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tion 4_Sprint 2

JIYOUNG KIM·2022년 3월 2일
0

Codestates AIB

목록 보기
11/15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Day 1

Count-based Representation

자연어 처리 관련 용어

  • 말뭉치(corpus) :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수집한 텍스트 데이터
  • 문서(Document) : 문장들의 집합
  • 문장(Sentence) : 여러 개의 토큰(단어, 형태소 등)으로 구성된 문자열, 마침표/ 느낌표 등의 기호로 구분
  • 어휘집합(Vocabulary) : 코퍼스에 있는 모든 문서, 문장을 토큰화한 후 중복을 제거한 토큰의 집합

전처리

  • 토큰화(Tokenization)
  •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
  • 불용어(Stop words)
  • 어간 추출(Stemming)
  • 표제어 추출(Lemmatization)

What is NLP?

  • 자연어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 자연어 처리(NLP)에는 자연어 이해(NLU)자연어 생성(NLG) 의 세부 분야가 있음

    • 자연어 이해(NLU)
      • 분류(Classification) : 뉴스 기사 분류, 감정 분석(Positive/Negative)
      • 자연어 추론(NLI, Natural Language Inference)
      • 기계 독해(MRC,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질의 응답
      • 품사 태깅(POS tagging),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등
    • 자연어 생성(NLG, Natural Language Generation)
      • 텍스트 생성(특정 도메인의 텍스트 생성) : 뉴스 기사 생성, 가사 생성
    • NLU & NLG
      • 기계 번역
      • 요약
        • 추출 요약(NLU에 가까움) : 문서 내에서 해당 문서를 잘 요약하는 부분을 찾아 내는 것
        • 생성 요약(NLG에 가까움) : 해당 문서를 요약하는 요약문 생성
      • 챗봇
        • 특정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챗봇(TOD)
        • 정해지지 않은 주제를 다루는 일반대화 챗봇(ODD)
    • 기타
      • TTS(Text to Speech) : 텍스트 음성으로 읽기
      • STT(Speech to Text) : 음성 텍스트로 읽기
      • Image Captioning : 이미지를 설명하는 문장 생성
  • 벡터화(Vectorize)

    •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자연어를 벡터로 만들어 주는 것
    • 자연어를 어떻게 벡터로 표현하는 지는 자연어 처리 모델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 자연어 벡터화하는 방법
      • 등장 횟수 기반 단어 표현(Count-based Representation)
        • Bag-of-words(CounterVectorize)
        • TF-IDF(TfidVectorizer)
      • 분포 기반의 단어 표현(Distributed Representation) : 타겟 단어 주변에 있는 단어를 기반으로 벡터화하는 방법
        • Word2Vec
        • GloVe
        • fastText

텍스트 전처리(Text Preprocessing)

  • 내장 메소드 사용(lower, replace...)
  •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Regex)
    • 문자열에서 특정한 규칙을 가지는 문자열의 집합을 찾아내기 위한 검색 방법

    • a-z(소문자), A-Z(대문자), 0-9(숫자) 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를 regex에 할당한 후 .sub 메소드를 통해 공백 문자열 ""로 치환

      import re
      
      # ^ : not 을 의미
      regex = r"[^a-zA-Z0-9]" # 정규식
      
      test_str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easy!, AI!#n")
      
      subst = "" # 치환할 문자
      
      result = re.sub(regex, subst, test_st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easy AI'
    • SpaCy 라이브러리

      import spacy
      from spacy.tokenizer import Tokenizer
      
      nlp = spacy.load("en_core_web_sm")
      tokenizer = Tokenizer(nlp.vocab)
      
      tokens = []
      
      for doc in tokenizer.pipe(df['column_name']):   		
           doc_tokens = [re.sub(r"[^a-z0-9]", "", token.text.lower()) for token in doc]        
           tokens.append(doc_tokens)
           
  • 불용어(Stop words) 처리
    • 불용어 : 분석에 도움이 되지 않는 단어

    • 대부분의 NLP 라이브러리는 일반적인 불용어를 내장하고 있음

      • ex. spacy 제공 불용어 : nlp.Defaults.stop_words
      # 불용어 제외하고 토크나이징 진행
      tokens = []
      
      for doc in tockenizer.pipe(df['column_name']):
           doc_tokens = []
           
           for token in doc:
           	# 토큰이 불용어와 구두점이 아니면 저장
           	if (token.is_stop == False) & (token.is_punct == False):   
           tokens.append(doc_tokens)
    • 불용어 커스터마이징

