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투자펀드(Private Equity Fund)는 사모
라는 단어는 적은 수의 몇몇 기관투자가로부터 은밀하게(Private)
자금을 모집하며, 투자 대상은 기업의 지분(Equity)이다.
투자신탁업법상에는 100인이하의 투자자, 증권투자회사법에는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이며, 주로 저평가된 벤처기업이나 일반 기업에 투자를 한다.
즉, 불특정다수인이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니라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고 지분에 투자하는 펀드다. 주로 미공개 주식에 투자를 한 뒤, 기업공개 (IPO) 또는 협상 등의 방식으로 매각 후 차익을 남긴다.
환경.사회.지배구조(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평가는 투자 결정 과정에서 재무적요소와 더불어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고려하는 투자다. ESG평가로 불리며 UN이 2006년에 제정한 ‘유엔 책임투자원칙’ 을 통해 처음 등장했다. 이는 세계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핵심 평가 기준으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투자 가이드 역할을 한다. 평가 검토 요소는 아래와 같다고 한다.
-지주회사 평가체계 개선
-기업지배구조 자율공시제도 도입
-이사회 의장 독립성 강화
-감사위원회 설치 확대 및 감사기구 운영
cf. 자율공시제도: 기업의 자율적인 판단 및 책임하에 이루어지는 제도로 상장법인의 공시의무사항외에 회사의 경영, 재산 및 투자자의 판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써 사유발생일로부터 1일 이내에 공시하는 제도
Case 1 : 국내 사모펀드 ESG 바람
국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 업계에 환경·책임·투명경영(ESG) 실사가 처음 도입된다고 한다. 기존의 글로벌 평가기관의 ESG 지표를 참고하는 정도를 넘어서 제 3기관을 통해 투자 대상 기업의 ESG 리스크를 사전에 객관적으로 검증한다는 취지로 도입한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토종 PEF 운용사인 IMM (PE)는 올 상반기 중 ESG 실사 도입
을 목표로 국내 회계법인과 평가지표, 평가인력, 평가기간 등을 조율하고 있다고 한다.
글로벌 M&A (인수합병) 분석기관 머저마켓에 따르면 PEF에 의한 M&A가 약 20%를 차지한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PEF 투자 약정액이 전년보다 15% 이상 급증했다고 한다. 이처럼 PEF들이 M&A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질수록 투자 활동에 있어 ESG 실사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투자여부 결정에 중요 요소로 작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Case 2 : 미국 증권위의 ESG 조사 [2019년 12월]
미국에서는 많은 투자사들이 ESG를 강조하며 금융투자상품 경쟁을 한다고 한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 (SEC) 는 실제 투자와 ESG 와 관련 있다고 한 투자사들의 신규 금융 삼품의 연관성을 판단하기 위해 조사한다고 한다.
국내 PEF 운영사들은 이미 이번 실사가 도입되기 이전부터 ESG 선도기업 이미지를 보이기 위해서 노력해왔다고 한다. IMM PE가 우선적으로 도입을 하고 나면 점차 국내 M&A 시장에 적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미국의 경우, 일부 시각에서는 ESG 실사가 더욱 견고하게 도입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투자자는 사회 문제적인 측면이 아니라, 수익에만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한다. 기업의 도덕성을 따지다가 고객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자금 관리자의 의무가 침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나의 의견은 이와 반대된다. 기업의 환경, 책임, 투명 경영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여러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업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짐으로써, 더 많은 기업들이 사회 공헌에 힘을 쓰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단독] ESG낙제기업, 사모펀드 투자 막힌다 [2021년 3월 3일 기사]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03/207027/
미국 증권위 ESG 조사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21715263681685
사모펀드 설명
https://m.blog.naver.com/qhal032277/221985144332
사모펀드 설명2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6/12/865700/
ESG평가 설명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1/201812210210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