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제1강

Sunhee·2024년 3월 14일
0
post-thumbnail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 자료(data)를 많이모은것(base) 많은자료를어떻게잘처리할것인지
      가데이터베이스의주요관심사
      ※아무연관도없는자료를모아둔것이아님

  • 데이터베이스 자료는 서로 연관성이 있어야 함.
    • 보기: 대학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라면, 학생 정보, 교수 정보, 일반 직원 정보, 교과 과정 정보, 교과 개설 정보, 수강 정보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같은 데이터들은 중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최소의 중복 또는 통제된 중복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디스크와 같이 컴퓨터가 접근하여 처리 할 수 있는 기억 장치에 수록된 데이터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존재 목적이 명확하고, 유용성을 지니고 있는 데이터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서로 다른 다수의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목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데이터의 검색이나 조작을 요구하는 질의에 대하여 즉시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
    • 계속적 변화(continuous evolution):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는 정적이 아니고 동적(dynamic)이다.
    •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여러 사용자가 접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내용에 의한 참조(content reference):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데이터 레코드들은 주소나 위치에 의해 참조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내용에 따라 참조된다.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다른 개념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사용자가 만든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개발 회사에서 만들어 공급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모음'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목적
    • 쉽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를 넣어야 한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가져올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파일 처리 접근 방식

  •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성 요소(속성, 개체, 관리)
    • 속성(attribute)
      •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 파일 구조상으로 데이터 필드(data field)에 해당한다.
      • 단독으로 존재하기 어렵고, 정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
    • 개체(entity)
      • 데이터베이스가 표현하려고 하는 유형, 무형의 정보의 객체로서 서로 연관된 몇 개의 속성들로 구성
      •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정보로서의 역할을 수행
    • 관계(Relationship)
      • 속성 관계 : 하나의 개체를 기술하고 있는 속성과 속성 사이의 관계
      • 개체 관계 : 개체로 구성되어 있는 개체집합과 개체집합 사이의 관계
  • 운영 체제 개념이 나오면서 파일 처리 방식 개념이 대두
  • 기존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 및 기능적 한계를 보강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탄생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960 년대부터 나오기 시작
  • 오늘날 많이 쓰고 있는 관계형(relational)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1970 년대부터 나오기 시작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