      STOP_WORDS = nlp.Defaults.stop_words.union(['smt_you_want_to except'])
      
      token = []
      
      for doc in tokenizer.pipe(df['column_name']):
      		
           doc_tokens = []
           
           for token in doc:
           	if token.text.lower() not in STOP_WORDS:
               	doc_tokens.append(token.text.lower())
                   
           tokens.append(doc_tokens)
  • 통계적 트리밍(Trimming)
    •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말뭉치 내에서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토큰을 제거하는 방법
  • 어간 추출(Stemming) 혹은 표제어 추출(Lemmatization)
    • 어간 : 단어의 의미가 포함된 부분으로 접사 등이 제거된 형태
      • Poter, Snowball, Dawson 등 알고리즘 有

      • Spacy 는 stemming 제공하지 않음

      • nltk

        from nltk.stem import PorterStemmer
        
        ps = PoterStemmer()
        
        words = ['wolf', 'wolves']
        
        for word in words:
        	print(ps.stem(word))
        
        # wolf
        # wolv
        ## 어근이나 단어의 원형이 같지 않을 수 있음
      • Porter 알고리즘은 단어의 끝부분을 자르는 역할

        • 간단하고 속도가 빨라 속도가 중요한 검색 분야에서 많이 사용
    • 표제어 : 기본 사전형 단어, 단어의 가장 기본 형태
      • 어간 추출보다 체계적
      • 기본 사전형 단어형태 Lemma(표제어)로 변환
        • 복수형 → 단수형, 동사 → 타동사

          lem = 'The social wolf. Wolves are complex.'
          
          nlp = spacy.load?("en_core_web_sm")
          
          doc = nlp(lem)
          
          # The → the
          # social → social
          # wolf → wolf
          # . → . 
          # Wolves → wolf
          # are → be
          # complex → complex
          # . → .
          def get_lemmas(text):
          	
             lemmas = []
             
             doc = nlp(text)
             
             for token in doc:
             	if ((token.is_stop == False) and (token.is_punct == False)) and (token.pos_ != 'PRON'):
                 lemmas.append(token.lemma_)
                 
            return lemmas
            

시각화
Squarify 라이브러리

등장 횟수 기반의 단어 표현(Count-based Representation)

  • Bag-of-Words(BOW)
    • 문서-단어 행렬(DTM)

      • 행에는 문서, 열에는 단어
    • TF

      • 단어 빈도만 고려

      • Sklearn CounterVectorizer

        from sklearn.feature_extraction.text import CountVectorizer
        
        # 문장으로 이루어진 리스트 저장
        sentences_lst = text.split('\n')
        
        # CountVectorizer 를 변수에 저장
        vect = CountVectorizer()
        
        # 어휘 사전을 생성
        vect.fit(sentences_lst)
        
        # text 를 DTM으로 변환
        dtm_count = vect.transform(sentences_lst)
        
        #.vocabulary_ 메소드로 모든 토큰과 맵핑된 인덱스 정보 확인
        vect.vocabulary_
    • TF-IDF

      • 단어마다 가중치를 두는 방법
      • 로그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값이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 TF-IDF(w)=TF(w)×IDF(w)\text{TF-IDF(w)} = \text{TF(w)} \times \text{IDF(w)}
        • TF(w)=특정 문서 내 단어 w의 수\text{TF(w)} = \text{특정 문서 내 단어 w의 수}
        • IDF(w)=log(분류 대상이 되는 모든 문서의 수단어 w가 들어있는 문서의 수)\text{IDF(w)} = \log \bigg(\frac{\text{분류 대상이 되는 모든 문서의 수}}{\text{단어 w가 들어있는 문서의 수}}\bigg)
        • IDF(w)=log(n1+df(w))\text{IDF(w)} = \log \bigg(\frac{n}{1 + df(w)}\bigg)
        • 실제 계산에서 0으로 나누어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모에 +1
      • Sklearn TfidfVectorizer
      tfidf = TfidfVectorizer(stop_words='english', max_features=15)
      
