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Introduction

JUJU·2024년 3월 5일
0

Network

목록 보기
1/21

✏️ 네트워크의 종류

  • Network edge: end system
  • Network core: packet/circuit switching, internet structure
  • Access Network

■ Network Edge

Network Edge란 end system,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뜻한다.


■ Network Core

Network Core은 end system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라우터의 집합체이다.

Network Core의 주요 기술

Routing & Switching(forwarding)

  • Routing - Protocol 존재
    어디로 라우팅할 것인지 Algorithm이 존재한다.

  • Switching - Protocol 없음
    그저 정해진 위치로 보내기만 할 뿐

Network Core에서 패킷을 전달하는 방식은 2가지가 존재한다.

1. Circuit Switching

전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Connection-Oriented: 자원을 할당한다.
  • Dedicated: 특정 사용자와 통신할 때 전용 선로를 사용한다.

2. Packet Swtiching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 Connectionless: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
  • NonDedicated: 여러 Packet과 링크를 공유한다.
  • Queue: Router에 Datagram을 저장한 후에 전달한다.
    ⚠️ 하나의 Datagram 전체를 다 받아야지만 Forwarding 할 수 있다.
  • RSVP: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Signaling Protocol (가상의 연결을 위한 Protocol)

※ Virtual Circuit

Circuit + Packet의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ATM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 Access Network

Access Network는 end system과 Network Core의 중간다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이다.

The network that physically connects an end system to the first router.

ex) 인터넷 망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랜선




✏️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1. computing devices: end hosts
  2. Packet switches: router, switch
  3. Communication Links: 유/무선 통신 링크
  4. Networks: 네트워크가 모여 더 큰 네트워크가 된다



✏️ Internet

Internet: a logical network of physical networks

host는 ISP를 통해서 Internet과 연결될 수 있다.
ISP는 IXP로 서로 연결된다.




✏️ Network Performance

네트워크의 성능은 Delay와 Loss, Throughput으로 판단한다.

■ Delay

Packet Switching 방식의 Delay
= Transmission + Propagation + Queueing + Processing

1 == 최대 용량의 Traffic 부하
부하가 걸릴수록 delay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 Congestion Control이 중요하다.

Delay의 측정은 무엇으로 하는가?
➜ Traceroute Program

  • end to end 통신을 할 때 각 라우터에서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프로그램이다.
  • ICMP를 사용한다.

■ Loss

Router: First In First Out (우선순위 개념이 없다.)

  • Queue Scheduling을 진행한다.
  • 가득 찬 Queue에 도착한 패킷은 자동 drop 된다 == Packet Loss.
  • loss Packet은 재전송(retransmission)을 통해서 해결된다.

TCP/IP 3계층에서 Loss 해결

: neighbor node가 알아채고, Previous node에서 재전송

TCP/IP 4계층에서 Loss 해결

: source에서 재전송하는 것이 TCP, 재전송을 하지 않는 것이 UDP이다.


■ Throughput

Throughput = bits / time [bps]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비트 수

파이프가 넓을수록 Throughput이 높다.




✏️ TCP/IP 5계층

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OSI 7계층 모델은 매우 복잡하여 현재는 TCP/IP 4계층 (또는 5계층) 모델이 더 자주 사용되고 있다.

TCP/IP 5계층 모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TCP/IP 5계층 모델
Application Layer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DataLink Layer
Physical Layer



✏️ Security

각 계층에서 보안을 고려한다!

ex) 3계층: IPSEC
5계층: HTTPS = HTTP + TLS

■ malware

Virus

  • 자기 복제 기능을 가진 악성 코드.
  • User Interaction이 발생해야 감염된다.

Worm

  • 네트워크를 통해 자체적으로 전파되는 악성 코드.
  • User Interaction이 발생하지 않아도 전파된다.

■ DOS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 대규모 트래픽을 발생시켜 서버를 마비시키는 공격
  • Server가 Client 와 맺을 수 있는 TCP 연결 수는 제한이 있다.
  • 대량의 감염된 Client들이 동시에 Server에 요청을 하면 Server가 다운된다.

■ Packet Interception

Packet Sniffing: broadcasting으로 전송된 Packet을 훔쳐보는 방법
Packet Spoofing: Packet을 보낸 Source를 속이는 방법




REFERENCE

Computer Networking, A Top Down Approach - JAMES F.KUROSE

profile
개발자 지망생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