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학습 일기 14차시

Gjs831·2025년 7월 31일
0

PART 04 네트워크 장비에 관한 이야기

목차

  •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 라우터 vs 스위치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Algorithm)

루핑 현상은 보통 스위치와 스위치간을 이중으로 연결했을때 발생한다.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은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나왔다.

자동으로 루핑을 검색해서 루핑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미리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이 루핑을 해결하는 방식

두 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하면 하나를 제외하고 나머지 경로를 자동으로 막아두었다가
기존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아놓은 경로를 풀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루핑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왜 스위치의 링크를 하나 더 연결할까?

지금 사용하는 하나의 링크가 끊어졌을 떄를 대비하는 것이다.

즉, 사용중인 링크가 끊어지면 그때 대기하던 나머지 하나가 살아나서 데이터 전송을 맡아준다.

참고로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에 의해 현재의 링크가 끊어지고 다른 링크가 살아나서 다시 연결을 해주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분이라고 한다.


라우터 vs 스위치

  • 가격: 보통 라우터가 스위치보다 비싸다.
  • 속도: 스위치가 우세하다.
  • 구성의 편리함: 스위치가 더 구성이 쉽다.

이렇게 보면 스위치만 써도 될 것 같지만, 스위치로는 풀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들을 보자.

1. 브로드캐스트

만약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전체가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라고 생각해보자.

전 세계의 PC들이 상대의 맥주소를 찾기 위한 ARP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브로드캐스트이다.

전 세계의 PC들이 브로드캐스트를 한다면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PC도 사용을 하지 못할 것 이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줘야 하는데 라우터가 필요하다.
(스위치가 라우터의 역할까지 수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레이어 3 스위치", "L3 스위치" 라고 한다.)

2. 보안 기능

라우터는 스위치가 보장 못하는 보안 기능, 즉 패킷 필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3. 로드 분배

여러 개의 경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여러 경로를 타고 날아갈 수 있다.

따라서 한쪽 경로에 문제가 생겨도 바로 다른 경로를 통해 날아갈 수 있다.

스위치도 이런 기능이 있지만 제한적이다.

결론은?

스위치와 라우터를 적당히 사용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