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에 개발자가 회사에서 1,2,3 패키지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2,3,4,5 패키지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회사에서 갑자기 2 패키지를 'two'패키지로 바꿔서 쓰자고 한다. 그렇게 되면 개인 프로젝트에서 'two' 패키지를 사용하게되면 코드를 바꿔야 한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가상의 환경을 만들어서 때에따라 요구하는 패키지에 맞춘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면 된다.
크롤링을 위한 requests 패키지를 설치후 실습
import requests # requests 라이브러리 설치 필요
r = requests.get('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seoulair')
#서울 미세먼지 실시간 api
rjson = r.json()
rows = rjson['RealtimeCityAir']['row']
for row in rows:
gu_name = row['MSRSTE_NM']
gu_mise = row['IDEX_MVL']
if gu_mise > 60: # 미세먼지의 값이 60이상일 경우 구의 이름을 출력해라.
print(gu_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