      #fit 후 dtm
      dtm_tfidf = tfidf.fit_transform(sentences_lst)
      
      # dateframe으로 만들기
      pd.DataFrame(dtm_tfidf.todense(), columns=tfidf.get_feature_names())
  • 파라미터 튜닝
def tokenize(document):
	doc = nlp(document)
    return [token.lemma_.strip() for token in doc if (token.is_stop != True) and (token.is_punct != True) and (token.is_alpha == True)]
    
tfidf_tuned = TfidfVectorizer(stop_words='english',
							tokenizer=tokenize,
                            ngram_range=(1,2), # (min_n, max_n) : min_n 개 ~ max_n 개를 갖는 n-gram(n개의 연속적인 토큰)을 토큰으로 사용
                            max_df=.7, # float(0~1), max_df*100% 이상 문서에 나타나는 토큰은 제거
                            min_df=3 # int, 최소 n개의 문서에 나타나는 토큰만 사용
                            )
  • 코사인 유사도
    • cosine similarity=cos(θ)=ABAB\Large \text{cosine similarity} = cos (\theta)=\frac{A⋅B}{\Vert A\Vert \Vert B \Vert}
    • 두 벡터(문서)가 완전히 같으면 1, 90도 각을 이루면 0, 완전히 반대방향이면 -1
    • K-NN, K-최근접 이웃(Nearest Neighbor)
      • 쿼리와 가장 가까운 상위 K개의 근접한 데이터를 찾아서 K개 데이터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점을 추정하거나 분류하는 예측 분석

      • Sklearn NearestNeighbors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NearestNeighbors
        
        # dtm을 사용해 NN모델 학습, 디폴트 최근접 5
        nn = NearestNeighbors(n_neighbors=5, algorithm='kd_tree')
        nn.fit(dtm_tfidt_amazon)
        
        # 해당 문서와 가장 가까운 문서(0포함) 5개 거리(값이 작을수록 유사)와 인덱스 확인할 수 있음
        

token.pos_ != 'PRON'
대명사가 아닌 것
token.is_punct == False
구두점이 없는 곳

한국어 데이터는 자연어 처리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데이터

  • KoNLPy 라이브러리 사용 -- 형태소 분석기
  • Py-hanspell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이용한 파이썬 라이브러리
  • Py-(ko)spacing, kss -- 띄어쓰기 기준
  • Khaiii -- 카카오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형태소 분석기)
  • soynlp -- 반복되는 이모티콘이나 단어들을 정규화하기 위해 만들어짐(ex.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ㅎㅎㅎㅎㅎㅎㅎ 같은 거)

Day 2

Distributed Representation

분산 기반의 표현(Distributed representation)

등장 횟수 기반 단어 표현
단점 :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빈도수만 고려, 차원이 많아짐

  • 분포 가설

    •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는 주변 분포도 비슷할 것이다
  • 원-핫 인코딩

    • 범주형 변수를 0과 1로 벡터화 하는 방법
    • 직관적인 방법이지만 단어 간 유사도를 구할 수 없고 차원이 너무 커짐
    • 원-핫 인코딩 후 코사인 유사도를 구하게 되면 모두 0이 나옴
      • 두 벡터의 내적이 항상 0이기 때문

임베딩(Embedding)

  • 원-핫 인코딩의 단점 해결
  • 단어를 고정 길이의 벡터(= 차원이 일정한 벡터)로 나타냄
  • 벡터 내의 각 요소가 연속적인 값을 가짐

↓ 가장 널리 알려진 임베딩 방법

Word2Vec

  • 단어를 벡터로 나타내는 방법

  • 특정 단어 양 옆에 있는 두 단어(window size = 2)의 관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분포 가설을 잘 반영

  • CBoW 와 Skip-gram 차이

    • CBoW(Continuous Bag-of-Words)
      • 주변 단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중심 단어의 정보를 예측하는 모델
    • Skip-gram
      • 중심 단어의 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단어의 정보를 예측하는 모델
      • 역전파 관점에서 CBoW에 비해 학습이 많이 일어나 성능이 더 좋음
      • 학습 시간이 오래 걸리고 리소스 양이 많음
  • Word2Vec 모델 구조(Skip-gram 기준)

