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파일은 파이썬으로 열고, 쓰고, 읽고, 닫을 수 있다.
모든 파일은
순서로 사용한다.
file = open(파일명, 모드)
먼저 파일을 open(파일명, 모드)으로 열어준다.
open()의 모드에는 4가지가 있다.
파일명에 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면 파이썬이 실행되는 위치에서 텍스트파일이 생성된다.
경로는 'C:/Document/test.txt' 처럼 절대경로 또는 '../Document/text.txt'처럼 상대경로로 작성할 수 있다.
상대경로에서 점 두개(../)는 상위폴더를, 점 한개 (./)는 현재 폴더를 의미한다.
file = open('test.txt', 'w')
w(쓰기)모드로 파일을 열어준다.
w는 파일이 없으면 새로 파일을 만들고, 파일이 있다면 내용을 새로 덮어쓴다.
w = file.write('Hello World~')
write() 함수를 사용해 텍스트 파일에 적을 내용을 입력한다.
해당 파일을 열어보면 내용이 입력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le.close()
모든 활동이 끝나면 반드시 close( )로 파일을 닫아준다.
file = open('test.txt', 'r')
r(읽기)모드로 파일을 open( )해준다.
str = file.read() print(f'파일 내용 : {str}')
read( )모듈로 파일을 읽어 str변수에 저장한다
str을 출력하면 파일 내용을 읽을 수 있다.
file.close()
사용이 끝난 파일은 반드시 닫아준다!
with open('text.txt', 'a') as f: f.write('python')
with open('text.txt', 'r') as f: print(f.read())
with open(파일명, 모드) as f 는 다음에 오는 문장을 수행한 후 자동으로 파일을 닫아준다.
따라서 file.close()를 따로 실행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as 뒤에는 내가 원하는 변수명을 사용할 수 있지만 f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