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다운 게임 만들기

pjh_h·2021년 12월 20일
0
post-thumbnail

캠프 2주차는 개인프로젝트로 시작된다.

사실 코린이에게 프로젝트라고 하니 엄청나고 대단한 무언가로 다가왔다.

걱정부터 앞선 나에게 주어진 첫 개인프로젝트는 2가지 업다운 게임만들기이다.

🎲 [첫번째 게임의 간단한 설명]
1. 컴퓨터가 1~100 중에서 임의의 수를 랜덤으로 정하면, 플레이어가 해당 수를 맞히는 게임입니다.
2. 컴퓨터가 정한 수가 플레이어가 말한 수보다 작으면 컴퓨터는 '업'이라고 말하고,
크다면 컴퓨터는 '다운'이라고 말해서 힌트를 줍니다.
3. 플레이어는 힌트를 토대로 5회 안에 컴퓨터가 정한 수를 맞혀야 합니다.


1번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은 시간이 소요된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서 매우 뿌듯했다.

🎲 [두번째 게임의 간단한 설명]
1. 플레이어가 1~100 중에서 임의의 수를 정하면, 컴퓨터가 해당 수를 맞히는 게임입니다.
2. 플레이어가 정한 수가 컴퓨터가 말한 수보다 작으면 플레이어는 '업'이라고 말하고,
크다면 플레이어는 '다운'이라고 말해서 힌트를 줍니다.
3. 컴퓨터는 플레이어가 주는 힌트를 토대로, 수를 맞힐 때까지 계속해서 시도합니다.


2번 문제는 예외처리도 할려고 하고 컴퓨터에게 업인지 다운인지 알려주면 어떻게 반영시킬 것인지도 고민을 많이 했으나 결국 시간내에 완성하지 못하였다.
💧 아래 2가지가 가장 난해했던 부분이다.
1. 내가 정한 숫자: P와 컴퓨터가 정한 숫자:C가 있다고 하면,
P가 C보다 클 경우에 내가 업,다운을 바르게 입력하지 않고 반대로 입력했을 경우의 예외처리
2. P가 C보다 클 경우와 내가 업을 입력했을 입력했을 경우 2가지 상황을 한번에 반영하는 법


위 코딩이 해설강의를 듣기 전의 무지한 나의 코딩이다.
정말 형편없고 왜 저렇게 했냐고 물어봐도 할 말이 없지만 약 2시간 가량의 고민이 담긴 녀석이다.

💗 처음 만든 나의 코딩과 과 해설강의를 듣고 난 후의 나의 코딩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1. 내가 만든 것과의 처음부터 보이는 차이는 범위 설정 방법이다.
    내가 만든 방법은 최솟값과 최댓값을 지정하여 설정했다.
  2. Player가 100 이상의 숫자를 입력하였을 때의 예외처리도 다르다.
    나는 if와 while 구문을 합쳐서 만들었는데 해설에선 while not in 으로 간단하게 만들었다.
  3. 범위를 리스트화 시켜서 해결해나갔다.
    사실 이 부분을 생각했었다. 하지만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몰라서 나는 포기하였다.
  4. if 구문안에 and를 삽입해서 2가지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부분은 내가 고민했던 것 중 2번 째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5. 4번에 연결하여 else로 예외처리 하였다.

지금 다시 내가 처음 만들었던 것을 보니 '왜 저렇게 만들었나?' 싶다.
해설 강의를 보며 다시 내가 직접 코딩을 했고 위 벨로그에 있는 사진들은 다 내가 직접 다시 만든 코딩들이다.
해설 강의를 들으면서 발표를 하신 대단한 분들도 계셨고, 너무 잘하시는 분들이 많아 앞으로의 프로젝트가 걱정이긴 하지만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내에서 최선을 다하고 몰입해서 내일도 프로젝트를 해결해나갈수 있으면 좋겠다.
(벨로그를 쓰는 도중에 팀원에게 도움요청을 받아 내가 한번 해설강의를 해보았는데 덕분에 range함수에 대해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다시 한번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사실 너무 뿌듯했다.)
내일도 화이팅~🔥🔥🔥🔥🔥

profile
까짓거 한번 해보죠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