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블로그 챌린지 DAY1

주재성·2023년 4월 25일
0

좋은 기회로 2주간 #데이터블로그챌린지 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블로그 챌린지 (2주)
'성장하는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해 데이터 트렌드를 공부하는 챌린지.

  • 내용
    • 데이터/AI 관련 블로그 읽고 핵심 내용 정리 및 소감 공유
    • 개인 블로그 혹은 SNS 포스팅 후 링크 공유

Retention Plateau의 중심에서 PMF를 외치다

[요약]

‘Product Market Fit을 찾았다는 것’은 ‘고객’과 ‘제품’을 확실하게 찾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스타트업은 제품 제작에 앞서 우선 문제 해결 적합성(Product Solution Fit)과 제품 시장 적합성(Product Market Fit)을 찾고 끊임없이 검증해나가야 합니다.

PMF를 찾아야 하는데 이를 판별하는 유일한 기준이 바로 ‘Retention Plateau’입니다.

Retention Cohort 분석을 했을 때에 기울기가 평평한 고원 형상을 보인다면 ‘Retention Plateau’를 찾은 것이며, 이는 PMF를 찾은 것과도 같습니다.
(제품이 고객의 문제를 정말로 해결하고 있다면 제품을 계속 사용하는 Retention Plateau가 나타나고, 아니라면 냉정히 떠나는 우하향의 곡선을 그릴 것입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평평하게 형성된 Rentention Plateau의 높이(Y축 %)가 높을수록, 제품과 회사의 가치 평가 또한 높아진다는 점입니다.

사업의 성격 및 서비스 고객군에 따라 어느 수준의 리텐션에서 PMF를 찾았다고 판단할지는 다를 수 있습니다. (물론 무엇을 Retention으로 정의할지가 수치보다 중요합니다.)

[인사이트]

회사를 다니면서 우리의 고객과 제품을 명확하게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중요한 일인지 종종 느낍니다. ‘있으면 좋을 것 같은 서비스’가 아니라 고객의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해주는 제품인지 항상 검토해야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로스해킹의 시작점인 PMF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블로그였습니다.

0개의 댓글