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는 1977년 유럽과 미국 시중은행이 국가 간 자금 거래를 위해 설립했다. 전세계 200여개국, 1만 1천곳 이상의 금융 기관이 사용하는 높은 보안을 갖춘 폐쇄형 지급결제망이다. 달러 및 유로화 결제 지급 등의 국제 금융 거래 시,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로, 암호화된 특수 금융 메시지를 통해 자금 거래를 한다. 세계의 모든 송금망은 SWIFT를 거친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이 러시아 가스를 사면서 그 대금을 보내기 위해 한국 내 거래은행에 요청하면, 은행은 SWIFT망을 통해 러시아 업체의 거래 은행에 메시지를 보내 결제한다. SWIFT에서 퇴출 당할 경우, 해외의 금융 기관 간 자금 송금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
Case 1: [우크라 침공] "SWIFT 퇴출, 러시아에 가장 가혹한 경제제재”
삼성증권은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망에서의 러시아 퇴출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가장 가혹한 경제제재라고 평가했다. 러시아 통화가치가 급락하고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다만, 러시아 역시 이와 같은 금융 제재에 대비해 그 동안 정부 부채를 지속적으로 축소해왔고, 지급준비금도 달러의 비율을 줄이며, 중국의 위안화 비중을 늘렸다. 만약, 러시아가 SWIFT 제재에 대응해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제한할 경우, 유럽 발 인플레이션 충격이 우려된다고 한다.
Cf) 지급준비금
일정량의 현금 또는 그에 준하는 자산을 중앙은행에 예치하는 것
Case 2: 국제결제망(SWIFT)에서 러 퇴출했더니 덕보는건 中위안화?
중국은 SWIFT와 별개로 자국이 주도하는 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라는 별도의 위안화 결제 청산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CIPS 사용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가 CIPS 확대를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서방의 제재가 오히려 중국 위안화의 위상을 올려주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러시아를 SWIFT에서 퇴출할 경우, 유럽 은행들은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에도 악 영향을 줄 수 있다. 러시아가 보유한 외환보유고가 점차 고갈될 것이다. 그럴 경우,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현대차나 삼성 휴대폰 수출이 줄어드는 문제 뿐 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그로 인해 수입 원자재 가격이 대폭 상승할 것이다. 단순히 러시아에 대한 금융 제재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며 앞으로의 상황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 같다.
SWIFT 정의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0779
https://www.youtube.com/watch?v=JbWPHDTrXAE
한국경제, [우크라 침공] "SWIFT 퇴출, 러시아에 가장 가혹한 경제제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2283633Y
매일경제, 국제결제망(SWIFT)에서 러 퇴출했더니 덕보는건 中위안화?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2/185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