    • 입력층 : 원-핫 인코딩 된 단어의 벡터(노드 수 = 단어 수)
    • 은닉층 : 1개 (노드 수 = 임베딩 벡터의 차원 수)
      • 활성화 함수 사용 X -> linear 이기 때문
    • 출력층 : 소프트맥스 함수 사용(노드 수 = 입력층 노드 수)

Word2Vec 은 딥러닝일까?
NO! 딥러닝 = 은닉층이 2개 이상

  • Word2Vec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디자인
    • 중심 단어 옆에 있는 2개 단어에 대해 단어쌍 구성
      - 중심 단어(입력), 주변 단어(레이블)

      ex. The tortoise jumped into the lake

      • 중심 단어: The, 주변 문맥 단어 : tortoise, jumped
        • 학습 샘플 : (the, tortoise), (the, jumped)
  • Word2Vec의 임베딩 벡터를 시각화한 결과의 특징
    • 말뭉치에 등장하지 않는 단어(Unknown token)을 임베딩 벡터화 하면 KeyError 발생 → OOV 문제

Word2Vec을 더 적은 계산으로 하는 방법

  • Sub-sampling
    • 텍스트 자체가 가진 문제를 해결
    • 'a', 'the' 처럼 얻을 정보가 없는 단어 제거
  • Negative-sampling
    • 불필요한 계산량 감소
    • 무관한 단어들에 대해서는 weight 를 업데이트 하지 않아도 됨
    • 무관한 단어는 target 값이 0 인 "negative" 값이고, 관련된 단어는 target 값이 1인 "positive" 한 값

fastText

  • Word2Vec 방식에 철자기반의 임베딩 방식을 더해준 새로운 임베딩 방식

  • OOV(Out of Vocabulary) 문제 해결

  • 철자 단위 임베딩 방법

    • 모델이 학습하지 못한 단어이더라도 잘 쪼개고 보면 말뭉치에서 등장했던 단어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음
    • Character n-gram
  • fastText 방식은 3-6개로 묶은 character정보(3-6 grams) 단위 사용

    • 3-6개 단위로 묶기 이전에 모델이 접두사와 접미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단어 앞뒤로 "<",">"를 붙여줌

      ex. <eating> 를 3-gram 하면
      → <ea eat ati tin ing ng>
      이 방식을 3개부터 6개까지 진행하면 18개의 character-level n-gram을 얻을 수 있음

    • 철자 단위 임베딩 적용

      • eating 이라는 단어가 말뭉치 내에 있다면 skip-gram으로부터 학습한 임베딩 벡터에 18개 character-level n-gram들의 벡터를 더해줌
      • 없다면 18개 character-level n-gram들의 벡터만으로 구성
  • Word2Vec 은 두 단어 중 하나라도 말뭉치 내에 없다면 에러를 발생시키지만 fastText 는 높은 정확도로 두 단어의 임베딩 벡터를 구하고 유사도를 나타낼 수 있음

  • fastText 임베딩 벡터는 단어의 의미보다는 결과 쪽에 더 비중을 두고 있음

pad_sequences(padding='post', maxlen=n)

  • 자연어 처리를 하다보면 각 문장(또는 문서)의 길이가 다른 경우가 있음
    → 기계는 길이가 전부 동일한 문서들에 대해서는 하나의 행렬로 보고 한꺼번에 묶어서 처리할 수 있음
    → 병렬 연산을 위해 여러 문장의 길이를 임의로 동일하게 맞춰주는 작업 필요
  • 데이터에 특정 값을 채워서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패딩(padding) 이라고 함
  • 케라스에서는 pad_sequence 제공
  • pad_sequences는 기본적으로 문서의 앞을 '0'으로 채우기 때문에 뒤를 '0'으로 채우려면 padding='post'
  • maxlen 의 인자를 정수로 주게되면 해당 정수로 모든 문서의 길이가 동일해짐

출처 : https://wikidocs.net/83544#:~:text=Numpy%EB%A1%9C%20%ED%8C%A8%EB%94%A9%EC%9D%84%20%EC%A7%84%ED%96%89,0%EC%9C%BC%EB%A1%9C%20%EC%B1%84%EC%9A%B0%EA%B8%B0%20%EB%95%8C%EB%AC%B8%EC%9E%85%EB%8B%88%EB%8B%A4.

