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지식] CLI option - one dash(-)/double dash(--)

Hyo Kyun Lee·2021년 12월 3일
0

개발지식

목록 보기
16/100

1. 개요

리눅스를 제어하는 CLI환경(명령어기반 인터페이스)에서 명령어 형태는 standard form과 GNU extension form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유닉스 호환 혹은 유닉스 체계 지원하는 환경에서 명령어를 작성한다고 가정하면서, 컴퓨터가 달라져도 명령어에 대한 확장/이식성(호환성)을 높이기 위해 표준화한 체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명령어 역시 표준화된 체계가 존재한다.

2. double-dash(--)

--option

축약된 형태없이 표준단어 그대로 option에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GNU extenstion이라고도 하며, 명령어의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help

그러나 POSIX 표준에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식성에서는 불리하고, ls와 같은 특정 명령어에서는 해당 형태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one-dash(-)

-option

명령어 option을 축약된 형태로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POSIX 표준에 맞는 형태이며, one-dash로 입력한 option은 문자 하나하나에 대한 동작을 순서대로 수행한다.

예를 들어,

ls -al

명령어를 수행할 경우, -al option은 -a(show hidden files) / -l(long output)의 동작을 순서대로 수행한다.

4. BSD

option이 없을 경우엔 BSD 체계에 맞는 명령어이다.

참고로 BSD 또한 유닉스, 리눅스와 마찬가지로 운영체제의 한 종류이다.

5. 참조링크

리눅스 명령어 형식
https://htst.tistory.com/5

-, -- options
https://kldp.org/node/137609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279812/bash-difference-between-and-options

POSIX
https://effectivecode.tistory.com/262

BSD
https://docs.freebsd.org/ko/articles/explaining-bs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