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학습 일기 4차시

Gjs831·2025년 7월 9일
2

PART 02 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

목차

  • MAC 주소 (MAC Address) 미리보기
  • [ 실습 ]자신의 컴퓨터의 MAC 주소 확인해보기
  • ARP 알아보기
  • MAC 주소에 자세히 알아보기

MAC 주소(MAC Address) 미리보기

  • 통신을 위해 서로를 구분할 일종의 주소



MAC 주소와 IP 주소의 관계

  • 통신을 위해서는 각 장비마다 IP주소가 할당되고, 또 그 주소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 즉 통신을 위해 IP주소를 사용한다.
  • 이 경우에도 MAC 주소를 사용한다.
  • 그 이유는 우리가 IP주소를 사용하니까 IP주소만 있으면 될 것 같지만 IP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실습 ] 자신의 컴퓨터의 MAC 주소를 확인해보자!

1. win키를 누르고 'cmd'라고 입력 후 실행한다.
2. 열린 cmd창에 'ipconfig/all' 명령어를 입력후 엔터로 실행한다.
3. 명령어가 실행되면 'Physical address' 또는 '물리적 주소'라고 보이는 주소가 본인의 MAC 주소임을 알 수 있다.

실습 결과 ↓
맥주소 확인


ARP 알아보기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단독 네트워크, 즉 라우터를 거치지 않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의 통신을 나타낸 이미지 ↓
ARP 요청과 응답 1
위 사진에서 PC Y와 PC Z가 통신을 하려고 한다.
이때 PC Y는 PC Z의 IP 주소를 알고 있다.

PC Y는 자기가 속한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PC에 메시지를 보낸다. (이를 브로드케스트 라고 한다. 나중에 다시 학습한다.)
이때 우리 네트워크에 Z라는 녀석이 있으면 내가 통신하고 싶으니 MAC 주소좀 알려달라고 요청한다.

이때 Z는 Y와 같은 네트워크에 있기 때문에 Y가 보낸 브로드캐스트를 받고 MAC 주소를 알려주어 통신을 시작하게 된다.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PC만이 브로드캐스트를 받을 수 있다.)


호스트 Z가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즉 라우터를 넘어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
ARP 요청과 응답 2
PC Y와 PC Z가 통신을 하려한다.

이 경우에는 호스트 Y가 브로드캐스트를 보내도 호스트 Z는 중간의 라우터 때문에 브로트캐스트가 통과되지 못해 메시지를 받을 수 없다.

그럼 서로 어떻게 통신할 수 있을까?

PC Y가 우리 네트워크에 PC Z가 있다면 통신을 위해 맥 주소를 알려달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이렇게 메시지를 보내면 PC Y와 연결되어 있는 라우터는 PC Z의 IP 주소를 보고 이 PC가 우리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아 답변이 없을거라는 것을 알게된다.

이를 알게 된 라우터는 PC Y에 라우터 자신의 맥 주소를 보내준다.

즉, PC Y는 PC Z에게 데이터를 보낼 때, 자신과 연결된 라우터의 맥 주소를 목적지로 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 후 PC Z가 속한 네트워크의 라우터가 PC Z의 맥 주소를 찾아 해당 맥 주소를 이용해 PC Z에게 최종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과정을 간단히 표현하면 IP 주소와 MAC 주소를 통해
PC Y -> 라우터 -> PC Z 그리고 PC Z -> 라우터 -> PC Y 이런 순서로 통신 한다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 MAC 주소: Physical 주소
  • IP 주소, IPX 주소: Logical 주소

라고 부른다.


MAC 주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네트워크(Ethernet)에 붙는 각 장비들에 부여되는 48bit(6octet)의 주소.
  • 랜카드, 라우터, 스위치 등등 모두 고정되어 있는 맥 주소를 가진다.
  • 이 주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주소이다.
  • 8자리마다 하이픈(-)이나 콜론(:), 점(.)으로 구분된다.
    예시
    • 00-60-97-8F-4F-86
    • 00:60:97:8F:4F:86
    • 0060.978F.4F86
      원래 맥 주소는 2진수로 48bit가 되지만, 너무 길어져 위처럼 16진수로 표현한다.
  • 앞쪽 6개의 16진수, 즉 00-60-97를 벤더, 즉 생산자를 나타내는 코드로 OUI(Organization Unique Identifier)라고 부른다. 이를 확인해 어느 회사에서 만든 제품인지 알 수 있다.
  • 나머지 뒤쪽 6자리 수가 메이커에서 각 장비에 분배하는 Host Identifier시리얼 넘버 이다.

옥텟 (octet): 8개의 비트를 묶은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