model.add(Embedding(vacab_size, 300, weights=[embedding_matrix], input_length=max_len, trainable=False))
  • trainable = False
    • 훈련과정에서 embedding layer 제외
    • 사전 학습된 데이터를 다시 학습하지 않음

Day 3

Language Modeling with RNN

  • 연속형 데이터 : 데이터가 배치되는 순서, 즉 특정 데이터 앞 뒤로 어떤 데이터가 오는 지에 따라 각각의 의미가 변경되는 데이터

    • 자연어, 시계열 데이터 등
  • RNN(Recurrent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 : 연속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신경망

    • 단점 : 기울기 소실(gradient vanishing)로 인한 장기 의존성(long-term dependency) 문제 발생

    ↓ 개선

  • LSTM(Long Short Term Memory, 장단기 기억망), GRU(Gated Recurrent Unit)

언어 모델(Language Model)

  • 문장과 같은 단어 시퀀스에서 각 단어의 확률을 계산하는 모델
    • Word2Vec
  • 통계기반 언어 모델
    • 단어의 등장 횟수를 바탕으로 조건부 확률 계산
    • 한계점
      • 희소성 문제
        • 말뭉치에 없는 표현은 절대 만들어 낼 수 없음
          → 해결하기 위해 N-gram, 스무딩(smoothing), 백오프(back-off) 방법 고안

↓ 극복

  • 신경망 언어 모델
    • 횟수기반 대신 Word2Vec 이나 fastText등의 출력값인 임베딩 벡터 사용 → 말뭉치에 등장하지 않더라도 의미/문법적으로 유사하면 선택

신경망 언어 모델

  • RNN(Recurrent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
    • 구조
      • 연속형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고안된 신경망
        • 입력 벡터가 은닉층에 들어가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WhxW_{hx})
        • 은닉층으로부터 출력벡터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Woh,boW_{oh}, b_o)
        • 은닉층에서 나와 다시 은닉층으로 입력되는 화살표(Whh,bhW_{hh}, b_h)
    • 작동 방식
      • tt 시점에서는 xtx_tht1h_{t-1} 가 입력되고 oto_t 이 출력 → 모든 토큰이 입력될 때까지 반복
      • ht=tanh(ht1Wh+xtWx+b)h_t = \tanh(h_{t-1}W_h + x_tW_x + b)
        • 가중치 : WhW_h,WxW_x
        • 편향 : bb
    • 코드
      class RNN:
      	def __init__(self, Wx, Wh, b): # Wx : 입력벡터(x)에 곱해지는 가중치, Wh: 은닉 상태 벡터(h_prev: 이전 시점의 은닉상태 벡터)에 곱해지는 가중치, b: 편향
        	self.params = [Wx, Wh, b]
            self.grads = [np.zeros_like(Wx), no.zeors_like(Wh), np.zeros_like(b)] # 가중치 초기화
            self.cache = None
        
        def forward(self, x, h_prev):
        	Wx, Wh, b = self.params
            t = np.matnul(h_prev, Wh_ + np.matmul(x, Wx), b
            h_next = np.tanh(t)
            
            self.cache = (x, h_prev, h_next)
            return h_next
    • 장점 : 간단한 모델, 어떤 길이의 sequential 데이터라도 처리할 수 있음
    • 단점
      • 병렬화(parallelization) 불가능
        • RNN 구조는 벡터가 순차적으로 입력됨
          → GPU 연산의 장점인 병렬화 불가능
          → RNN 기반의 모델은 GPU 연산을 했을 때 이점이 거의 없음
      • 역전파 과정에서의 문제점
        • 기울기 폭발(Exploding gradient)
          • 역전파 정보가 hidden-state 벡터에 과하게 전달
        • 기울기 소실(vanishing gradient)
          • hidden-state 벡터에 역전파 정보가 거의 전달되지 않음

다양한 형태의 RNN

  • one-to-many
    • 1개의 벡터를 받아 Sequential한 벡터를 반환
    • image captioning(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설명하는 문장 생성) 에 사용
  • many-to-one
    • Sequential 벡터를 받아 1개의 벡터를 반환
    • 감성분석
  • many-to-many(1)
    • Sequential 벡터를 모두 입력받은 뒤 Sequential 벡터 출력
    • seq2seq 구조, 기계번역
  • many-to-many(2)
    • Sequential 벡터를 입력받는 즉시 Sequential 벡터 출력
    • 비디오를 프레임별로 분류
  • LSTM(Long Short Term Memory, 장단기 기억망)

