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ajax ->데이터 변경감지 -> UI자동업데이트설치및 세팅react는 node js(자바스크립트로 이루어져있음) 서버사용리엑트는 노드js위에서 무한으로 돌아감 돌면서 데이터 변경을 감지npm & npx 차이npm -> 라이브러리를 다운 -> 빌드 -if
자바스크립트에서는 html태그를 바로 사용할수없음""로 묶어 사용해야함하지만 리엑트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 html태그를 바로사용할수있다.이렇게 해주는 것이 JSX문법(1)return시에하나의 dom만 리턴할수있다.(2)변수선언은 let혹은 const로만 해야함.(3)if
추가하기는 배열의 중간에 값을 추가할수없다. 그럼으로 잘라내기를 사용한후 추가해줘야 중간에 값을 추가할수있다반복을 원하면 기본적으로 for문사용하면 되지만 jsx문법에서는 사용할수없음1)id:1,name:홍길동 -> name:임꺽정 =>수정원함2)name:홍길동 =>i
이경우 더하기 버튼을 눌러도 화면에 그려지는 '숫자:1' 은 변하지않음 let number=1; 상태값이 아니기때문... 상태 값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useState활용
useEffect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Hook 이다. useEffect Hook을 이용하여 우리는 리액트에게 컴포넌트가 렌더링 이후에 어떤 일을 수행해야하는 지를 알려준다. UseEffect의 사용법 UseEff
성능 최적화를 위하여 연산된 값을 재사용하는 기능을 가진 함수 입니다.어떠한 상태에 변화가 있을때만 연산해야하는 계산 값들은 따로 설정해주지 않으면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마다 계속 같이 실행됩니다.이런 상황에서는 useMemo 라는 Hook 함수를 사용하면 성능을 최
특정 DOM을 선택할 수 있게끔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즉, dom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어떤 component에 ref={변수명} 을 넣어준다useeRef를 사용하여 배경색 변경Ref객체의 .current값은 선택한 DOM을 가리킨다.변경할 요소가 동적인 배
Javascript 파일 내에서 CSS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대표적인 CSS-in-JS 라이브러리로 React 프레임워크를 주요 대상으로 한 라이브러리입니다.기존 돔을 만드는 방식인 css, scss 파일을 밖에 두고, 태그나 id, class이름으로 가져와 쓰지
properties 의 줄임말입니다. 우리가 어떠한 값을 컴포넌트에게 전달해줘야 할 때, props 를 사용합니다.Immutable Data 즉, 변하지 않는 데이터입니다. 상위(부모) 컴포넌트에서 하위(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넘겨줄 때 사용합니다.부모 -> 자식
부모로 부터 받아온 데이터를 가지고 동적 스타일링설명 참조
흐름 ->다른 요청의 의해 반응(촉매)한다!ex) 만약 4가지의 요청이 일어나면 dispatcher에서 store로 4가지 요청을 모두 보내고 store에서 각자 자신에게 맞는 요청을 구분하여 요청을 받아들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