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류 | 비용 | 전문성 | 시간 | 설명 |
---|---|---|---|---|
대화형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자연어 처리를 기반으로 해 자연스러운 대화 가능 |
트리형 | 매우 낮음 | 낮음 | 보통 | 정해진 트리구조를 따라 답변을 얻을 수 있는 형태. 인공지능 아님. |
추천형 | 보통 | 보통 | 많음 | 표면상 대화 형태이지만,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거나 하지 않는다. 대화형으로 가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 사용하기도 함 |
시나리오형 | 보통 | 보통 | 보통 | 제공해야할 서비스, 결과물이 결정되어 있을 때 자주 사용. 유형 중 투자 대비 효과가 가장 좋다고 알려짐, 단계별로 고객 이탈율 분석이 용이 |
결합형 | 위의 유형을 조합해서 설계한 챗봇 |
종류 | 위치 | 역할 |
---|---|---|
인코더 셀프 어텐션 | 인코더 | 인코더의 입력된 문장 내의 단어 간 유사도 판별 |
디코더 셀프 어텐션 | 디코더 | 단어를 하나씩 생성하며 이미 생성된 앞의 단어와의 유사도를 구함 |
인코더-디코더 어텐션 | 디코더 | 디코더의 예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인코더에 입력된 단어들과의 유사도를 구함 |
셀프 어텐션: 현재 문장 내에서 유사도를 구하는 것. 다른 문장의 단어 아님
Scaled Dot Product Attention: 어텐션 값 구하는 방식
ex) 새로운 벡터에서 am행과 student의 열 값은 Q 행렬에 있던 'am' 벡터와 K행렬에 있던 'student' 벡터의 내적 값(=유사도)을 의미함.
참고
벡터의 내적과 유사도
Multi Head Attention
챗봇을 만들어 봤는데 생각보다 재밌었다.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는 질문을 건냈을 때 엉뚱한 답을 내놔서 좀 무서워지는 것도 있었는데 어떤 식으로 개선하면 좋을지 궁금하다. 그리고 주관식 질문에 상황에 따라 답이 다르겠다는 식으로 답을 하는 걸 보고 좀 놀랐다. 물론 답을 명확히 주는게 좋겠지만 어쨌든 자연스럽게 진짜 대화하듯이 답을 한 점이 신기했다. 그리고 단순한 감상을 입력했을 때도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몇몇의 경우 맥락에 맞는 답을 했던 점도 인상깊었다. 역시 이미지보단 텍스트를 다루는 게 더 재밌는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