    • 고안된 배경

      • RNN에 기울기 정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Gate 추가한 모델
      • 기울기 소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
    • 구조

      • Forget Gate: 과거의 정보를 얼마나 유지할 것인지
      • Input Gate: 새로 입력된 정보는 얼마만큼 활용할 건인지
      • Output Gate: 두 정보를 계산하여 나온 출력 정보를 얼마만큼 넘겨줄 것인지
      • cell-state: 활성화 함수를 거치지 않아 정보 손실 無
      # Keras 제공 Embedding 층 적용, LSTM 에 dropout 과 recurrent_dropout 적용
      
      model = tf.keras.models.Sequential([
        tf.keras.layers.Embedding(max_features, 128),
        tf.keras.layers.LSTM(128, dropout=0.2, recurrent_dropout=0.2),
        tf.keras.layers.Dense(1, activation='sigmoid')
      ])
      
      model.compile(loss='binary_crossentropy',
                    optimizer='adam', 
                    metrics=['accuracy'])

dropout vs recurrent_dropout

  • dropout : 입력층의 노드 수를 제한
  • recurrent_dropout : 순환 드롭아웃, 순환층에서 과대적합을 방지하기 위함
  • RNN 모델 밖에서 dropout을 하면 정보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모델 안에서 인풋 데이터에 대한 노드를 끊어내어 정보손실을 방지함

model.summary()에서 LSTM의 param 개수
Embedding에서의 max_features(input_dim, 단어 갯수) * output_dim
→ 임베딩은 편향이 없기 때문에 더해주지 않음

LSTM의 units 인수
Embedding 레이어 차원수와 꼭 같을 필요는 없음
중소형 모델의 경우 128, 256, 512, 1024 를 주로 사용

  • GRU(Gated Recurrent Unit)
    • LSTM 의 간소한 버전
      • cell-state 벡터와 hidden-state 벡터가 하나의 벡터 hth_t 로 통일
      • 하나의 Gate ztz_t 가 forget, input gate를 모두 제어
        • ztz_t가 1이면 forget 게이트가 열리고 ztz_t가 0이면 input 게이트가 열림
      • 전체 상태 벡터 hth_t 가 각 time-step 에서 출력
      • rtr_t가 이전 상태의 ht1h_{t-1}의 어느 부분이 출력될 지 제어

어텐션(Attention)

  • 배경

    • 기존 RNN 기반 모델의 단점
      • 기울기 소실로부터 나타나는 장기 의존성 문제
      • Hidden-state를 하나만 넘겨줄 수 있음
        → 입력되는 모든 단어 정보를 하나의 Hidden-state 벡터에만 담아야 함
  • 모델 구조
    seq2seq_7

    • 각 인코더의 Time-step 마다 Hidden-state 벡터 생성
    • 입력 단어가 N개라면 Hidden-state벡터도 N개
    • 모든 단어가 입력되면 생성된 Hidden-state 벡터가 모두 디코더에 넘어감
  • 디코더에서 전달받은 Hidden-state 벡터를 어떻게 사용하여 단어를 생성할까

    1. 쿼리(Query)로는 디코더의 Hidden-state 벡터, 키(Key)와 밸류(Value)로는 인코더에서 넘어온 Hidden-state 벡터를 준비
    2. 쿼리와 키의 연관성을 구하기 위해서 각 벡터를 내적한 값을 계산
    3. 이 값에 소프트맥스(Softmax) 함수를 취함
    4. 소프트맥스의 결과값에 밸류(Value)인 인코더에서 넘어온 Hidden-state 벡터를 곱함
    5. 결과로 나오는 벡터를 모두 합
      → 이 벡터의 성분 중에는 쿼리-키 연관성이 높은 밸류 벡터의 성분이 더 많이 들어있음
    6. 최종적으로 5에서 생성된 벡터와 디코더의 Hidden-state 벡터를 사용하여 출력 단어를 결정
  • 병렬화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transfomer 가 해결해줌

어순은 어떻게 결정될까?

관사가 생성되는 과정은?

