ww_1, w_2 \in W). v1+w1=v2+w2v_1 + w_1 = v_2 + w_2이고, v1v2=w2w1v_1 - v_2 = w_2 - w_1이다. WW가 부분공간이므로 w2w1Ww_2 - w_1 \in W다. 따라서 v1v2Wv_1 - v_2 \in W다.

(\Leftarrow) v1v2Wv_1 - v_2 \in W라 하자. v1+Wv_1 + W의 임의의 원소는 v1+w1v_1 + w_1으로 쓸 수 있다. v1v2Wv_1 - v_2 \in W이므로 v2v1Wv_2 - v_1 \in W다. WW가 부분공간이므로 w1+v2v1Ww_1 + v_2 - v_1 \in W이다. v1+w1+v2v1=w1+v2v2+Wv_1 + w_1 + v_2 - v_1 = w_1 + v_2 \in v_2 + W이다. v1+Wv_1 + W의 임의의 원소가 v2+Wv_2 + W의 원소이므로 v1+Wv2+Wv_1 + W \subseteq v_2 + W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증명할 수 있고, v1v2Wv_1 - v_2 \in W이면 v1+W=v2+Wv_1 + W = v_2 + W임이 증명된다.

(c) 패스

(d)
벡터공간이 만족해야 하는 8가지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중 (VS3)만을 증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한다.
(VS3 증명) VV가 부분공간이므로 0V0 \in V이고, 0+WS0 + W \in S다. SS의 임의의 원소 v1+Wv_1 + W에 대해, (v1+W)+(0+W)=(v1+0)+W=v1+W(v_1 + W) + (0 + W) = (v_1 + 0) + W = v_1 + W다. 즉 SS에는 합에 대한 항등원인 0+W0 + W이 존재한다.

profile
박가 영서라 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