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et

iissaacc·2021년 10월 18일
0

paper reading

목록 보기
10/20
post-custom-banner

Prologue

CNN은 Convolution 연산을 통해 성능을 높여 사람의 인지능력보다 높은 성능의 모델을 개발해왔다. 그럼에도 이 연산은 spatial dimension(H, W)(\text{H, W})과 depth dimension(C)(\text{C})이 가진 신호를 마구 뒤섞는다는 점을 주목하고 channel 방향으로 늘어선 정보들도 활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ILSVRC 2017에서 우승했다.

What did authors try to accomplish?

CNN은 입력 tensor와 k×kk\times k 크기의 kernel을 연산하면서 spatail dimension의 신호를 잘 정리해서 보여줄 수밖에 없었다. 수식으로 보면 좀더 직관적으로 와닿는다.

uc=vcX=s=1Cvcsxs\mathbf{u}_c=\mathbf{v}_{c}*\mathbf{X}=\sum_{s=1}^{C'}{\mathbf{v}_{c}}^s*\mathbf{x}^s

먼저 convolution 연산 *F:XRH×W×CURH×W×C\mathbf{F}:\mathbf{X}\in\mathbb{R}^{H'\times W'\times C'}\rarr\mathbf{U}\in\mathbb{R}^{H\times W\times C}라고 정의하고 uc\mathbf{u}_c는 tensor U\mathbf{U}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이다. 집합 V\mathbf{V}는 kernel [v1, v2,vc][\mathbf{v}_1,\ \mathbf{v}_2,\dots\mathbf{v}_c]로 구성되어 있고 집합 X\mathbf{X}[x1, x2,xC][\mathbf{x}_1,\ \mathbf{x}_2,\dots\mathbf{x}_{C'}]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XRH×W×C\mathbf{X}\in\mathbb{R}^{H'\times W'\times C'}이므로 임의의 kernel vc\mathbf{v}_cCC'만큼의 channel을 가진다. 그래서 ucRH×W\mathbf{u}_c\in\mathbb{R}^{H\times W}이다.

이처럼 연구자들은 depth dimension 신호가 spatail dimension 신호에 뭍혀서 흐려지는 것을 발견했다. tensor의 channel 신호를 어떻게 하면 살릴 수 있을지, spatial 신호와 더불어 channel 신호도 잘 정리할 수 있으면 CNN이 가진 표현력을 더 높일 수 있을지 궁금했다.

What were key elements of the approach?

SE block

Squeeze and Excitation Block을 줄여서 SE block 또는 SENet이라고 부른다. 핵심은 spatial 정보를 가진 입력 tensor에 channel 방향의 신호를 한 번 더 강조해주는 거다. 이 block은 크게 3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1. Squeeze
    RH×W×C\mathbb{R}^{H\times W\times C} 크기의 입력 tensor를 R1×1×C\mathbb{R}^{1\times 1\times C} 크기로 찌부하고
  2. Excitation
    각 channel이 가진 신호들을 적절히 살려서
  3. Rescale
    입력 tensor와 depthwise로 곱한다.

Squeeze

앞서 살펴봤듯이 기존의 conv layer(H, W)(\text{H, W})에 분포한 신호의 특성을 살리는데 집중한다. 이 연구에서는 channel 방향의 신호들은 제대로 볼 수 없다고 짚고 있다. 그래서 GlobalAveragePooling을 사용하고 있다. 이 layer는 RH×W×C\mathbb{R}^{H\times W\times C} 크기의 tensor에서 RH×W×1\mathbb{R}^{H\times W\times1}에 분포한 신호들의 평균값을 내서 R1×1×C\mathbb{R}^{1\times 1\times C}로 바꾼다. 이 과정을 함수 Fsq\mathbf{F}_{sq}로 다시 정의할 수 있다.

zc=Fsq(uc)=1H×Wi=1Hi=1Wuc(i, j)\mathbf{z}_c=\mathbf{F}_{sq}(\mathbf{u}_c)=\cfrac{1}{H\times W}\sum_{i=1}^H\sum_{i=1}^W{\mathbf{u}_c(i,\ j)}

