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제2강

Sunhee·2024년 3월 21일
0
post-thumbnail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파일 처리 접근 방식

파일 처리 접근 방식의 문제점

  • 파일 처리 접근 방식: 꼭 같은 정보가 여러 군데 되풀이
  • 자료 중복(data redundancy)과 자료 불일치(data inconsistency)
  • 자료 처리를 쉽게 할 수 없음.
    • 파일에 있는 자료를 보거나, 파일에 자료를 넣으려면, 주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
    • 상당한 수준의 훈련, 프로그램 짜는 시간이 많이 걸림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보다는 사용하기 편리함.
      보기 : SQL



자료의 고립(data isolation) 문제

  • 자료가 여러 군데 되풀이
  • 자료의 중복 문제, 자료의 불일치 문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자료를 되풀이하지 않아도 되며,
  • 자료의 불일치 문제가 많이 줄어든다.

원자성(Atomicity)

트랜잭션 : 쪼갤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

  •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은 자기의 연산을 전부 또는 전무(all-or-nothing)

  • 보기 : 학생이 CS100이라는 과목의 01 분반(section)에 수강 신청. 시간이 맞지 않아서 02 분반으로 옮기는 상황. 만일 분반 바꾸기를 다음과 같이 일부만 처리되고 일부는 처리되지 않을 수가 있다.


보안 문제(security problems)

  • 파일 처리 접근 방식 : 파일별 접근 제한으로는 정교한 자료 보안이 어려움
  • 데이터베이스 : 모든 자료를 한 군데에서 다 보관 자료의 보안을 쉽게 유지

DBMS의 정의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의 중재자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게끔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DBMS의 등장 배경

데이터 종속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간의 상호 의존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구성 방법이나 구성 형식, 액세스 방법이 변경되면 이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도 같이 변경되어야 한다.

데이터 중복성

  • 일관성(consistency)의 문제 : 불일치가 일어나기 쉽다.
  • 보안성(security)의 문제 : 보안을 유지하기 어렵다.
  • 경제성(economics)의 문제 : 갱신 비용이 높게 된다.
  • 무결성(integrity)의 문제 :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DBMS의 장점

  1.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 데이터를 공용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5.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6. 표준화를 기할 수 있다.

DBMS의 단점

  1. 운영비의 오버헤드(overhead)가 발생한다.
  2. 예비조치(backup)와 회복 기법이 더욱 어려워진다.
  3. 시스템의 취약성이 있다.



뷰와 자료 독립성

: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부터 유도되는 가상적 테이블이다.

  • 뷰를 사용하여 하나의 테이블을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뷰는 터미널 사용자에게는 데이터 검색시 복잡한 명령을 간단하게 처리 해준다.

뷰의 장점

  • 데이터 베이스 재구성 면에서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한다.
  •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에게 상이한 방법으로 볼 수 있게 한다.
  • 사용자의 인식을 단순화 시킨다.
  • 숨겨진 데이터에 대해 자동적으로 보안이 제공된다.

뷰의 단점

  • 독자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
  • 정의를 변경할 수 없다.
  •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제약이 많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