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학습 일기 3차시

Gjs831·2025년 7월 7일
2

PART 02 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

목차

  • 통신 케이블에 대하여
  • UTP와 STP 케이블에 대하여
  • UTP의 카테고리
  • 케이블 종류를 말할 때의 법칙
  • 우리가 많이 쓰는 케이블의 종류

통신 케이블에 대하여

  • 네트워크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케이블이든 반드시 케이블이 들어가야 한다.

케이블의 종류

  • 광케이블
  • UTP 케이블
  • 동축 케이블 등등...

    이 포스트에선 UTP 케이블만 설명한다.

UTP와 STP 케이블에 대하여

  • 일단 TP 케이블이란 Twisted - Pair, 즉 서로 꼬여있는 케이블이란 뜻.ㅤ

  • Tp에는 UTP와 STP가 있다.

UTP (Unshielded TP)

  • 감싸지 않은 TP를 뜻함
  • 주로 우리가 사용하는 케이블

STP (Shielded TP)

  • 케이블 주위를 어떤 절연체로 감싼 케이블
  • UTP에 비해 더 비싸고 성능이 좋다.
  • EMI (전자파 간섭)를 줄였다.
  • 주로 토큰링쪽에 많이 쓰이는 추세이다.

UTP의 카테고리

카테고리 1

  • 주로 전화망에 사용한다.
  • 데이터 전송용으로는 맞지 않는다.

카테고리 2

  • 데이터를 최대 4Mbps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카테고리 3

  • 데이터를 최대 10MBPS 속도까지 전송할 수 있다.
  • 10 Base T 네트워크 (Ethernet LAN에서 UTP 케이블을 사용하는 케이블 연결방식)에 사용된다.

카테고리 4

  • 토큰링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 최대 16Mbps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가진다.

카테고리 5

  • 최대 100Mbps를 지원하는 Fast Ethernet용으로 사용되었다.
  • 얼마 전에 기가비트 표준이 완성되어 기가비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다 (8가닥 모두 사용시).

카테고리 6

  • 기가비트 이상의 속도에 적합하다.
  • Cat6 (카테고리 6)Cat6a로 구분되는데 Cat6a가 성능이 더 좋고 최대 10Gbps를 지원한다.

카테고리 7

  • 10Gbps 속도 이상을 지원한다.
  • 현재 케이블에서 10Gbps를 사용하려 한다면 최소 Cat6 케이블 이상이 필요하다.
  • Cat6 케이블 에서도 10Gbps로 100미터 이상을 지원하려면 최소 Cat6a 이상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케이블 종류를 말할 때의 법칙

케이블 종류

  • 베이스밴드 (Baseband): 디지털 방식
  • 브로드밴드 (Broadband): 아날로그 방식

10 Base T 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자

  • 10은 속도를 의미한다 (10Mbps 속도를 지원하는 케이블).
  • Base는 케이블이 Baseband용 케이블이라는 뜻이다.
  • T의 자리에는 케이블의 종류 또는 케이블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거리가 나온다. 여기선 T로 표현되었는데 이는 TP케이블을 뜻한다. 즉 UTP케이블을 나타낸다.

10 Base 5 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자

  • 10Mbps의 속도이다.
  • Baseband용 케이블이다.
  • 최대 500미터까지 전송이 가능하다.

우리가 많이 쓰는 케이블의 종류

10 Base T

  • 10Mbps로 통신하고 최대 거리가 100미터인 UTP 케이블
  • 카테고리 3, 4, 5를 사용할 수 있다.
  • RJ45잭을 사용해 연결해 준다.

10 Base FL

  • 10Mbps로 통신하는 광케이블 ( FL(Fiber-optic)이 광케이블을 뜻한다. )
  • ST 커넥터라는 것을 사용해 연결한다.
  • 광케이블은 싱글 모드 또는 멀티 모드 케이블을 사용한다.

10 Base 2

  • 10Mbps로 통신하고 최대 거리가 200미터인 케이블
  • 현재는 UTP 케이블에 밀려 자취를 감췄다.

10 Base 5

  • 10Mbps로 통신하고 최대 거리가 500미터인 케이블
  • 두껍게 생겼다고 해서 Thick 케이블 라고 하거나 색이 노랗다고 해서 옐로우(Yellow) 케이블 라고 한다
  • 주로 백본 케이블, 즉 중앙망용으로 천장 위에 설치하고 트랜시버 케이블을 이용해 천장에서 하나씩 뽑아 내린다음 PC의 랜카드와 연결하였다.

100 Base TX

  • Category 5 UTP 케이블을 사용하는 케이블
  • 최대 거리는 100미터, 전송 속도는 100Mbps인 케이블 이다.

100 Base T2

  • 보통 100Mbps 속도를 내려면 위에서처럼 Category 5케이블을 사용하지만, 이 방식을 스면 Category 3, 4, 5를 전부 사용해 100M를 구현할 수 있다.
  •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 듯 하다.

100 Base T4

  • Category 3케이블을 가지고 100Mbps용으로 사용할 떄 만드는 케이블
  • 다른 케이블은 2페어(4가닥)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4페어(8가닥)을 전부 사용한다.

100 Base FX

  • 100Mbps 광케이블을 이용해서 구현한다.
  • 전송 거리는 2km에서 10km까지 가능하고 SC라는 네모난 접속 커넥터를 이용해서 접속한다.
  • ST(동그랗게 생겨서 돌려서 끼우는 방식)도 사용하지만 일반적이진 않다.

1000 Base SX

  • 기가비트 즉 1000Mbps의 속도가 나는 케이블
  • Short Wavelen-gth라는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 최대 전송 거리는 약 270미터에서 550미터 정도이다.

1000 Base T

  • 최대 거리가 100미터로 1,000Mbps로 UTP케이블을 통해 전송한다.
  • 케이블의 경우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전송 거리는 점점 짧아진다.
  • 광케이블의 한 가닥을 코어라고 부른다. 통신을 위해서는 최소 2코어의 광케이블이 필요하다. (송신, 수신 각각 하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