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수학] 관계와 관계 표현

허민엽·2023년 12월 31일
0

이산수학

목록 보기
5/6

공부하는 중이라 부정확하고 부족한 지식일 수있습니다!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관계와 관계 표현


이항관계(Binary Relation)

  • 집합 A,B에 대해 A에서 B로 가는 관계
  • 이항관계 R은 AxB의 부분집합
  • x ∊ A와 x ∊ B에 대해 순서쌍 (x,y) ∊ R이면 x는 y에 대해 R의 관계에 있다고 하며 xRy로 표기

R의 상(Image)

  • 이항관계 R에 대해서 집합 A의 원소 a에 대응하는 집합 B의 원소 b를 상이라 정의
  • R(a) = b로 표기

R의 정의역(Domain)

  • 이항관계 R에 대해서 집합 A를 R의 정의역이라 정의
  • dom(R)로 표기

R의 공역(Codomain)

  • 이항관계 R에 대해서 집합 B를 R의 정의역이라 정의
  • codom(R)로 표기

R의 치역(Range)

  • 상의 집합
  • ran(R)로 표기

그림으로 보는 상, 정의역, 공역, 치역


예제1

A = {1,2,3}, B = {a,b}라 하자. 이때 이항관계 R = {(1,a),(2,b),(3,b),(1,b)}가 A에서 B로의 관계인지 확인하고 R의 상, 정의역, 공역, 치역을 나타내어라

  • A에서 B로의 관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R이 AxB의 부분집합인지 확인
ab1(1,a)(1,b)2(2,a)(2,b)3(3,a)(3,b)\def\arraystretch{1.5} \begin{array}{c:c:c} & a & b \\ \hline 1 & (1,a) & (1,b) \\ \hdashline 2 & (2,a) & (2,b) \\ \hdashline 3 & (3,a) & (3,b) \end{array}

AxB = {(1,a),(1,b),(2,a),(2,b),(3,a),(3,b)}
따라서, R은 AxB에 대해 부분집합이므로 R은 A에서 B로의 관계
이항관계 R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1. 상 : a,b
2. 정의역 : dom(R) = A = {1,2,3}
3. 공역 : codom(R) = B = {a,b}
4. 치역 : ran(R) = {a,b}

A = {1,2,3,4,5}라 하자. A에서 A로 가는 관계 R을 aRb     \iff a<b로 정의할 때, R을 구하고 정의역, 공역, 치역을 구하여라

  • A에 관한 관계 R이 a<b를 만족하는 순서쌍 (a,b)이므로
    R = {(1,2),(1,3),(1,4),(1,5),(2,3),(2,4),(2,5),(3,4),(3,5),(4,5)}
    1. 정의역 : dom(R) = {1,2,3,4}
    2. 공역 : codom(R) = {1,2,3,4,5}
    3. 치역 : ran(R) = {2,3,4,5}

A = {2,3,4,7}, B = {2,3,4,5,6}이다. A에서 B로의 관계 R은 b가 a로 나누어 떨어질 때 aRb이다. 이때 R을 구하고 정의역, 공역, 치역을 구하여라

  • R은 b가 a로 나누어 떨어질때 나머지가 0인 순서쌍 (a,b)를 구하면 된다.
    R = {(2,2),(2,4),(2,6),(3,3),(3,6),(4,4)}
    1. 정의역 : dom(R) = {2,3,4}
    2. 공역 : codom(R) = B = {2,3,4,5,6}
    3. 치역 : ran(R) = {2,3,4,6}

집합 사이의 관계를 표시하는 방법

  • 화살표 그림(Arrow Diagram)
  • 관계 행렬(Relation Matrix)
  • 유향 그래프(Directed Graph)

화살표 그림(Arrow Diagram)

