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폴리·2025년 6월 20일
0

Git이란?

간단하게 말하면 버전관리도구이다.
예를 들면, "파일 1"이 있고 이 파일을 여러 번 수정하여 "파일 2", "파일 3" 등으로 폴더에 저장했다고 하자. 이 과정에서, 각 파일들이 과거에 수정된 기록들을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한 도구이다.

Git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Add: 로컬(내 컴퓨터)에서 원격(Github)으로 보낼 소스 선택
2. Commit: 수정된 내용 요약(에러 수정, 논리 재구조화, 기능 추가)
3. Push: 원격(Github)의 코드 업데이트

우선 본인의 컴퓨터에 Git과 Visual Studio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겠다.

Github란?

기존의 git은 로컬, 내 컴퓨터에서 파일의 버전들을 관리했다면, Github는 웹상에 호스팅하여 다른 사람들과 코드를 공유하기 쉽게 만들어진 협업 도구

Git과 Github(외부 저장소) 연결

1) git init
2) git add <파일명>
3) git branch -M main #현재 활성화된 브런치를 main이라는 이름으로 변경

브런치란? 특정 커밋을 가리키는 이름

4) git remote add origin <github_url>

5) git push -u origin main

origin? Github의 repository, 원격 저장소의 이름(alias)

3번과 4번 단계는 초기 설정시에만 입력하면 Ok

Visual Studio 소스 제어

Visual Studio를 이용하면 Git과 Github를 더욱 쉽게 연결할 수 있다.

Add: 변경 사항 항목 아래의 Add하고자 하는 파일에 마우스를 갖다대어 스테이징
Commit: 커밋 버튼의 상단에 변경 내용 입력 후 커밋 버튼 누르기(입력값없이 커밋 버튼을 누를 경우 무한 로딩 Error 발생)
Push: 우측 상단기준 2번째 행의 *** > Push 버튼 클릭

자주 발생하는 오류

1) origin 리모트가 이미 있습니다.

원인: 로컬 git 저장소에 외부 저장소 별칭이 이미 origin으로 설정되어 있음.

해결: 기존 origin 삭제 후 재등록

git remote rm origin

profile
시간을 타고 따라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