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3.0_220221

Jiian·2022년 2월 22일
0

경제 및 시사 공부

목록 보기
28/42

1. 정의

웹 3.0 은 탈중앙화, 현실과 가상의 결합 등을 특징으로 하고, 분산 원장 기술을 통한 인터넷 콘텐츠의 개인 소유 등이 가능해지는 다음 세대의 가상공간이다. 공간 웹(Spatial Web) 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웹 1.0 시대에는 정보를 읽을 수만 있었고, 웹 2.0의 시대에서는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페이스북과 유튜브, 구글 등이 웹 2.0의 대표적인 성공 모델이다. 다만 웹 2.0의 문제점은 정보의 원천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웹 3.0은 읽기와 쓰기, 그리고 콘텐츠의 소유도 가능하다.

cf. 분산 원장 기술: 중앙원장기술과 반대로 중앙서버나 중앙관리자의 제어 없이 분산화된 네트워크의 각 노드(개인)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계속 동기화하는 기술

2. 웹 3.0 관련 사례

Case: 지능화된 ‘웹 3.0 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2022.01.22]

웹 3.0 시대를 이끌 4가지의 핵심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인공지능 기반 시멘틱 웹
    인간이 원하는 정보를 찾는 방식이 아닌,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보여주는 맞춤형 웹

  • 메타버스
    가상 세계가 전 산업으로 확대되며, 비대면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체험 가능

  • 블록체인 / NFT (대체불가능한 토큰)
    블록체인 기반 분산 데이터 환경, 즉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이 조성되고, 신뢰성이 향상되며,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Ex 1) 사용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즐기거나 공유하는 과정에서 저작권자에게 이용료가 실시간으로 과금
    Ex 2) 은행 같은 중개기관 없이도 대출자와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금융 거래 (=디파이)
  • 에지 컴퓨팅
    인간 -기계- 사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데이터 종류와 양이 급증하고 있다. 자율주행차가 수많은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 인프라 등과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

3. 개인 견해 (5줄 이상)

NFT가 작년부터 화제가 되며, 특히 미술계 쪽에서 작품을 사고 파는 데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웹 3.0 시대라는 전문용어가 생길 정도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시대가 이처럼 빨리 올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 아직까지 해당 용어가 그저 마케팅 용어에 불과하다고 하는 비판 의견이 있다. 그러나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의 웹 환경인 웹 2.0 과 달리, 가상화폐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웹 3.0의 발전은 무궁무진하며, 앞으로의 흐름을 잘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출처 및 참고 자료

[시사금융용어] 웹 3.0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3235

01_ Web 3.0 이란 무엇인가요? 이해하기 Feat. 분산원장 [2021.12.10]
https://www.youtube.com/watch?v=k8Eya20sqHg

분산원장이란?
https://m.blog.naver.com/seonggi159/221312537621

지능화된 ‘웹3.0 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https://www.mk.co.kr/opinion/columnists/view/2022/01/67225/

profile
Slow and Steady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