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무량이 많아진 관계로 오늘부터는 Day를 세지 않겠습니다,, 미팅 이후에 할 거리들이 생기면서 바쁘지 않은데 바빠졌다. 초반에도 분명 일은 있었는데 이것들을 인턴한테 소개하고 주는 게 쉽지 않고 다른 일도 많아서 못 주고 있다가 2,3주차가 되니까 본격적으로 넘겨주는 것 같다.
Data Analysis로 포지션을 배정 받았지만 스타트업 특성 상 포지션보다 회사의 Field가 더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다행히 여기에서 다루는 PPS, ERP, SCM들은 내가 너무 좋아하는 분야라 어떤 일이든 재밌게 하고 있는 것 같다. 다시 정리하자면 TVINN은 작년에 설립된 이후 제품도 탄탄해지고 고객 수도 늘어가며 점점 성장하고 있는 단계에 있는 것 같다. 지금은 V1 개발을 목표로 여러 인터뷰와 기능 향상, 디자인 보완, 추가 개발 과제 등을 하고 있는 것 같다.
내 역할은 이 전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정리하는 일을 하기도 하고 추가 기능에 들어갈 예측 모델을 같이 연구하기도 한다. 또 내년에 계획 중인 새 고객을 위한 시장 조사도 맡으며 다양한 일들을 하는 것 같다.

주요 고객 중 한 곳인 S사와의 계약 과정에서 해당 기업에 핏한 제품을 커스터마이징 하는데 이를 위해 기업 내부 데이터가 필요하다. SAP를 사용하고 있어서 SAP table 기반 데이터들을 SAP Logon을 통해 추출하는데 초반에 권한 허가 문제가 좀 길어지다가 근래에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테이블 개수도 많고 각 테이블 별 필터링 해야하는 것들도 다 달라서 약간 까다롭다. SAP 테이블에 친숙하지 않아서 처음에 인터페이스에 적응하는 것도 좀 걸렸다. 해보면서 MATNR이나 LIKP 같은 테이블 이름들도 접하게 되는 것 같아서 좋았다.
처음으로 맡은 데이터 기반 프로젝트로 PPS 시스템 내 Inventory 관련 항목에서 현재는 월별·분기별 재고 및 수요량을 표시만 해주는데 여기에 수요 예측 기능을 추가해 플래너들이 더 의미 있는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공장에서 수요에 따라 안전 재고량을 조정하게 되는데 이 수치가 너무 크면 재고 유지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줄이는 게 핵심이다. 현재는 급한 데이터 추출 업무로 본격적인 분석은 시작하지 못했다. 작년에 학교에서 항공기 승객 수 예측 프로젝트를 해본 경험이 있긴 한데 이번에는 기업 내부 데이터인 만큼 더 복잡하고 모델링에 최적화되어 있지도 않아서 쉽지는 않을 것 같다. 주요 평가 지표는 무엇으로 할지, 데이터 분류는 어떤 기준으로 나눌지(예: 분산 기준), 예측 모델은 어떤 방식으로 할지 다 내가 자유롭게 정해야 해서 일단 데이터를 보면서 방향을 잡아갈야 할 것 같다.
CEO가 한국, 일본 시장 진출에 관심이 있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123Factory 에이전시 대표님도 독일-한국 스타트업 관련 이벤트를 생각 중이라고 하셔서 CEO한테 면담 신청을 했다. 회사의 계획은 어떤 거고 어떤 식으로 신규 고객과 세일즈를 하는지 이야기를 나눴는데 내가 첫 아시안 직원인만큼 대표도 관심을 많이 갖고 질문을 해줬다. 서울이라는 시장이 진입할 가치가 있는지, 어떤 필드가 대표적이고 독일 스타트업에 대한 인식은 어떤 지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이후 대표가 실제 고객 컨택을 할 때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짧게 설명을 해주며 같이 해보자고 했다. 대략 5가지 단계가 있는데 나는 컨택 직전 단계까지 시장 분석과 기업 분석을 하고 연락을 할 Operation Manager나 SCM Manager 리스트를 정리하면 된다. 이렇게 해서 실제 계약까지 가게 되면 엄청 좋은 경험일 것 같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