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학습 일기 7차시

Gjs831·2025년 7월 15일
2

PART 03 TCP/IP와의 만남

목차

  • TCP/IP
  • TCP/IP 4 Layer 간단한 설명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PC는 모두 TCP/IP가 세팅되어있다.

ARPANET에 의해서 처음 개발되었다.

각각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호스트들은 고유의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까지도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호스트들의 고유 주소는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InterNIC)라는 단체에서 관리 분배되고 있다.

TCP/IP에서 /(슬래시)는 IP계층을 사용하면서 그 위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TCP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TCP말고 UDP도 있지만 UDP/IP라고는 사용하지 않는다.


TCP/IP 4 Layer(레이어, 계층)

통신을 크게 4가지 계층으로 나눈것.

나눈 이유는 OSI 7 Layer와 같다.

TCP/IP 4계층 Layer의 순서

4. Application Layer(인터넷 계층)
3.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2. Internet Layer(인터넷 계층)
1. Network Access Layer(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각 계층의 정말 간단한 설명

Network Access Layer(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TCP/IP 계층에서 1계층에 해당한다.
OSI 7계층에서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을 합친것과 같다.

Internet Layer(인터넷 계층)

TCP/IP 계층에서 2계층에 해당한다.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과 같다.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TCP/IP 계층에서 3계층에 해당한다.
OSI 7계층에서 전송 계층과 같다.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TCP/IP 계층에서 4계층에 해당한다.
OSI 7계층에서 세션 계층과 표현 계층과 응용 계층을 합친것과 같다.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7월 24일

tcp궁금했는데 잘 정리해주셨네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