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구웅(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스터디 시작!

heiler·2025년 4월 26일
0

📌 컴구웅 스터디가 무엇인가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 컴구+운체 -> 컴구+운 -> 컴구웅
ㅎㅎ..

컴구웅 스터디는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서적을 바탕으로 진행하고 있는 그룹 스터디다.

스터디원은 나를 포함하여 총 6명이고, 대부분의 스터디원은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를 처음 접하는 뉴비들이다. 그래서 뉴비들을 위해 최소한의 책임만 부여하여 다소 가볍게 스터디를 진행하려 하고 있다.

스터디 진행 방식은 매주 평균 10개 정도의 질문을 미리 준비하고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스터디 시간까지 각자 작성해오는 방식이다.

📌 스터디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공룡책 원서 4회독
  • 대학교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의 팀 프로젝트에서 각종 센서(ex. LCD, 초음파 센서, 서보 모터 등)를 제어하는 Device Driver를 구현해본 경험 (커널 모듈 작성, gpio.h 밑바닥부터 구현)
  • APUE 서적 정독 및 실습 (UNIX에서 제공하는 거의 모든 시스템 콜 함수 한번씩은 사용해봄)
  • 덤프 뜬 XFS 포맷의 하드디스크 이미지에서, 파일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삭제된 파일을 복구(저널링)하는 기능 개발
  • 보안 동아리에서 리버스 엔지니어링, 포너블 문제 풀이 경험 (GDB, IDA로 어셈블리어 한땀한땀 디버깅한 경험)
  • 만들면서 배우는 OS 커널의 구조와 원리 정독 및 실습
  • 등등

과거의 했던 경험들이다. 아마 훨씬 더 많을텐데 기억이 잘 안난다.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 관련 학습 경험은 많은데 학습한 내용을 제대로 기록하지 않고, 지식을 사용하지 않다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기억이 흐려져 갔다.

지금 스터디를 시작하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1. 과거 기억 저편에 묻혀있는 지식과 경험들을 건져올려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
  2. 스터디를 통해 스스로에게 책임감을 부여하고 싶었다. 스터디를 안 하면 우선순위가 계속 뒤로 밀릴 것 같았다.
  3. 지금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벼락치기로 정리하기에는 너무 많은 분량이다.
  4. 추후 CS 면접 준비할 때 정리해놓은 자료가 도움이 될 것이다.
  5. 취업 후 개발자로써 성장하는 과정에서도 트러블 슈팅을 할 때, CS 이론과 기본기가 빛을 발할 것이다.

단순 기능 구현을 넘어 대규모 트래픽 대응, 서비스 장애 상황 발생 시 빠른 디버깅, 새로운 기술 도입과 같은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근본적이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CS 기초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를 잘 알면 디버깅,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개선, 최적화, 인프라 구축 시 플랫폼 제약사항 등 백엔드 개발자와 밀접하게 맞닿아있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혼자해도 되는 것 아닌가요?

사실 혼자 학습해도 되지만, 스터디를 시작하게 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1. 설명하는 연습이 내 학습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2. 이왕 학습하는 김에 내가 학습한 내용을 다른 크루에게 공유할 수 있는 만큼 공유하고 싶었다.
  3. 현재 내가 가진 시간과 에너지에서 5명 정도까지는 충분히 함께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레벨1 마지막날 지난 두 달 동안 어떻게 성장했는지 회고하고 서로 제목을 붙이는 걸 도와주는 수업이 있었다.

나의 레벨1 성장 그래프를 보고 조원들이 "점진성", "함께가기", "성장"이라는 키워드를 주었고, 이 키워드들을 바탕으로 성장 그래프에 "점진적으로 함께 성장하기"라는 제목을 붙였었는데 이번 스터디는 이를 꾸준히 실천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 컴구웅 스터디 목표

스터디에서 학습한 내용을 이론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 개발할 때 녹여내고 싶다.

지금 우테코 미션을 통해 학습 중인 Java, Spring framework, Database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이 컴구, 운체의 어떤 best practice로부터 시작해서 발전했는지 이런 흐름을 의식적으로 연결지어가며 학습할 예정이다.

데드라인은 6월 말, 늦으면 7월까지 1회독하는 것이 목표다.

화이팅!

profile
Smile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