  • 서로 다른 두개의 구역에 각각 A의 원소와 B의 원소를 써 넣은 후 R의 관계가 있으면 a로부터 B로 화살표를 그리는 방법

A = {2,3,4,7}, B = {2,3,4,5,6}이고, A에서 B로의 관계 R이 R = {(2,2),(2,4),(2,6),(3,3),(3,6),(4,4)}일때 화살표 그림으로 나타내어라

관계 행렬(Relation Matrix)

  • 관계 행렬 = 부울행렬(원소가 0,1로만 구성된 행렬)
  • 집합 A와 B를 m개와 n개의 원소를 가진 유한집합
  • R을 A에서 B로의 관계라고 할 때, R을 다음과 같은 정의에 의해서
    m x n 행렬 MR(=Mij)M_R(=M_{ij})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단, MijM_{ij} = 1, (ai,bj)a_i,b_j)∈R or 0, (ai,bj)a_i,b_j)\notinR
    여기서, i = 1,2,3, ... ,m이고 j = 1,2,3, ... ,n

A = {1,2,3}, B = {a,b}일 때, A에서 B로의 관계 R이 R = {(1,a),(2,b),(3,b),(1,b)} 일때 관계 행렬로 나타내어라

ab111201301\def\arraystretch{1.5} \begin{array}{c:c:c} & a & b \\ \hline 1 & 1 & 1 \\ \hdashline 2 & 0 & 1 \\ \hdashline 3 & 0 & 1 \end{array}

따라서 MRM_R

{110101}\begin{Bmatrix} 1 & 1 \\ 0 & 1 \\ 0 & 1 \end{Bmatrix}

유향 그래프(Directed Graph)

  • 방향을 가진 그래프, 방향 그래프라고도 함
  • 관계를 유향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A에서 A로 가는 관계인 A에 관한 관계일때만 가능
  • R을 A에서 A로의 관계라 하자
  • A의 원소를 정점(Node, Vertex)을 점으로 표기
  • 각 원소와 대응되는 정점은 aia_iaja_j등으로 표시
  • aia_{i} RR aja_{j} ((ai,aj)R)((a_{i},a_{j})∈R)이면 정점 aia_i에서 정점 aja_j까지의 방향을 갖는 간선(Edge)으로 묶음

A = {1,2,3,4}에 관한 R이 다음과 같을 때, 유향 그래프를 그려라
R = {(1,1),(1,2),(2,1),(2,2),(2,3),(2,4),(3,4),(4,1)}

  • A에 모든 원소들을 노드로 표시하고 관계 R이 있으면 간선을 그림

유향 그래프의 내차수,외차수(In-Degree, Out-Degree)

  • 내차수(In-Degree)
    노드에 인접한 머리 끝부분의 수
    즉, 노드로 들어가는 간선의 수
  • 외차수(Out-Degree)
    노드에 인접한 꼬리 끝부분의 수
    즉, 노드에서 나오는 간선의 수

그래프 각 노드의 내차수(In-Degree), 외차수(Out-Degree)를 구하시오

노드1의 내차수 3, 외차수 2
노드2의 내차수 2, 외차수 3
노드3의 내차수 1, 외차수 1
노드4의 내차수 2, 외차수 2


예제2

X = {1,2,3,4}, R = {(x,y) | x>y}라 할 때, R을 유향 그래프와 관계 행렬로 표현하라

  • R의 조건에 만족하는 관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R = {(2,1),(3,1),(3,2),(4,1),(4,2),4,3)}

  • 유향 그래프

    노드1의 내차수 3, 외차수 0
    노드2의 내차수 2, 외차수 1
    노드3의 내차수 1, 외차수 2
    노드4의 내차수 0, 외차수 3

  • 관계 행렬

관계가 다음과 같이 유향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관계 R을 구하여라.

  • 노드1 = {(1,1),(1,3)}
    노드2 = {(2,3)}
    노드3 = {(3,2),(3,3)}
    노드4 = {(4,3)}

    R = {(1,1),(1,3),(2,3),(3,2),(3,3),(4,3)}
profile
코딩 날먹하고싶ㄷㅏ!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