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를 어떻게 보여줄지 지정
noneblockinlineinline-block flex🔍 HTML
<!DOCTYPE html>
<html>
  <head>
    <link rel="stylesheet" href="./index.css" />
  </head>
  <body>
    <div class="none_div">I am none</div>
    <div class="block_div">I am block</div>
    <div class="inline_div">I am inline</div>
    <div class="inline-block_div">I am inline-block</div>
  </body>
</html>
🔍 CSS
body div {
  font-size: large;
  margin-bottom: 50px;
}
.none_div {
  display: none;
  background-color: blueviolet;
}
.block_div {
  display: block;
  background-color: aqua;
}
.inline_div {
  display: inline;
  width: 500px;
  background-color: chartreuse;
}
.inline-block_div {
  display: inline-block;
  width: 500px;
  background-color: gold;
}
🔍 실행 결과


부모 요소인 div.container를 Flex Container(플렉스 컨테이너)라고 부르고,
자식 요소인 div.item들을 Flex Item(플렉스 아이템)이라고 부른다.
➡ 컨테이너가 Flex의 영향을 받는 전체 공간이고, 설정된 속성에 따라 각각의 아이템들이 어떤 형태로 배치되는 것
Flex 아이템들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자신이 가진 내용물의 width 만큼만 차지하게 된다.(마치 inline 요소들 처럼), height는 컨테이너의 높이만큼 늘어난다.

웹 페이지에 해당 요소를 어떻게 배치할건지 지정
left나 right를 통해 배치할 시 display 속성은 무시된다.
inherit: 부모 요소 상속
left: 왼쪽에 배치
right: 오른쪽에 배치
none: 배치하지 않음

float 속성을 적용하면 이후에 오는 글자나 다른 요소들은 그 사진 주위로 둘러싼 형태가 되는데 이런 float 속성을 통해 태그를 배치한 이후 문서의 흐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속성이다.
left: 좌측 배치 제거
right: 우측 배치 제거
both: 양쪽 모두 제거
요소를 어떻게 위치시킬지 정의
static : defaultabsolute : 부모 요소 또는 가장 가까이 있는 조상 요소를 기준으로 좌표만큼 이동해 줄 수 있다.즉, relative, absolute,fixed 로 선언되어 있는 부모 또는 조상 요소를 기준으로 위치 결정함relative : 원래 있던 위치(static 위치)를 기준으로 좌표(top, bottom, left, right)를 지정함fixed : 스크롤과 상관없이 항상 문서 최 좌측 상단을 기준으로 좌표를 고정함inherit : 부모 태그를 상속받음해당 요소 위에 위치하는 마우스 커서의 모양을 바꿀 수 있음
auto: 자동
default: 기본 값 (화살표)
pointer: 손가락 모양 (클릭 가능한 버튼)
wait: 로딩
글자의 데코레이션을 지정
none
overline: 윗줄
underline: 아랫줄
line-though: 가운뎃줄
underline overline: 윗줄과 아랫줄
요소가 영역을 벗어날때 지정하는 속성
visible: 요소가 영역을 벗어나도 보여줌
hidden: 요소가 영역을 벗어나면 숨김
scroll: 스크롤바를 만들어 벗어난 영역이 스크롤되게 함
auto: 영역을 벗어난 부분이 있을 때만 스크롤 표시함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면 요소를 겹치게 놓을 수 있는데, 이때 요소들의 겹치는 순서를 z-index로 지정한다.
값은 정수이며 숫자가 클 수록 위로 올라오며고 화면 전면에 출력되며 작을 수록 아래로 내려간다.
어떠한 속성은 브라우저마다 css가 달라서, 브라우저 별 접두어를 css속성 앞에 붙인다.
-webkit-: 구글 , 사파리
-moz-: 파이어폭스
-ms-: 익스플로러 (보통 생략)
-o-: 오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