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호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s : 문자열%d : 정수%f : 실수" " 안에 %기호를 사용하고, 맨 뒤에 %로 그 자리에 들어갈 값을 입력해주면 된다.문자열과 정수의 경우 %와 s,d사이에 숫자를 입력하면 그 숫자만큼 빈칸을 만든다.그리고 내가 입력
append(값)리스트 맨 뒤에 추가insert(인덱스, 값)내가 지정한 위치에 추가del 리스트인덱스인덱스를 사용해 삭제하는 방법다른 모듈과 달리 리스트 앞에 del을 선언한다.리스트 슬라이싱을 사용해 여러개를 한번에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pop(인덱스)인덱스를 사
test.txt 파일을 먼저 만들었다.open(파일경로, 파일모드)<파일 모드>파일 모드는 파일을 어떤 목적으로 open할지 정한다'w' : 쓰기 전용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고, 이미 있으면 이전 내용을 지우고 쓴다.)'a' : 쓰기 전용 (파일이 없으면 새로
two_dimensional_list = \[ 'dongwook', 50, 'sineui', 89, 'ikjoong', 68, 'yoonsoo', 88 ]df1 =
텍스트파일은 파이썬으로 열고, 쓰고, 읽고, 닫을 수 있다.모든 파일은 순서로 사용한다.먼저 파일을 open(파일명, 모드)으로 열어준다. open()의 모드에는 4가지가 있다.파일명에 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면 파이썬이 실행되는 위치에서 텍스트파일이 생성된다.경로는 'C
1. line plot 기간(x)에 따른 변화(y)를 보는 경우가 많음 y값이 숫자형인 경우만 가능! DataFrame 정보 df.plot(kind="line") kind="line" 이 디폴트라 생략 가능 df.plot(y=[col1, col2]) 특
1. bar plot 카테고리 비교를 위해 사용 DataFrame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