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유저(응용프로그램)와 하드웨어 사이 중계자 역할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유저(응용프로그램)와 하드웨어 사이 중계자 역할
배열 (array) 같은 타입(Type)의 여러 변수들을 하나로 묶는 것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선형)로 연결되어 있는 것
스택 & 큐
힙 (Heap)
ARM : Advanced RISC Machine
Java 컴파일과정
OSI 7 layer 란
-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인터넷 신뢰성 보장
Garbage Collection
사용자 인증 및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JSON 객체에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담은 후 비밀키로 서명한 토큰1\. 사용자 인증사용자가 로그인하기 위해 서버에 로그인 요청토큰 생성서버는 사용자의 신원과 권한 정보를 담은 JWT를 생성, 이때 JWT는 서버의 비밀 키로
unreliable network의 문제점을 보장손실(lost): 패킷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순서 바뀜: 패킷의 순서가 바뀌는 문제혼잡(Congestion): 네트워크가 혼잡한 문제과부하(Overload): 수신자가 과부하 되는 문제데이터 전송 과정
Authentication 혹은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를 의미로그인과 같이 사용자 또는 프로세스의 신원을 확인하는 프로세스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격 증명(비밀번호 등)을 제공하고, 이는 이미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지식 기반사용자만 알고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음일회용내부 반복으로 작업을 처리별도의 요소들로 stream을 생성생성하기가공하기 (중간 연산)결과 만들기 (최종 연산)Stream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Stream은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닫히면 다시 생성해야함원본의 데이터를 별도의 데이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