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_20210704

Jiian·2021년 8월 13일
0

경제 및 시사 공부

목록 보기
18/42

1.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38p)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 활동에 참여해서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합계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지급되는 소득도 포함되며, 명목 GDP와 실질 GDP로 구분된다. 명목 GDP는 국가의 경제 규모, 국가간 경제 규모를 비교하며, 실질 GDP는 경제 성장률, 경기 변동 등 경제 활동의 흐름을 분석한다.

2. 국민소득(NI; National Income) 40p)

한 나라의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에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화폐 단위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이다. 흔히 국민 총소득이라고 불리며, 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순수한 소득을 나타내는 지표다. 노동에 대한 대가인 피용자보수와 자본 및 경영에 대한 대가인 영업 잉여의 합계로, 고정자본소모와 순생산 및 수입세는 포함되지 않는다.

뉴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1881달러…2년째 뒷걸음

달러 기준으로 1인당 GNI가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1997년과 1998년 IMF 외환위기로 국민총소득은 2년 연속 하락했고, 2008년과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달러대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침체와 달러,원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2년째 감소하였다고 한다. 다만, 원화 기준으로 1인당 GNI는 3762만원으로 전년 대비 0.2% 늘었다고 한다.

3.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41p)

국민소득이 생산, 지출, 분배의 3가지 관점 중 어느 부문에서 측정하더라도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사실이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이다. 국민소득은 순환 과정 중에서 어느 순간을 측정하느냐에 따라 국민 소득을 부르는 명칭이 다른데, 어느 순간에 특정하더라도 서로 다른 순간에 측정하는 것에 불과하기에 크기는 항상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국민소득: 한 국가 내에서 생산된 총생산물의 가치를 측정한 경우
지출국민소득: 가계의 총지출 가치를 측정한 경우
분배국민소득: 한 국가 내 전체 구성원의 총 소득 가치를 측정한 경우

4. 국민처분가능소득 (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 (41p)

국민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의 규모를 나타낸 것으로, 소비율, 투자율, 저축율 등을 산정하는 데 이용하는 지표다. 명목 시장 가격으로 평가된 국민 순소득에 생산활동과는 관계 없이 국외로부터의 송금을 더하고 국외에 지급한 소득을 차감한, 즉 국외순수취경상 이전을 더하여 산출한다. 비슷한 개념으로,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는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에 무상 송금한 금액을 빼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하여 산출된다.

5. 국민총소득 (GNI; Gross National Income) (42p)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로서 외국으로부터 국민(거주자)이 받은 소득 (국외수취요소소득)은 포함되고, 국내총생산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 (국외지급요소소득)은 제외된다. 즉, 국내총생산에서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여 산출할 수 있다.

profile
Slow and Steady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