Day 4

Transformer

  • Transformer
    • RNN 을 사용하지 않음 → 성능도 속도도 더 좋아짐
    • 병렬화 가능
      • 모든 토큰을 동시에 입력받아 병렬 연산하여 GPU 연산에 최적화
    • 6개의 인코더 블록과 디코더 블록이 모여있는 구조
      • 인코더 블록은 2개의 sub-layer
        • Multi-Head (self) Attention, Feed Forward
      • 디코더 블록은 3개의 sub-layer
        • Masked Multi-Head (self) Attention, Multi-Head (encoder-decoder) Attention, Feed Forward

→ 입력 받는 값이 벡터가 아닌 행렬

  • Positional encoding(위치 인코딩)

    • 단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벡터를 만드는 과정

      수식
      PEpos,2i=sin(pos100002i/dmodel)\begin{aligned}\text{PE}_{\text{pos},2i} &= \sin \bigg(\frac{\text{pos}}{10000^{2i/d_{\text{model}}}}\bigg)\end{aligned}
      PEpos,2i+1=cos(pos100002i/dmodel)\begin{aligned}\text{PE}_{\text{pos},2i+1} &= \cos \bigg(\frac{\text{pos}}{10000^{2i/d_{\text{model}}}}\bigg)\end{aligned}
      2i : 짝수, 2i+1 : 홀수

      → 계산하면 위치 인코딩 행렬이 생성 → positional encoding 행렬 + Embedding vector 행렬

      def get_angles(pos, i, d_model):
      	# sin, cos 안에 들어갈 수치 구하는 함수
          angle_rates = 1 / np.power(10000, (2*(i//2)) / np.float32(d_model))
          return pos * angle_rates
      def positional_encoding(position, d_model):
      	# positional encoding 구하는 함수
          angle_rads = get_angles(np.arange(position)[:, np.newaxis], np.arrange(d_model)[np.newaxis, :], d_model)
          # apply sin to even indices in the array; 2i
          angle_rads[:, 0::2] = np.sin(angle_rads[:, 0::2])
          
          #apply cos to odd indices in the array; 2i+1
          angle_rads[:, 1::2] = np.cos(angle_rads[:, 1::2])
          
          pos_encoding = angle_rads[np.newaxis, ...]
          
          return tf.cast(pos_encoding, dtype=tf.float32)
  • Self-Attention

    • 번역하려는 문장 내부 요소의 관계를 잘 파악하기 위해서 문장 자신에 대한 어텐션 메커니즘을 적용하는데 이를 의미
      → 지시대명사 "it" 이 어떤 대상을 가리키는지

    • 기존 Attention 과는 달리 쿼리, 키, 밸류 모두 가중치 벡터

      • Query : 분석하고자 하는 단어데 대한 가중치 벡터
      • Key : 각 단어가 쿼리에 해당하는 단어와 얼마나 연관이 있는 지를 비교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
      • Value : 각 단어의 의미를 살려주기 위한 가중치 벡터
    • 세가지 가중치 벡터를 대상으로 어텐션 적용

      • 이전까진 Dot-product를 사용했지만 기울기 소실을 줄이기 위해 Scaled Dot Product 사용
      • 특정 단어의 쿼리 벡터와 모든 단어의 키 벡터를 내적
        → 이 값이 Attention score
      • 이 가중치를 뭐리, 키, 밸류 벡터 차원 dkd_k 의 제곱근 dk\sqrt{d_k} 로 나눠 줌
        dkd_k = 임베딩벡터길이Head\frac{임베딩 벡터길이}{Head 수}
        → 계산값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기 위한 계산 보정
      • Softmax
        → 쿼리에 해당하는 단어와 문장 내 다른 단어가 가지는 관계의 비율 구할 수 있음
      • 밸류과 내적하면 최종 행렬 ZZ 도출

      def scaled_dot_product_attention(q, k, v, mask):
      	# Tensorflow 에서  Self-Attention 구현 코드
       	# q, k, v 의 leading dimension은 동일
       	# k, v의 penultimation dimension 은 동일, i.e. : seq_len_q, seq_len_k
       	# Mask는 타입(padding or look ahead)에 따라 다른 차원을 가질 수 있음
       	# 덧셈시에는 브로드캐스팅 될 수 있어야 함
       	
          matmul_qk = tf.matmul(q, k, transpose_b = True) #(..., seq_len_q, seq_len_k)
           
