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취업 리부트 코스 6기 (사전스터디)

Hunter Joe·2024년 10월 26일
0

항해99

목록 보기
1/8

React 입문 1주차

Reduce

Reduce()는 네 개의 인자를 가짐

  1. 누산기 (acc)
  2. 현재 값 (cur)
  3. 현재 인덱스 (idx)
  4. 원본 배열 (src)

누산기

구문
arr.reduce(callback[, initialValue])
acc값이 순회하는 내내 callback됨

const nums = [1,2,3,4,5];

const result = nums.reduce(function(acc, cur) {
  console.log("-------");
  console.log(acc);
  console.log(cur);
});

console.log(result);

// console
"-------"
1 // acc
2 // cur
"-------"
undefined // acc
3 // cur
"-------"
undefined // acc
4 // cur
"-------"
undefined // acc
5 // cur
undefined // acc
const nums = [1,2,3,4,5];

const result = nums.reduce(function(acc, cur) {
  console.log("-------");
  console.log(acc);
  console.log(cur);
  
  return acc; // Expected 1 
  // return acc + cur; // expected 15
});

console.log(result);

// console
return acc;  return acc + cur;
"-------"		"-------" 
1 // acc		1 // acc
2 // cur		2 // cur
"-------"		"-------"
1 // acc		3 // acc
3 // cur		3 // cur
"-------"		"-------"
1 // acc		6 // acc
4 // cur		4 // cur
"-------"		"-------"
1 // acc		10 // acc
5 // cur		5 // cur
1 // acc		15 // acc 

sort

  • sort() 메서드는 배열의 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정렬한 후 그 배열을 반환
  • 정렬은 stable sort가 아닐 수 있음
  • 기본 정렬 순서는 문자열의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를 따름
const nums = [40,100,1,5,25];

nums.sort(function (a,b) {
  console.log("a",a);
  console.log("b",b);  
});

console.log(nums);

// console
"a" 100
"b" 40
"a" 1
"b" 100
"a" 5
"b" 1
"a" 25
"b" 5
// [object Array] (5)
[40,100,1,5,25]

Spread Operators

Spread Operator를 사용해서 불변성 지키기

const origin = {
  name: "John",
  age : "30",
}

// TODO: origin 복사하기 
const update = origin;
const update.name = "Jane";
console.log(origin, update):

// console
{
  "name": "Jane",
  "age": "30"
} 
{
  "name": "Jane",
  "age": "30"
}

origin과 update 둘다 같은 메모리 값을 참조하기 때문에 update만 바꿀 수 없음
아래는 spread operator 사용해서 객체 복사하기

 const origin = {
  name: "John",
  age: "30",
}

const update = { ...origin };
// 위 코드와 동일 : const update = { name: "John", age: "30" }
update.name = "Jane";
console.log(origin, update);

// console
{
  "name": "John",
  "age": "30"
} 
{
  "name": "Jane",
  "age": "30"
}

화살표 함수

// 정석 
const add = (a, b) => {
	return a + b;
};

// return 대신 () 
const add = (a, b) => (a + b);

// 표현식 하나만 있는 경우
const add = (a, b) => a + b;

// ** 아래 처럼 쓰면 undefined 반환 **
const add = (a, b) => { a + b };

논리합연산자(||)

논리합 연산자 ||는 좌변의 피연산자가 falsy 값(false, 0, "", null, undefined, NaN)일 때만 우변의 피연산자를 평가합니다. 좌변의 피연산자가 truthy 값일 경우, 그 값이 바로 결과값으로 반환되며, 우변은 평가되지 않습니다.

// truthy, falsly
// falsly : false, 0, "", null, undefined, NaN

// 왼쪽 값이 falsly값이면 "Guest" 반환
const getUsername = (user) => user.name || "Guest";

const person = {
	age : 30, 
}

Null 병합 연산자 (??)

?? 연산자는 좌변이 일 null이나 undefined경우에만 우변을 평가합니다. null 또는 undefined가 아닌 falsy 값들을 유효한 값으로 처리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 사용자의 위치 설정이 없으면 기본 위치를 제공
let userLocation = null;
console.log(userLocation ?? 'Unknown location');  // 출력: Unknown location

userLocation = 'Seoul';
console.log(userLocation ?? 'Unknown location');  // 출력: Seoul

// 사용자 입력이 0인 경우에도 0을 유효한 값으로 취급
const temperature = 0;
console.log(temperature ?? 25);  // 출력: 0

Module(중요! ⭐️) -> 이렇게는 써본적이 없어서 새롭네..

  • 모듈 시스템을 통해 필요한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불러올 수 있으며,
  •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초기 로딩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 코드 스플리팅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현재 요구에 따라 필요한 코드만 동적으로 로드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지연 로딩(lazy-loading)은 특히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과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동적으로 모듈 로드하기 (예: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활성화했을 때)
button.addEventListener('click', event => {
  import('./heavyModule.js')
    .then(module => {
      module.heavyFunction();
    })
    .catch(err => {
      console.error("모듈 로딩에 실패했습니다.", err);
    });
});
  • 이거 한번 써봐야겠다. 궁금하네

코드 예제

참고

모듈 전체 불러오기

// app.js
import * as MathFunctions from './math.js';

console.log(MathFunctions.add(10, 5));       // 15
console.log(MathFunctions.multiply(10, 5));  // 50

* as 키워드사용.

profile
Async FE 취업 준비중.. Await .. (취업완료 대기중)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