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display 에 대해서 알아본다.</title>
</head>
<body>
<h1>▷ block 방식 - 세로로 떨어지는 방식 ◁</h1>
<h1>h1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1>
<h2>h2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2>
<h3>h3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3>
<h4>h4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4>
<h5>h5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5>
<h6>h6의 display의 기본값은 block 방식이다.</h6>
<!-- h1 부터 h6 까지만 있다. -->
<br> <!-- 줄바꿈 -->
<div>div는 display가 block 방식이다.</div>
<div>div는 display가 block 방식이다.</div>
<hr> <!-- 수평선 -->
<hr style = "border : solid 3px red;"> <!-- 수평선 -->
<hr style = "border : solid 3px blue;"> <!-- 수평선 -->
<h1>▷ inline 방식 - 가로로 떨어지는 방식 ◁</h1>
<a href="http://www.naver.com">네이버</a>
<a href="http://www.daum.net">다음</a>
<a href="http://www.nate.com">네이트</a>
<br> <!-- 줄바꿈 -->
<label>레이블1 label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label>
<label>레이블2 label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label>
<label>레이블3 label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label>
<br> <!-- 줄바꿈 -->
<span>스팬1 span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span>
<span>스팬2 span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span>
<span>스팬3 span 태그는 display 가 inline 방식이다.</span>
<hr> <!-- 수평선 -->
<div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500px; height:150px; background-color:#00e699; margin:20px 0;">div1 블럭요소(block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된다.</div>
<div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30%; height: 150px; background-color:#ccff99; margin:20px 0;">div2 블럭요소(block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된다.</div>
<div style="display:block; border: solid 5px black; width:500px; height:150px; background-color:#00e699; margin:100px 0 50px 30px;">div3 블럭요소(block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된다.</div>
<div style="display:block; border: solid 5px black; width:30%; height: 150px; background-color:#ccff99; margin:100px 0 50px 30px;">div4 블럭요소(block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된다.</div>
<!-- display: block; 은 세로형태로 보여주는 것이고, 또한 width 및 height 가 적용된다. -->
<br><br>
<span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500px; background-color: #ffe6ff;">span1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span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800px; background-color: #80bfff;">span2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span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1000px; background-color: green;">span3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span style="display:inline; border: solid 5px black; width:500px; background-color: #ffe6ff;">span4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span style="display:inline; border: solid 5px black; width:800px; background-color: #80bfff;">span5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span style="display:inline; border: solid 5px black; width:1000px; background-color: green;">span6 인라인요소(inline element)는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span>
<!-- display: inline; 은 가로형태로 보여주는 것이고, 또한 width 및 height 가 적용이 안된다. -->
<br><br>
<hr> <!-- 수평선 -->
<span style="display:block; border: solid 1px blue;">짜장면</span>
<span style="display:block; border: solid 1px blue;">탕수육</span>
<span style="display:block; border: solid 1px blue;">팔보채</span>
<!-- inline element인 span 태그를 block 방식으로 변경함. 세로형태로 보여주는 것이다.
block 방식의 width 크기를 설정을 안해주면 기본 width 크기는 화면 전체 크기로 잡힌다. -->
<br><br>
<span style="display:inline-block; border: solid 1px green; background-color: #ccff99; width:10%; height: 30px;">족발</span>
<span style="display:inline-block; border: solid 1px green; background-color: #ccff99; width:10%; height: 30px; margin: 100px 25px;">교촌치킨</span>
<span style="display:inline-block; border: solid 1px green; background-color: #ccff99; width:10%; height: 30px;">미스터피자</span>
<!-- inline element인 span 태그를 display 를 inline-block 방식으로 변경함. 가로형태로 보여주면서, width 및 height 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
<div style="border: solid 1px blue; background-color: #4A5A08; color: white">여기는 div 입니다.</div>
<br><br>
<div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60%; margin: 0 auto; height:150px; background-color:#00e699;">
div1 블럭요소(block element)를 <span style="font-weight: bold; font-size: 20pt; color: darkgreen; border: solid 3px black;">화면 가운데</span>로 하려면 먼저 width 크기를 잡은 후 <br>
margin:0 auto; 으로 주면 0은 상하는 여백이 없고, 좌우의 여백크기는 width 크기를 주고 남은 크기를 1/2로 균등분할해서 준다. <br>
그러므로 가운데에 위치하게 된다.
</div>
<div style="border: solid 1px blue;
/* margin: 50px 100px; */
/* margin: 3% 6%; */
/* margin: 3%; */
margin-top:3%;
margin-bottom:3%;
margin-left: 3%;
margin-right: 3%;
/* padding: 10px 20px 30px 40px; */
/* padding: 20px 40px; */
/* padding: 40px; */
/* padding: 3%; */
padding-top: 3%;
padding-bottom:3%;
padding-right:3%;
padding-left:3%;
background-color: #ccff99;">
안쪽 여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r>
안쪽 여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r>
안쪽 여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r>
안쪽 여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br>
</div>
<div style="border: solid 1px black;
width : 80%;
margin: 0 auto 50px auto;
font-size: 20pt;
text-align: center;
padding: 3% 0;">
<span style="background-color: #80bfff; color: white;">
inline 방식으로 사용되어지는 태그는 <a>, <label>, <span> 태그가 있습니다.</span></div>
<br>
<!-- JSP&Servlet, 경고만 나올뿐 출력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ORACLE", She's gone
<br>
JSP&Servlet, "ORACLE", She's gone
<!--
< 부등호(<)
> 부등호(>)
" " 공백(스페이스)1개를 의미한다.
& 앰퍼샌드(&)기호
" 쌍따옴표(")
' 홑따옴표(')
# sharp(#)
-->
</body>
</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