Excitation

ReLUsigmoid를 activation function으로 하는 FC layer 2개로 이루어져있다. 좀 쉽게 생각하면 spatial dimension으로 한 번 정리한 신호를 depthwise로 한번 요약해서 2개의 hidden layer를 가진 작은 신경망에 입력한다고 할 수 있다.

s=Fex(zc)=σ(δ(zcW1)W2)\mathbf{s}=\mathbf{F}_{ex}(\mathbf{z}_c)=\sigma(\delta(\mathbf{z}_c\cdot \mathbf{W}_1)\cdot \mathbf{W}_2)

전체 모델의 연산량을 제한하기 위해 W1RCr×CW_1\in\mathbb{R}^{\frac{C}{r}\times C}, W2RC×CrW_2\in\mathbb{R}^{C\times\frac{C}{r}} 로 한다. rr은 16이 가장 좋은 성능을 가진다고 했지만 실제로 활용할 때는 2의 거듭제곱으로 실험해서 정해야한다고 적고 있다.

연구에서는 가장 강한 신호에 연산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한다는 차원에서 attention & gating mechanism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게 무슨 말인지는 Attention is all you need를 읽어봐야 한다.

Rescale

R1×1×C\mathbb{R}^{1\times 1\times C}크기의 vector s\mathbf{s}RH×W×C\mathbb{R}^{H\times W\times C}크기의 입력 tensor U\mathbf{U}를 depthwise로 곱해서 같은 크기의 출력 tensor X~\mathbf{\tilde{X}}를 내보낸다.

x~c=Fscale(ucsc)=scuc\mathbf{\mathbf{\tilde{\text{x}}}}_c=\mathbf{F}_{scale}(\mathbf{u}_cs_c)=s_c\mathbf{u}_c

Experiments

실험을 되게 많이 했던 연구다. SE block을 쌓아서 SENet을 만드는 것말고도 ResNet, Inception, MobileNet, ShuffleNet에 SE block을 붙여서 성능개선을 할 수 있는지도 살펴봤다. 결과는 SE block은 다른 구조를 가진 모델에 활용해도 성능개선을 보여줬다.

이 실험 말고도 SE block을 기존의 residual block 앞에 붙일지, 뒤에 붙일지, GlobalAveragePooling은 실제로 도움이 되는지 안 되는지도 살펴봤다. 이 부분을 읽으면 실험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

Epilogue

연구에서 FC layer라고 계속 언급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dense layer로 구현했다. 그런데 이 이미지에서 layer의 크기를 R1×1×C\mathbb{R}^{1\times 1\times C}로 서술하고 있어서 어쩌면 conv layer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SE_dense_block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ayer (type)                    Output Shape         Param # 
=============================================================
input_1 (InputLayer)            [(None, 28, 28,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global_average_pooling2d (Globa (None,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ense (Dense)                   (None, 16)           41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dense_1 (Dense)                 (None, 256)          435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reshape (Reshape)               (None, 1, 1,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ultiply (Multiply)             (None, 28, 28, 256)  0       
                                                             
=============================================================
Total params: 8,464
Trainable params: 8,464
Non-trainable params: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중간에 reshape layer는 굳이 없어도 파이썬에서 알아서 브로드캐스팅을 잘 해줘서 없어도 된다. 이것 말고는 1x1 conv layer로 구현한 block과 큰 차이는 없는 것 같다.

SE_conv_block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ayer (type)                    Output Shape         Param #  
==============================================================
input_1 (InputLayer)            [(None, 28, 28,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global_average_pooling2d_1 (Glo (None,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reshape_1 (Reshape)             (None, 1, 1, 256)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onv2d (Conv2D)                 (None, 1, 1, 16)     411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conv2d_1 (Conv2D)               (None, 1, 1, 256)    435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ultiply_1 (Multiply)           (None, 28, 28, 256)  0        
                                                              
==============================================================
Total params: 8,464
Trainable params: 8,464
Non-trainable params: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물론 이렇게 하면 연구에 나온대로 엄밀하게 구현한 샘이 된다. 이 두 가지 사이에 성능차이가 있는지 봐야겠다.

Reference

  1. Squeeze-and-Excitation Networks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