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 -h 로 확인.)growpart 명령)resize2fs 명령)df -hT #각 볼륨의 파일시스템 용량, 타입 확인
du <dir> # dir과 dir 내부에있는 모든 dir의 용량 확인

보면 현재 용량이 꽉 차있다.. (7.6G / 7.7G)


EBS 콘솔에서 내 볼륨 우클릭 후 수정해서 크기를 8에서 16으로 수정함.
lsblk 명령어로 인스턴스에 연결된 블록디바이스를 확인

루트 볼륨 /dev/xvda 가 8GB에서 16GB로 됨.
볼륨 크기는 커졌지만 /dev/xvda 의 파티션인 /dev/xvda1 은 아직 8GB인 상태.
이걸 늘려야한다.
sudo growpart <볼륨> <파티션번호>
# ex) sudo growpart /dev/xvda 1

위 sudo growpart /dev/xvda 1 명령을 통해 파티션의 크기를 늘렸다.

/dev/xvda1 파티션 크기가 16GB로 늘어난 모습

df -hT를 통해 /dev/xvda1 파티션을 보니 타입이 ext4이다.

용량이 너무 없으면 위 사진처럼 temporary 폴더도 못써서 명령어가 작동이 안된다.
어느정도 공간을 비워 놓고 하자.
파티션의 크기까지 늘렸으니 이제 우리가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에다가 바뀐 파티션의 size를 적용 시켜야 한다.
sudo resize2fs <파티션>

실행한 모습

/dev/xvda1의 크기가 16G로 늘어났다!!

free tier요금제로 30GB까지 무료로 사용가능 하다.
근데 인스턴스 생성하면 default로 8GB로 생성되므로 걱정 x.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받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