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인간본성의 이해

최지웅·2025년 4월 28일
0

gcs

목록 보기
48/78

시험 리뷰

자연스럽게 자연선택 이론을 확장해보자.

사회가 생기고 그 안에서 이동하는 정보들
이 정보들도 동일하게 자연선택의 원리를 따른다
변이-차별적 적합도-대물림

문화 전파의 과정

어떤 사람이 새로운 맬로디들을 머리 속에서 여러개 구상하낟
구상한 맬로디들을 흥얼거림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노출시키낟.
노출시킨 멜로디 중 일부는 다른 멜로디들에 비해 더 잘 기억된다
멜로디를 전달받은 사람은 다시 흥얼거리게 되고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한다.

인간의 뇌는 유전자(Gene)와 문화적 유전자(Meme)의 각축장

  • 뇌에 문화적 유전자가 뇌가 커지며 더 오래 살아남아 다른 대체에게 전파
  • 초기에는 유전자랑 문화적유전자의 이해관게가 맞지만(과해지기 전)
  • 어느 시기 이후부터 과도하게 커진 뇌가 여러 문화 유전자로 가득하게 됨
  • 그러면 언젠가 문화적 유전자의 이익에만 부합하는 행동을 하기도 하는데
  • 그 결과로 유전자는 손해를 보지만 문화적 유전자는 널리 퍼질 수 있게 됨.
    ㄴ ex) 메카(종교)를 향해 절하기 위해 모여있는 사람들.
    ㄴ 높은 위험한 곳에 올라가며 사진/영상 올리는 사람. 죽어도 널리 퍼짐.
    ㄴ 새가 배달부가 배달한 음료수(우유) 뚜껑을 따서 먹는 사례->인간을 모방한 것인가? 모방은 아니고 새는 원래 쪼아먹는데, 병이 많기에 한번 맛보고 좋아서 널리 퍼진 것.
    ㄴ 원숭이가 고구마를 주면 물에 빠뜨려서 먹음->인간을 모방한 것인가? 보고 따라하는 것은 맞는데 행동까지 따라하는 것은 아니고 그냥 보고 학습한거다. (모방은 맞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은 아니다??)
    ㄴ 침팬지가 돌로 과일 깨는거->모방에 가깝다!
    ㄴ 침팬지가 나뭇가지를 이용해 개미집에 넣고 먹음. 나무가지로 개미 낚시! (적절한 나무 찾기->구멍찾고 기다리기-> 등 복잡한 행동. )

나방은 왜 조명으로 가서 타 죽지?

  • 조명이 없었을 때 평행하게 내리쬐는 달빛을 기준으로 집을 찾기 위함.
  • 인공조명이 너무 강력하고 빛도 평행하게 들어오지 않아서 점점점 고도가 올라가다가 죽는거

침팬치 모방 실험 특정 행동 하면 보상

  • 침팬지는 Cause-Effect를 모방. 침팬치가 인간보다 똑똑해 보이는 것 같기도. 인간은 모방하도록 태어난 것 같다. 노예처럼 따라한다. 실험 설계의 핵심: 검은색 박스를 투명 박스로 구조를 바꿈. 투명박스를 보면 위에 행동을 안해도 보상이 있다는 걸 알고 침팬지는 바로 보상만 가져오지만 인간애기는 그대로 따라함.

무엇을 따를까?

  • 모배우 세월호 참사 이후 단원고 3억 기부 / 모배우 미성년자 교제 의혹
    ㄴ 후자. 뒷담에 예민. 배신 등

누구를 따를까? 동조실험

  • 60% 정도로 동조하는 경향.
  • 축구 세레머니 국대 따라하기 등, 모델 따라하기 등

모방과 따뜻함 똑똑함

  • 조그만 사회에서는 따뜻한 모델을 따르고
  • 대규모 사회에서는 유능한 모델을 따른다.

문화가 비즈니스에 적용되는 사례

  •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해결자로서 도구와 기술의 다양한 변주
  • 인간의 본성을 착취하는 문화적 아이템
  • 문화 자체가 비즈니스 아이템이 되는 사례
  • 문화 전파의 메커니즘이 활용된 마케팅 사례
profile
이제 4학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