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layer

이민구·2023년 11월 26일
0

CS-Study

목록 보기
9/15

OSI 7 layer 란

  •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나눈 통신 표준 규격

계층을 나눈 이유

  •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눠서, 에러가 발생한 해당 계층만 조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함

image

7. Application

  • 사용자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응용 SW를 도와주는 계층
  •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하위 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

6. Presentation

  • 응용 계층(7 Layer)으로부터 전달받거나 전송하는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 및 암호화 등이 이루어지는 계층
  •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 계층(7 Layer)으로부터 덜어줌

5. Session

  •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계층으로, 포트(Port) 번호를 기반으로 연결
  • 네트워크 상 양쪽 연결을 관리하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역할

4. Tranport

  • 발신지에서 목적지(End-toEnd) 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
  • 패킷(Packet)의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전송에 실패된 패킷을 다시 보내는 것과 같은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며, 헤드에는 세그먼트(Segment, 전송 단위)가 포함
  • 주소 설정, 오류 및 흐름 제어, 다중화를 수행

3. Network

  • 각 패킷이 목적지까지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 기기에서 데이터그램(Datagram)이 가는 경로를 설정해주는 역할을 함.
  •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송신 측으로부터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데이터는 패킷(Packet)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한 후 다시 합쳐진다.
  • 네트워크 기기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역할
  • 시스템 간의 오류 없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패킷(Packet)을 프레임(Frame)으로 구성하여 물리 계층으로 전송
  • 네트워크 계층에서 정보를 받아 주소와 제어 정보를 헤더와 테일에 추가
  • 데이터 링크 계층이 노드 대 노드 전달을 감독한다면, 네트워크 계층(3 계층)은 각 패킷이 목적지까지 성공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함

1. Physical

OSI 모델의 최하위 계층에 속하며,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물리적인 전송 매체(허브, 라우터, 케이블 등)를 통해 다른 시스템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함.
= 기계어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서 와이어에 실어주는 것

캡슐화 과정

7계층 - Hi라는 메세지 전달, [ Hi ]
6계층 - Hi라는 문자열을 ASCII코드로 변환 [ 72 105 ]
5계층 - 다른 컴퓨터와 통신 연결 [ Head |72 105 ]
4계층 - 데이터를 쪼개 패키지로 나누고 전송 [H | 72][H | 105 ]
3계층 - 데이터 전송 경로, 순서 결정 packet [IP | H | 105 ]
2계층 - 물리적인 기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 Frame [ MAC | IP | H | 105 ]
1계층 -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 1101001

수신자는 역 캡슐화로 1계층부터 7계층까지 수행하여 Hi를 받게 됨

참고 및 출처 - 블로그, 유튜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