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학습 일기 5차시

Gjs831·2025년 7월 13일
2

PART 02 네트워크와 케이블, 그리고 친구들

목차

  • 유니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 멀티캐스트

들어가기 전에..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모두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을 한것이다.

유니캐스트 (Unicast)

유니캐스트란?

  • 1:1 통신 방식

유니캐스트의 통신 방식

통신을 위해서는 전송되는 프레임 안에 항상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 즉 맥 주소가 들어 있어야 한다.

유니캐스트는 여기서 단 하나의 목적지만 프레임 안에 들어있다.

어떤 PC가 유니캐스트 프레임을 뿌리면(이더넷에서) 그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PC들은 전송된 프레임을 받아드리고 랜카드에서 자신의 맥 주소와 비교한다(자신의 맥 주소 == 랜카드의 맥 주소).

만약 자신의 랜카드 맥 주소와 목적지 맥 주소가 다르면 그 프레임을 버린다.
만약 같다면 랜카드는 이 프레임을 CPU로 올려보낸다.

이 후 CPU가 알아서 처리한다.


브로드캐스트 (Broadcast)

브로드캐스트란?

  • 1:전채 통신 방식

브로드캐스트의 통신 방식

로컬 랜: 라우터에 의해서 구분된 공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이라고 불림

특정한 어떤 한 네트워크 장비가 아니라 로컬 랜에 붙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통신을 보낸다. 받기 싫어도 무조건 받는다.

브로드캐스트의 주소는 FFFF.FFFF.FFFF(맥 주소로 했을때)이다. 이 주소가 오면 랜카드는 비록 자신의 맥 주소와는 다르지만 버리지 않고 CPU로 패킷을 보낸다.

그 후 CPU가 알아서 처리한다.


유니캐스트와는 다르게 브로드캐스트는 네트워크상의 전체 노드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트래픽도 증가하지만, 이 패킷을 받은 모든 랜카드가 패킷을 CPU로 전송하기 떄문에 PC 성능도 떨어진다.

즉 과도한 브로드캐스트는 전체 네트워크 성능 뿐만 아니라 전체 PC의 성능도 떨어지게 한다.

브로드캐스트가 발생하는 경우

  • ARP (4차시 참고...)
  • 라우터끼리의 정보 교환하거나 다른 라우터를 찾을 때
  • 서버들이 자신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모든 클라이언트들에게 알릴때

등등..


멀티캐스트 (Multicast)

멀티캐스트란?

  • 1:다수 통신 방식

멀티캐스트의 통신 방식

그 그룹에 속해있는 사람들에게만 선택적으로, 한번에 데이터를 보내는 통신 방식.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이 기능을 지원해 주어야지만 쓸 수 있다.
만약 지원하지 않는다면 라우터는 멀티캐스트를 브로드캐스트로 취급해 다 막아버리고, 스위치는 브로드캐스트처럼 모든 포트로 뿌려버린다.

사용 예시

  • 스트리밍 서비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