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사업자

About_non_work·2023년 11월 23일
0

전세 월세

목록 보기
10/19

집주인은 왜 임대사업자가 되려고 하는가?

  • 1가구 2주택인 임대인이 종부세 및 양도세혜택을 받으려고 등록을 합니다.

임대사업자의 임대 집은, 세입자에게 어떤 장단점이 있는가?

장점

  • 임대사업자의 매물의 경우 4~8년 임대의무기간동안 안정적으로 거주가 가능
    • 임대사업자 임대주택은 사업등록기간동안은 해당 주택에 입주 할수 없어 장기간 거주를 희망하는 세입자에게 유리
  • 임대사업자의 경우 보증보험 가입이 필수이기에 따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 보증보험료는 먼저 임대사업자가 보증료를 전액 납부후에 임차인이 부담하는 보증료를 임대료에 포함하여 징수하게 됩니다
      • 임대사업자 75%를, 임차인이 25% 를 부담
  • 임대사업자등록후 재계약시 인상률도 5%이내로 제한 (연 5%의 임대료 인상 제한이 적용)
  • 임대사업자는 세를 내주는 계약 시, 주택 임대차 신고가 의무인 것 같음. (세입자가 하지 않아도 됨)

특정 집이 임대사업자의 집인지 확인하는 방법

profile
"짧은 주기의 피드백"과 "실수를 교정할 기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