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한 님의 강의를 보고 공부하며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웹이라는 것은 HTTP를 기반으로 통신합니다 웹을 이용한다는 것의 간략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근합니다. 서버는 HTML을
만약에 이런 HTML 폼이 있다고 합시다. 여기서 전송을 딱 눌렀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웹 브라우저가 요청 HTTP 메시지를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POST 메서드와 /save URL로 보내겠다는 메시지가 생성이 되었습니다. Host 헤더에 BaseURL,
스프링(Spring)은 참 기능이 많은 프레임워크입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정말 개발에 조금이라도 필요하겠다 싶은 기능은 다 있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 어떤 특정 코드가 한 줄 씩이라도 반복되면 그걸 줄이는 기능이 반드시 있을 정도입니다. 이런 스프링의 핵심이 되는
이전에 Spring의 핵심 요소인 빈(Bean)에 대해 정리해보았으니, 이번에는 Spring이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을 어떤식으로 지원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Aspects enable the modularization of concer
들어가며 이전 글에서 Spring AOP에 대해 다루면서 Spring AOP 기술이 트랜잭션 등에 주로 사용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이번에는 트랜잭션 기술이 무엇이고, 스프링은 트랜잭션에 대한 어떤 기능을 제공하며, AOP가 활용된 방법까지 간단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Model View Controller는 아마 최초의 디자인 패턴이었을 겁니다. 디자인 패턴이라는 말이 생겨나기도 전에 말이죠." Uncle Bob Martin (The Principles of Clean Architecture) 들어가며 MVC(Model Vie
웹을 이용한다는 것이 무엇일까요? 최대한 일반적인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웹을 이용한다는 것은 브라우저를 통해서 웹사이트에 들어가는 것을 말할 것입니다. 웹의 내부 구조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보통 서버(Server)의 존재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서버가 느리다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SpringMVC의 기반이 되는 Servlet의 개념과 Spring이 Servlet을 기반으로 어떤 기능을 제공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Servlet이란? Servlet Container? FrontController 패턴 Dispatch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에서 트랜잭션이 둘 이상 있을 때 어떻게 동작하는지, 트랜잭션 전파(transaction propagation)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트랜잭션 매니저 이전 글에서 언급하지 않은 내용이 있는데,TransactionManager 라는
들어가며 이제 드디어 스프링 부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스프링 부트 이전을 몰랐기 때문에 처음 스프링으로 개발을 시작할 때, 원래 스프링은 시작 버튼 누르면 서버가 시작되는 건 줄 알았습니다(그 때는 WAS가 뭔지도 몰랐습니다. 그냥 스프링이 하나의 프로
이번 시간에는 Spring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ORM 기술인 JPA(와 그 구현체인 Hibernate)가 무엇인지, 순수 JDBC를 이용한 코드와의 차이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