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경제] [단독] 카카오,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4000억에 인수 추진

지니·2021년 4월 4일
0

헤드라인

웹소설 플랫폼, 콘텐츠 IP 비즈니스

[단독] 카카오,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4000억에 인수 추진



본문

기사 링크

카카오가 4000억원을 들여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인 래디쉬 인수를 추진한다. 영화, 드라마, 웹툰 등에 활용할 스토리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콘텐츠 자회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내세워 래디쉬 경영권을 인수하기 위한 논의를 하고 있다. 래디쉬는 영미권 기반 웹소설 플랫폼이다. 영국 옥스퍼드대를 졸업한 이승윤 대표(31)가 2016년 창업했다. 미국 웹소설 플랫폼 중 매출 기준 5위권 업체다.

카카오가 래디쉬 인수에 투자하는 금액은 4000억원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액은 카카오가 2016년 1조9000억원을 들여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한 후 최대 규모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작년 7월 래디쉬에 322억원을 투자해 지분 12%를 확보했다. 올 2월엔 벤처캐피털(VC) 등이 보유한 래디쉬 지분을 추가로 넘겨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4000억원 투자로 인수가 성사되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래디쉬 최대주주로 올라서며 경영권을 확보하게 된다.

카카오의 이번 투자는 네이버가 올 들어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한 것에 대한 맞불 성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왓패드는 활성이용자(MAU)가 9000만 명으로 웹소설 분야 세계 1위다. 네이버가 6500억여원을 들여 지난 1월 인수했다. 왓패드가 무료 서비스를 앞세워 이용자 확대에 주력하는 데 비해 래디쉬는 온라인 공동작업 시스템으로 제작한 콘텐츠 유료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래디쉬 매출은 230억원으로 2019년(22억원)보다 10배 뛰었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콘텐츠 지식재산(IP) 비즈니스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미국 시장에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 vs 네이버, 글로벌 콘텐츠 무한경쟁
카카오, 美 웹소설 업체 인수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에 관심을 보인 건 카카오만이 아니었다. 대형 글로벌 벤처캐피털(VC) A사도 래디쉬에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A사가 적어낸 금액은 카카오(4000억)보다 훨씬 많은 7000억원. 그럼에도 래디쉬는 카카오를 선택했다. 카카오와 콘텐츠 저작권(IP) 비즈니스에서 힘을 모으면 시너지가 클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카카오가 래디쉬 인수를 추진하며 네이버와 글로벌 IP 비즈니스 전쟁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카카오는 래디쉬, 네이버는 왓패드를 앞세워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 경쟁에 나설 전망이다.

IP 비즈니스 본격화하는 카카오

래디쉬는 모바일 특화 웹소설 플랫폼이다. 현지 작가 생태계를 중심으로 집단 창작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플랫폼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 매출이 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배가량 늘어나는 등 성장세가 가파르다. 창업자는 1991년생 한국인 이승윤 대표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정치·철학·경제를 전공한 이 대표는 2016년 래디쉬를 창업했다. 수 존슨 전 ABC 부사장, 신종훈 카카오페이지 공동창업자 등을 영입해 북미를 중심으로 사업하고 있다.

카카오가 래디쉬를 인수하는 핵심 이유는 IP 비즈니스다. 래디쉬의 ‘이야기 IP’를 다른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기본적으로 래디쉬의 웹소설 IP를 웹툰화해 카카오 웹툰 플랫폼으로 유통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지의 웹소설 원작 웹툰 ‘나 혼자만 레벨업’ 같은 히트작을 내놓겠다는 계산이다. 이 작품은 누적 조회 수 6억2000만 건, 누적 매출 400억원을 달성했다.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른 장르로 IP를 확장할 수도 있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에 IP를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최근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OTT 업체들은 세계 각국 콘텐츠 IP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넷플릭스에서 유통되는 네이버웹툰 원작 드라마 ‘스위트홈’은 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등 8개국에서 시청률 1위에 올랐다. 카카오페이지의 IP 기반 영화 ‘승리호’도 넷플릭스 영화 순위 1위를 차지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드라마 웹툰 등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2949억달러를 기록했다. 2024년 2조7966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정보기술(IT)업계 관계자는 “래디쉬와 왓패드 등 웹소설 플랫폼 IP의 확장 가능성은 천문학적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네이버 왓패드 인수에 ‘맞불’

카카오가 래디쉬를 인수한 또 다른 이유는 웹소설 시장에 최대한 빠르게 진입해 네이버에 ‘IP 비즈니스 패권’을 넘겨주지 않기 위해서다. 네이버는 IP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미국 웹소설·웹툰 시장 굳히기에 들어갔다. 네이버는 지난 1월 외부 법인 투자로는 역대 최대 금액인 6500억원을 들여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했다. 왓패드는 래디쉬의 경쟁사로 월간 이용자 수(MAU)가 9000만 명에 달한다. 네이버가 2014년부터 자체 육성한 웹툰 플랫폼 ‘웹툰’은 미국 내 매출 1위다. 2월에는 2위 웹툰 플랫폼 태피툰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에 334억원을 투자해 지분 25%를 확보했다.

