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데이터베이스 특성 시험에 나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다른 개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사용자가 만든 것이 아니라,
파일 처리 접근 방식: 꼭 같은 정보가 여러 군데 되풀이자료 중복(data redundancy)과 자료 불일치(data inconsistency)자료 처리를 쉽게 할 수 없음.파일에 있는 자료를 보거나, 파일에 자료를 넣으려면, 주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응용 프로그
: 자료의 추상화(Data Abstraction) : 우리가 실제로 만들어야 할 어떠한 물체를 코드로 형상화 시키는 것입니다.물리적 수준(physical level) : 자료가 실제로 저장되는 수준이며, 가장 아래 수준논리적 수준(logical level) : 데이터베
실제 세계에 대한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음."개체(entity)","\`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relationship)"이 두 가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 "자료(data)"와 "자료 사이의 관계(relationship)"를 관계(relation = 테이블:table
개체 : 실제 세상에 있는 객체(object)객체는 다른 객체와 구별 (보기) 사람, 자동차 각 과목 등\-개체-관계 모델에서 실제로 만질 수 있는 없든 구별하지 않고 모두 개체로 본다.같은 형의 개체의 집합보기 : 학생 개체 집합, 은행 고객 개체 집합, 교수 개체
개체는 결국 그 개체의 속성 값으로 구별함.유일성 : 속성의 집합인 키의 내용이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하다는 특성최소성 : 속성의 집합인 키가 릴레이션의 모든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속성들로 구성되는 것.슈퍼 키(superkey)후보 키(candida
개체-관계도의 개체와 관계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테이블로 표현된다.개체를 테이블로 표현사각형으로 표현된 개체는 개체의 이름이 테이블의 이름이 된다.개체가 가지는 속성이 테이블의 속성이 된다.개체의 기본키가 테이블의 기본키가 된다.1 : 1의 관계 : 한 쪽 개
테이블(=관계, relation)의 집합각 테이블에는 그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고유한 이름이 주어진다.테이블(=관계)에는 여러 개의 행 (가로 줄, row) 이 있는데 , 행을 튜플(tuple) 이라고 함.테이블에는 세로 줄(=열, column)이 있는데, 속성(attr
수강 테이블에서 CS200과목을 듣는 학생의 학번만 찍어내려면?입력 테이블 2개, 결과 테이블 1개합집합은, 두 테이블 가운데 적어도 한 군데에만 있어도 모두 결과 테이블에 나온다.R1과 R2의 합집합을 구하는 연산R1과 R2의 속성이 같고, 도메인이 같아야 한다.아래
입력 테이블 2개, 결과 테이블 1개보통 자연 조인을 위한 중간 과정으로 아주 많이 씀(보기) 학생 X 수강속성 수의 합 : 2 + 2 = 4투플 수의 곱 : 3 \* 5 = 15유용한 정보(중복 속성 제거)유용하지 않은 정보카티션 곱을 따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