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부터 그룹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1주일 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번주는 뭘 했는지,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을 기록해보려한다.
우리 팀은 저번 주 금요일에 오프라인으로 만나 주제를 정했다.
주제는 동료들과 함께 소통하며(화상, 음성, 채팅) 알고리즘 학습을 할 수 있는 플랫폼
이다
WebRTC나 CRDT 등 실시간 기술들을 사용해보고 싶어 이런 저런 아이디어를 내다가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번 주에는 기획 구체화, 팀 협업 룰 설정, 팀 페이지 작성, 개발환경 설정, 서버 생성 등의 일을 함께했다.
주로 이번주에 내가 한 일은 다음과 같다.
좋았던 점은 혼자 진행할 때보다 학습을 더 집중있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혼자할 때는 모르면 하기싫은 마음이 크게 들었는데, 팀원들과 소통하기 위해서는 더 자세히 알아야하기 때문에 더 열심히 밀도있게 공부할 수 있었다.
Blue Green 배포를 무중단 배포 전략으로 선택했는데 CI/CD를 경험해보지 않아서 중간중간 어려움을 겪었다. 그 때 이미 그 배포를 경험해 본 팀원 분께 질문하고 같이 해결해나가며 성장할 수 있었던 점이 좋았다.
개발환경 설정이나 github 템플릿도 해보진 않았지만 이미 해 본 팀원들이 있어서 정말 빠르게 진행되었다.
생각보다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어서 신기했다.
언젠가는 내가 팀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도 생기겠지? 그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또 신기하게도 온라인으로 모집된 팀이지만 팀원들의 결이 잘 맞는 것 같다.
아쉬운 점도 있었다.
내가 경험한 부분들과 팀원이 경험한 부분과 깊이에 차이가 있다보니까 따라가기엔 조금 벅찼던 것 같다.
심지어 저번 주와 이번 주 초까지는 개인적인 일이 많아서 미리 공부를 못했더니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
그리고 우리가 기획한 내용들이 생각보다
백엔드가 코드로써 가져갈 수 있는 기술적인 부분이 많지 않은 것 같다.
DB 테이블을 설계할 내용도 많지 않다.
실시간 소통 기술이 대부분 클라이언트에 집중된 기술이고 서버는 중계만 해주는 역할이 대부분이라 그런 것 같다.
정말 간단한 내용을 구현하는데 협업을 하기도 애매해서 '너무 따로 진행되는건 아닌가?' 하는 기분도 들었다.
앞으로 극복해 나가야 할 포인트가 아닐까?
앞으로 멘토링도 받고 프로젝트의 틀을 잡아가며 기술적 도전을 할 수 있는 부분들을 잘 의논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