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OSI 7 Layer
- 프로토콜 (Protocol)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누 것.
통신을 7개의 단계로 표준화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ISO라는 곳에서 만들었다.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통신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기구
7.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6.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5. Session Layer (세션 계층)
4.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3.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2.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통신의 맨 아래 단계로 OSI 7계층에서는 1계층에 해당한다.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통신 단위: 비트 (bit)
비트 (bit): 1과 0으로 나타내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상태인 것
대표적인 장비: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OSI 7계층에서 2계층에 해당한다.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통신에서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도 하고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통신 단위: 프레임 (Frame)
대표적인 장비: 브리지, 스위치
OSI 7계층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한다.
이를 '라우팅' 이라고 한다.
즉,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며,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준다.
통신 단위: 패킷(Packet)
대표적인 장비: 라우터, Layer 3 스위치
OSI 7계층에서 4계층에 해당한다.
흐름 제어와 에러 복구를 한다.
즉, 에러 복구를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거나 흐름을 제어해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대표 프로토콜: TCP, UDP
OSI 7계층에서 5계층에 해당한다.
서로 다른 컴퓨터 사이에서 통신 연결을 만들고 유지하며 관리한다.
누가 언제 데이터를 주고받을지 조절해 충돌 방지한다.
OSI 7계층에서 6계층에 해당한다.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구조 차이를 맞춰 주고,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처리한다.
즉, 데이터의 형식 변환과 암호화, 압축을 담당한다.
OSI 7계층에서 7계층에 해당한다.
사람이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크롬, 네이버, 유튜브, 이메일 등)이 네트워크랑 대화하는 통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최종 서비스 제공을 담당한다.
대표 프로토콜: http, https, ftp, dns 등
자신의 PC와 친구의 PC 사이에서 이메일을 주고받는다고 가정한 이미지 ↓
자신이 보낸 이메일은 각 각 단계를 내려가면서 포장된다. 그리고 그 포장 앞에는 헤더라는 정보가 붙는다.
헤더에는 그 계층을 잘 지나가기 위해 각 계층별로 관리하는 여러 가지 관리 사항들이 붙는다.
맨 처음에 만들어낸 데이터의 크기에 비해서 실제 전달되는 데이터는 헤더와 같은 정보가 붙여지면서 더 커지게 된다.
컴퓨터 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 꼭 필요한 서로 간의 통신 규약 또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
프로토콜이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