반면 카카오는 미국 시장에서 뚜렷한 성적을 내지 못하고 있다. 매출 3위 웹툰 플랫폼 타파스의 지분 40%를 쥐고 있지만 아직 경영권을 확보하진 못했다. 래디쉬를 인수함으로써 전세를 역전시키겠다는 게 카카오의 복안이다. IT업계는 카카오가 일본 웹툰 시장에서 픽코마를 키워 네이버를 따라잡은 만큼 미국에서도 같은 상황을 연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시장 규모가 8098억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본문의 근거

  1. 카카오가 4000억원을 들여 글로벌 웹소설 플랫폼인 래디쉬 인수를 추진
  2. 래디쉬는 미국 웹소설 플랫폼 중 매출 기준 5위권 업체
  3. 이번 투자액은 카카오가 2016년 1조9000억원을 들여 로엔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한 후 최대 규모
  4.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작년 7월 래디쉬에 322억원을 투자해 지분 12%를 확보
  5. 래디쉬는 지난해 매출이 2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배가량 늘어나는 등 성장세가 가파름
  6. 카카오페이지 원작 웹소설 '나혼자 레벨업' 작품은 누적 조회 수 6억2000만 건, 누적 매출 400억원을 달성
  7.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드라마 웹툰 등 세계 콘텐츠 시장 규모는 지난해 2조2949억달러를 기록했다.
  8. 2024년 2조7966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9. 네이버는 지난 1월 외부 법인 투자로는 역대 최대 금액인 6500억원을 들여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
  10. 왓패드는 래디쉬의 경쟁사로 월간 이용자 수(MAU)가 9000만 명에 달한다.
  11. 네이버가 2014년부터 자체 육성한 웹툰 플랫폼 ‘웹툰’은 미국 내 매출 1위다.
  12. 2월에는 2위 웹툰 플랫폼 태피툰을 운영하는 콘텐츠퍼스트에 334억원을 투자해 지분 25%를 확보했다.
  13. 카카오는 매출 3위 웹툰 플랫폼 타파스의 지분 40%를 쥐고 있지만 아직 경영권을 확보하진 못했다.
  14. 미국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콘텐츠 시장 규모가 8098억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추가 조사 할 내용/결과

IP(Intellectual Property)

무형의 ‘지식’ 재산에 대한 권리

  • 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 사업을 가능하게 하는 지식재산권 묶음

    • 특허권 : 기술 중심
    • 상표권 : 등록 상표를 지정 상품에 독점적으로 사용
    • 디자인권 : 등록된 디자인에 대해 독점적·배타권 권리 인정
    • 저작권 : 노래·영화·캐릭터 등과 같은 창작물을 만든 사람의 노력과 가치를 인정하고 권리 보호
  • 영화,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콘텐츠부터 웹툰, 만화, 음악, 게임, 캐릭터 같은 콘텐츠까지 모두 포함

  • 다른 플랫폼과 포맷으로 무한대의 확장이 가능

    • 소설 -> 웹툰 -> 영화

IP 비즈니스

IP 수명 점점 증가

  • 비대면으로 소비할 수 있는 다방면의 콘텐츠와 콘텐츠 IP에 대한 관심도는 점점 높아짐
  • 구독 경제(넷플릭스, 왓차플레이 등)와 스트리밍 서비스가 활성화
    • 취향에 맞는 작품을 소비하는 추세도 증가
    • 기존에 신곡, 신작만 주목받았던 풍토에서 시대에 구애받지 않음

IP 금융

모든 IP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금융 활동

  • IP를 담보로 대출해 주거나 혹은 IP 펀드 등의 투자 활동
    • IP 담보대출
      • 자금 부족으로 특허기술 상용화를 포기하려던 중소기업이 IP담보대출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사례 (ex. 코로나 백식 개발 회사)
    • IP 보증
      • 주로 초기 벤처기업의 창업자금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
  • IP == 안전장치 역할
    •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될수록 무형자산의 중요성 증가 : IP의 시장성 커짐
    • 글로벌 시장으로 시야를 넓힌다면 스타트업의 성장성을 평가하는데 IP는 핵심 중 핵심
      • 스타트업의 잠재력을 평가할 때 ‘특허권’이라는 실질적인 권리를 중심으로 판단
  • IP금융 활설화 위해 ‘시장성 있는 IP’를 선별해 내는 안목 이 중요



적용할 점

  • 횡적 확장
    • 타 브랜드와 콜라보 : 방탄과 라인프렌즈
  • 콘텐츠 플랫폼의 경쟁력은 매력적인 IP 확보에 달려있다
    • 코로나로 미디어 플랫폼이 급부상
  • 민간 영역에서 IP 투자가 활성화되는 것이 중요
    • 국내 IP 금융은 아무래도 IP를 담보로 한 대출을 중심으로 성장

  • 콘텐츠 확보를 위한 기업의 투자 방향은?



연관 기사 링크

KT·엔씨 "우리도 질 수 없다" 콘텐츠 투자 잰걸음

구현모 KT대표 "KT콘텐츠 경쟁력 가질 때까지 손실나도 견딜 것"(종합)

KT이어 SKT까지 오리지널 콘텐츠에 거액 투자...'쩐의 전쟁' 시작됐다

'콘텐츠·플랫폼 다 가졌다'… 카카오페이지- 카카오M 합병

'20년 우리나라 지식재산(IP) 금융 2조원 돌파

네이버, 인도네시아 최대 미디어社에 베팅

'K웹툰·드라마' 효자네…관련주 연일 '사상 최고가' 찍었다

profile
코.빠.죄.아 (코딩에 빠진 게 죄는 아니잖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