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XHTML, XML 같은 문서의 스타일을 꾸밀 때 사용하는 스타일 시트 언어이다. 즉, HTML로 문서의 뼈대를 만들면 CSS로 문서를 꾸민다.
CSS는 글꼴이나 배경색, 너비와 높이, 위치 등을 지정하거나 웹 브라우저, 스크린 크기, 장치에 따라서 화면을 다르게 표시될 수 있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 전에는 HTML언어 하나로 문서의 뼈대를 만들고 꾸밈도 같이 했으나 HTML 문서를 수정할 때 모든 문서를 하나씩 수정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어서 이를 보완하여 문서의 내용과 표현을 분리하는 CSS를 사용한다. (= CSS파일 하나만 수정하면 스타일에 해당하는 HTML 문서가 한번에 수정되는 장점)
1. HTML 태그에 속성처럼 style 적용 (In-line)
*예제*
<h1 style="color:red">빨간색 글자</h1>
2. <head>
태그 내부에 <style>
tag 사용 (Internal)
*예제*
<head>
<style>
h1{color:red}
</sytle>
</head>
3. CSS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 HTML 문서에 연결 (External)
import 방식으로 따로 CSS 파일을 만들때 반드시 확장자가 .css여야 하며, css 파일 최상단에 @charset "UTF-8";
을 기술하여 한글로 인코딩 시켜야 한다.
*예제*
<head>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mystyle.css">
</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