          # matmul_qk(쿼리와 키의 내적)을 dk제곱근으로 나눠줌
          dk = tf.cast(tf.shape(k)[-1], tf.float32)
          scaled_attention_logits = matmul_qk / ft.math.sqrt(dk)
           
          # 마스킹
          if mask is not None:
             scaled_attention_logits += (mast * -1e9)
           
          # 소프트 맥스 → attention score
      	attention_weights = tf.nn.softmax(scaled_attention_logits, axis=1) # (..., seq_len_q, seq_len_k)
           
          output = tf.matmul(attention_weights, v) #(..., seq_len_q, depth_v)
           
       	return output, attention_weights 
  • Multi-Head Attention

    • Self-Attention 을 동시에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
    • 각 Head 마다 다른 Attention 결과를 내어주기 때문에 앙상블과 유사한 효과
      • 앙상블 모델 : 여러 모델이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결과를 얻도록 훈련시키는 기계학습 패러다임
    • Head의 수 만큼 Self-Attention 을 실행하여 얻은 행렬들을 이어붙이고(concatenate) 가중치 행렬과의 내적을 통해 Multi-head Attention 의 최종 행렬 ZZ 를 만듦
      transformer_17
      • 1번 : 가로는 d_model(임베딩 벡터 차원 수), 세로는 단어 수
      • 2번 : 가로 세로 모두 d_model, 원래는 정사각형 형태
      • 최종 행렬 ZZ 은 토큰 벡터로 이루어진 행렬 XX 와 동일한 크기(위의 그림에서 초록색 행렬)
      • 최종 행렬 ZZ 는 위치정보 + self attention 의 결과로 나온 단어 간의 상관관계
  • Add & Norm(Layer Normalization & Skip Connection)

    • 모든 sub-layer 에서 출력된 벡터들이 거치는 단계
    • Layer normalization 의 효과는 Batch normalization 과 유사
      • 학습이 훨씬 빠르고 잘 됨
    • Skip connection(= Residual connection)은 역전파 과정에서 정보가 소실되지 않도록 함
  • Feed Forward(Feed Forward Neural Network)

    • FFNN(x)=max(0,W1x+b1)W2+b2\text{FFNN}(x) = \max(0, W_1x + b_1) W_2 + b_2
    • 은닉층의 차원이 늘어났다가 다시 원래 차원으로 줄어드는 단순한 2층 신경망
    • 활성화 함수로 ReLU 사용
      def point_wise_feed_forward_network(d_model, dff):
      	# d_model : 모델의 차원
      	# dff : 은닉층의 차원 수
       
       return tf.keras.Sequential({
       		tf.keras.layers.Dense(dff, activation='relu'), # (batch_size, seq_len, dff)
               tf.keras.layers.Dense(d_model) # (batch_size, seq_len, d_model)
               ])
  • Masked Self(Multi-Head) Attention

    • 디코더 블록에서 사용되는 특수한 Self-Attention

    • 디코더는 Auto-Regressive(왼쪽 단어를 보고 오른쪽 단어를 예측)하게 단어를 생성하기 때문에 타겟 단어 뒤에 위치한 단어는 Self-Attention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스킹(masking)해야 함

      • 정보 누수와 객관성 문제로 타겟 단어 뒤는 마스킹

      Self-Attention (without Masking) vs Masked Self-Attention
      Masked_Self-Attention_ex2

    • Masking : softmax를 취해주기 전 가려주고자 하는 요소에만 -\infty 에 해당하는 매우 작은 수를 더해 줌

      • 마스된 값은 softmax를 취해 주었을 때 0이 나오므로 value 계산에 반영되지 않음
        masked_1
        masked_2
  • Encoder-Decoder Attention

    • 번역할 문장과 번역되는 문장의 정보 관계를 엮어주는 부분
    • 다른 쿼리에 attention 하는 것
    • 디코드 블록의 Masked Self-Attention으로부터 출력된 벡터를 쿼리 벡터로 사용
    • 키(K), 밸류(V) 벡터는 최상위(=6번째) 인코더 블록에서 사용했던 값을 그대로 사용
  • Linear → Softmax

    • 디코더의 최상층을 통과한 벡터들은 linear 층을 지난 후 softmax를 통해 예측할 단어의 확률을 구함

profile
데이터분석가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