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Layer] Introduction

JUJU·2024년 3월 5일
0

Network

목록 보기
2/21

각 End System(사용자, 서버 등)은 Application을 가진다.

Application Layer는 이러한 Application들과 Application을 위한 Protocol이 모여있는 계층이다.



✏️ Application Architecture

Application Architecture는 2가지가 존재한다.

  1. Client-Server
  2. Peer to Peer

■ Client - Server

클라이언트 - 서버간의 통신

  • 클라이언트간 통신은 불가능하다.
  • 서버는 항상 켜져있다.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는 동적으로 변한다. (DHCP 사용)
  • 서버의 IP 주소는 고정이다.

Client - Server 방식의 Protocol은 HTTP, IMAP, FTP 등이 존재한다.


■ Peer to Peer

Peer간의 통신

  • Always On Server가 존재하지 않는다.
  • Peer 각각이 Client이자 Server이다.
  • IP 주소 할당이 필요하지만, DHCP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하는 편이다.



✏️ Socket

TCP/IP 5계층 모델에서 하위 4계층은 운영체제에 구현되어 있다.

그렇다면 Application Layer에서 생성되는 메시지를 어떻게 운영체제로 내려보낼 수 있을까?
➜ Socket을 사용한다.

Socket이란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의 한 종류로, Application Layer와 Transport Layer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한다.

  • 서로 다른 host의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 프로세스는 Socket이 제공하는 API나 함수로 통신한다.



profile
개발자 지망생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