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ition: 요소의 속성 값을 변경해줄때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애니메이션을 줘서 자연스럽게 변화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property, duration, [time-function], [delay] 4가지 요소를 사용
참고로 time-function, delay는 생략이 가능하다
transition: font-size 2500ms;
: 폰트 사이즈를 변경시킬때 2.5초에 걸쳐서 천천히 변화시킨다.transition: all ...
: 모든 변화에 애니메이션을 줄때는 all을 쓰면 된다.transition: all 2500ms ease-in;
: 모든 변화에 애니메이션을 2.5초에 걸쳐서 ease-in 시간 함수를 적용해라.transition: all 2500ms cubic-bezier(0.82, 0.05, 0.96, 0.06);
: cubic-bezier
는 가속도 조절 함수로 해당 사이트 참고할 것.transition: all 2500ms cubic-bezier(0.82, 0.05, 0.96, 0.06) 1000ms;
: 위와 똑같은데 1초후에 변화가 나타난다. transition: font-size 1000ms ease-out,
backgroud-color 2000ms cubic-bezier(0.82, 0.05, 0.96, 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