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부하며 배운 것
✔️ 앞으로 To do List
✔️ 오늘 활용한 자료
데이터셋
첫번째 탭
어디에서 주문이 됫는지? 나라에서 어떤 도시?
고객이 개인인지, 회사고객인지
등등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어있다.
2번째 탭에는
주문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아래의 참고 내용을 보고, ListOfOrder 클릭하여 창을 띄우고 그 안에 넣으면 조인 모양이 뜨기는 한다.
이부분은 잘 모르겠다 ㅜ
기존에 있는 계층을 삭제하고 다시 재정의 해줄 것이다!
City를 드래그하여 County에 넣어주면 저절로 계층이 생성된다.
아래 생성된 계층에 State도 드래그 하여 넣어주고, Country, City 드래그 하면 저절로 맵이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 :
https://help.tableau.com/v2021.4/pro/desktop/ko-kr/datasource_relationships_learnmorepage.htm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보여줄 필요는 없고, 데이터를 뜯어 보기(?) 위하여 년월일 컬럼을 필터에, 판매량을 크기에 배치하여 지도에서 한 눈에 알아보기 쉽게 설정해준다.
추가로 계산되는 열 : 영업마진을 생성하여
SUM([Profit])/SUM([Sales]) -> 색깔에 반영해주고,
색깔이 좀 더 극명하게 나누기 위해 시작과 끝을 조장해 준다.
아래처럼 작업을 하면 다른 워크시트에도 동일한 필터가 적용된다. (동일한 데이터 소스를 사용했을 경우)
이 산점도로 고객 수익성이 고객마다 어떻게 바뀌는지 , 연도를 바꾸면 어떤식으로 바뀌어가는지 알 수 있다.
고객의 영업 마진을 보며, 상품 매출을 높이기 위해 수익성이 가장 낮은 고객을 개선하기 위해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잘못된 물품을 받아보지는 않았는지, 수익성이 높은 고객에게는 로열티 제공 등 다양한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두번째 + 버튼이 대시보드 탭 추가하는 기능이다!
대시보드 > 액션에서 옵션을 조정가능하다.
필터를 건 조건에 따라 산점도 자체가 바뀐다.
필터와 다르다. 그저 강조하는 것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