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ormer]-1 Positional Encoding은 왜 그렇게 생겼을까? 이유

안 형준·2021년 9월 10일
7

DLmath

목록 보기
3/5

Positional Encoding

트랜스포머의 입력은 RNN과 달리 한꺼번에 모든 요소가 들어가기 때문에, 번역, 요약이나 대답을 하는 모델을 만들 때, 토큰의 선후관계나 거리를 유추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각 임베딩 벡터에 모종의 처리를 하여 패턴을 학습하기 수월하게 했는데요. 주로 사용되는 Sinusoidal Positional Encoding의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좋은 인코딩을 찾기 위한 시도들

이 부분은 Master Positional Encoding: Part I 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사진 역시 동일한 출처입니다.

0. Fixed positional encoding

positional encoding은 크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fixed positional encoding은
position마다의 positional encoding이 정해져 있는 경우입니다. 즉 1번째 자리는 어느 sequence에서든 같은 positional encoding vector가 들어 있어야 합니다. 앞으로 나올 예시는 모두 fixed positional encoding입니다.

1. Just count:


이 방식은 깔끔해 보이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숫자가 너무 빨리 커져서 Weight가 갈수록 커지게 되고, gradient vanishing이나 gradient explosion등 학습이 불안정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2. Normalize the “just count” guess:


그렇다면 Normalize하면 어떨까요? 1번 방법에서 모든 값은 (max_len-1)로 나눠주면 됩니다. 이제 모든 값은 0에서 1 사이이므로 안정적인 학습이 이뤄질 것 같습니다. 그러나 길이가 가변적이거나, max_len이 다른 데이터셋 끼리의 비교는 힘듭니다. 좋은 fixed positional encoding은 같은 포지션이라면 같은 positional encoding vector를 갖고, 다른 포지션이라면 다른 positional encoding vector를 가져야 하는데, 이 경우 max_len = 13 인 데이터셋에서의 10번째 자리와, max_len = 5인 dataset에서 4번째 자리가 같은 positional encoding vector(0.75)를 가지게 되면서 바람직한 인코딩이 아니게 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어떤 max_len을 갖는 데이터셋에든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3. Just count! but using binary instead of decimal:

방법 1, 2까지 positional encoding vector라고 부른 것들은 사실 1x1 사이즈의 스칼라였습니다. 이제부터는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d_model 차원 벡터가 되었습니다. 각 열벡터가 하나의 positional encoding vector가 되고, 이진수로 현재의 위치를 표현하게 됩니다. 2^d 보다 작은 max_len을 갖는 dataset은 모두 표현할 수 있고, 가변적인 길이에도 같은 위치라면 같은 값이 할당되기에 좋은 성질을 갖습니다. 값도 0과 1 사이라서 안정적인 학습에도 바람직해 보입니다. (평균이 0이 되길 원한다면 0과 1 대신 -1과 1을 갖게 해도 상관없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도 본질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Our binary vectors come from a discrete function, and not a discretization of a continuous function.

이산적 함수의 출력이라서 문제가 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연속함수인 y = x의 출력 (0,  0.33,  0.66,  1.00)(0,\; 0.33,\; 0.66,\; 1.00) (방법2)-파랑과
이산함수의 이진수 출력 ((0,0),(0,1),(1,0),(1,1))((0,0), (0,1), (1,0), (1,1)) (방법3)-검정을 비교해보겠습니다.

파랑 선은 점 사이 간격이 일정한 것을 볼 수 있지만, 검은 점들 간 거리는

(0,0)(0,1):1(0,1)(1,0):2(1,0)(1,1):1(0,0) \rightarrow (0,1) : 1 \\ (0,1) \rightarrow (1,0) : \sqrt{2} \\ (1,0) \rightarrow (1,1) : 1

가 됩니다. 같은 거리를 상정 (D(01)  =  D(12)(D(0\rightarrow1)\;=\; D(1\rightarrow2) 이 되기를 원함)) 했음에도 모델은 다른 거리로 판단하게 되는 것(D(01)    D(12))(D(0\rightarrow1)\;\neq\; D(1\rightarrow2))입니다. 이는 고차원으로 갈수록 더욱 문제가 되어 binary count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음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점들이 등간격으로(혹은 거리로 써 먹을 수 있는 값을 뽑아낼 수 있는)배열된 부드러운 곡선을 찾는것, 다시 말하자면
embedding manifold를 찾는 것입니다.

So with pictures, we want a function that connects the dots in a smooth way that looks natural. For anyone who has studied geometry, what we are really doing is finding an embedding manifold.

