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ango에는 middleware라는 개념이있다. 이건 fastapi에도 있고다른 프레임워크에도 다른 이름으로 같은 기능을 하는 것들이 많다. 프레임워크 | 이름 | 역할Django | Middleware | 인증, CSRF, 세션 처리 등Express (Node.j
파이썬은 메모리누수가 없는 언어이다. 레퍼런스 카운팅이라고 하는데 객체를 참조하면 1이 증가하고, 참조가 없어지면 다시 0이되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처리하고 세대별 가비지컬렉션으로 순환참조도 처리하여 메모리 누수를 막는다. duck typing은 오리처럼 울고, 오리처럼
왜 pandas, numpy는 고성능 수치 연산인가이 둘은 c언어를 기반으로 돌아가는 라이브러리기 때문이다. 이건 컴파일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의 차이를 알고 가야한다. python은 인터프리터 언어로 한줄한줄 해석하며, 타입, 객체 등을 정하며 해석하기 때문에 느리지만
소셜로그인에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프론트, 백엔드 통합 부분으로 정리를 해보고자한다. 나중에 소셜로그인을 하게된다면 이 정리를 보고 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정리해보자. 우선 구글로그인 하나만 해도 나머진 할 수 있으니까 구글로만 정리를 해보려고한다. 우선 구글 개발자
기존 프론트 컨테이너는 아래처럼 2개로 관리했었는데 사실 만들때부터 1개로..해도되나...? 하면서 만들긴했다. 백엔드만 배포해보다가 프론트엔드 배포를 처음해봐서 그런지 2개 컨테이너로 하는게 기본인가 했는데 역할을 생각해보면 1개여도 충분했었다. 근데 이 부
login을 구현할 때 token을 어떻게 할까 고민했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access token이랑 refresh token을 둘 다 쿠키로 전달했는데 refresh token은 쿠키로 전달하면 안된다고 들어서이전에 멘토님이 조언해준대로 refresh token을
간단히 결론부터 말하면 다음과같다. 간단하게 할때 -> viewset복잡하게 할때 -> apiview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직결된 CRUD 작업을 구현할 때, ViewSet과 ModelViewSet이 적합합니다.URL 라우팅이 자동으로 처리되므로 코드가 간결하고 유지보수가
DRF는 Django REST Framework이다. REST API를 편하게 장고에서 구현하기 위해 만든건데많은 특징중에시리얼라이저에 대해 알아보려고한다. Python 객체(Queryset 등)를 JSON 데이터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 응답할 수 있게 합니다.클라이언
HTTP 메서드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가 서버에 어떤 동작을 요청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주요 메서드에는 4가지가 있고서버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데이터를 가져올 때 주로 사용되며, 서버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음.예시:GET /users: 모
REST란 HTTP기반의 아키텍쳐 스타일을 말한다. 이것을 위한 주요 원칙들이 있다. REST의 주요 원칙 웹의 모든 데이터는 "자원(Resource)"으로 간주됩니다. 각 자원은 고유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됩니다. 예
많이 쓰이지만 잘 모르는 용어들에 대해 정리하는 글이다. Restful apiREST와 RESTful은 웹 API 설계 및 구현에서 자주 언급되는 개념이다.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는 아키텍처 스타일(Architect
무슨 프로젝트가 오류밖에 안나온다.한 서버에 2개를 배포하려니까 더 문제가 되는거같다. 하나하나 해결하기 위해 우선 swagger가 안들어가지는 문제를 해결하려고한다. 백엔드 주소로 들어갓는데/swagger에 접속을 하니 정적파일이 안뜬다. /admin에 들어가니 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