4. Use a continuous binary vector:

이제 연속적이고 부드러운 함수를 찾아야 합니다.
0과 1을 부드럽게 움직이는 함수는 진동, 주기성과 관계가 있고, 모두 삼각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ine을 이용해 보겠습니다.

Sine은 진동수(얼마나 빨리 회전하여 한 바퀴 도는지)와 진폭(한 바퀴 돌 때 얼마나 변하는지)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위상차는0으로 고정) -1부터 1까지 진동하는 것은 이미 Normalize가 된 것이므로 진폭은 손대지 않고 진동수만의 차이를 주어 그 sine들의 출력으로 positional encoding을 시도해 보겠습니다.

이제부터는 positional encoding vector를 행벡터로 표현하겠습니다. sine들은 다른 속도로 도는 다이얼로 묘사되어 있고, 90°90\degree를 이동하는데 몇 time step이 걸리는지 ×N\times N 으로 표시했습니다.
오른쪽으로 한 칸씩 가면 같은 각을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두배가 됩니다. 즉 절반의 진동수로 도는 구조입니다. 이 경우, 가장 느린 쪽이 한 바퀴를 돌기 전까지의 사인값의 순서쌍이 모두 다르게 됩니다. (반 바퀴째를 도는 순간을 제외하면)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y1=sin(π2x1)y2=sin(π4x2)y3=sin(π8x3)\newline y_1 = sin(\frac{\pi}{2}x_1) \newline[10pt] y_2 = sin(\frac{\pi}{4}x_2) \newline[10pt] y_3 = sin(\frac{\pi}{8}x_3)

The colors indicate the absolute position that that coordinate represents. Frequencies are omega=pi/2, pi/4, pi/8 for dimensions 1, 2 and 3 respectively.

(0,  0,  0)(0,\; 0,\; 0)에서 시작해서 Dim 3 이 가장 느리게 진동하고, Dim 2는 그 두배, Dim 1은 Dim 2의 두배로 진동하는 상황의 사인값의 순서쌍을 공간에 그렸습니다. 스텝사이 간격이 일정한, 부드러운 함수가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고쳐야 할 문제점이 두개 남아있습니다.

5. Final answer

문제점1. 직전그림을 보면 DIm 3의 사인함수가 반바퀴 돌았을 때, 원래의 위치로 돌아옵니다. 이 경우 1번째 스텝과 반 바퀴를 돌았을 때의 스텝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져 모델 학습에 영향을 미칩니다.

문제점2. 스텝 차이에 의존하는 변환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제점 1의 경우 각 sine들의 주기가 가장 느린 sine 주기의 2n2^n
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고,
문제점 2는 (x+Δx)  =  T(Δx)x(x+\Delta x)\;=\;T(\Delta x)x를 만족하는, Δx\Delta x에만 의존하는 T(Δx)T(\Delta x) 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Sinusoidal Encoding

Sinusoidal Encoding의 식은 위와 같이 주어집니다. 주기는 ω\omega에 반비례하므로 100002k/d10000^{2k/d}에 비례하게 되고, 문제점 1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cosine을 사용하게 되면,
Translation operator가 위와 같이 정의되므로 문제점 2또한 해결됩니다.

보너스 성질
트랜스포머에서는 내적이 매우 많이 사용됩니다. 이 때, 두 벡터 사이의 내적을 구한다면 (x+Δx)tx  =  (T(Δx)x)tx  =  xtTt(Δx)x\\(x+\Delta x)^t x\;=\;(T(\Delta x)x)^tx\;=\;x^tT^t(\Delta x)x입니다. Tt(Δx)T^t(\Delta x)는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변환을 의미하므로, 결국 회전변환을 적용한 벡터 Tt(Δx)xT^t(\Delta x)xxx의 내적이 되어 차이 Δx\Delta x가 커질수록 내적이 작아지는 경향성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적을 사용하는 트랜스포머 구조에서 포지션 간 간격에 대한 패턴을 학습하기 좋습니다

결론

Sinusoidal Positional Encoding은 부드러운 함수에서 추출되고, 좋은 성질이 있어서 포지션 끼리 가까우면 내적이 크고, 멀면 내적이 작아져서 내적으로부터 거리관계를 대략 유추해낼 수 있습니다. 또한 max_len이 다양한 dataset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합니다.

Sinusoidal Positional Encoding은 이처럼 많은 장점이 있어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
물리학과 졸업/ 인공지능 개발자로의 한 걸음

1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